• 제목/요약/키워드: Facial Expression Transformation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1초

초상화로봇을 위한 표정 변환 및 드로잉규칙 생성 (Facial Expression Transformation and Drawing Rule Generation for the Drawing Robot)

  • 김문상;민선규;최창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9호
    • /
    • pp.2349-2357
    • /
    • 1994
  • This paper presents a facial expression transformation algorithm and drawing rule generation algolithm for a portrait drawing robot which was developed for the '93 Taejeon EXPO. The developed algorithm was mainly focused on the robust automatic generation of robot programs with the consideration that the drawing robot should work without any limitation of the age, sex or race for the persons. In order to give more demonstratin effects, the facial expression change of the pictured person was performed.

2D 얼굴 영상을 이용한 로봇의 감정인식 및 표현시스템 (Emotion Recognition and Expression System of Robot Based on 2D Facial Image)

  • 이동훈;심귀보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371-376
    • /
    • 2007
  • This paper presents an emotion recognition and its expression system of an intelligent robot like a home robot or a service robot. Emotion recognition method in the robot is used by a facial image. We use a motion and a position of many facial features. apply a tracking algorithm to recognize a moving user in the mobile robot and eliminate a skin color of a hand and a background without a facial region by using the facial region detecting algorithm in objecting user image. After normalizer operations are the image enlarge or reduction by distance of the detecting facial region and the image revolution transformation by an angel of a face, the mobile robot can object the facial image of a fixing size. And materialize a multi feature selection algorithm to enable robot to recognize an emotion of user. In this paper, used a multi layer perceptron of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as a pattern recognition art, and a Back Propagation(BP) algorithm as a learning algorithm. Emotion of user that robot recognized is expressed as a graphic LCD. At this time, change two coordinates as the number of times of emotion expressed in ANN, and change a parameter of facial elements(eyes, eyebrows, mouth) as the change of two coordinates. By materializing the system, expressed the complex emotion of human as the avatar of LCD.

Gabor 웨이브렛과 FCM 군집화 알고리즘에 기반한 동적 연결모형에 의한 얼굴표정에서 특징점 추출 (Feature-Point Extraction by Dynamic Linking Model bas Wavelets and Fuzzy C-Means Clustering Algorithm)

  • 신영숙
    • 인지과학
    • /
    • 제14권1호
    • /
    • pp.11-16
    • /
    • 2003
  • 본 논문은 Gabor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하여 무표정을 포함한 표정영상에서 얼굴의 주요 요소들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FCM 군집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무표정 영상에서 저차원의 대표적인 특징점을 추출한다. 무표정 영상의 특징점들은 표정영상의 특징점들을 추출하기 위한 템플릿으로 사용되어지며, 표정영상의 특징점 추출은 무표정 영상의 특징점과 동적 연결모형을 이용하여 개략적인 정합과 정밀한 정합 과정의 두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Gabor 웨이브렛과 FCM 군집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동적 연결모형을 이용하여 표정영상에서 특징점들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결과는 자동 특징추출을 이용한 차원모형기반 얼굴 표정인식[1]에서 얼굴표정의 특징점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데 적용되었다.

  • PDF

얼굴의 다양한 포즈 및 표정의 변환에 따른 얼굴 인식률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Face Recognition Rate with Transformation of Various Facial Poses and Expressions)

  • 최재영;황보 택근;김낙빈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79-91
    • /
    • 2004
  • 다양한 얼굴 포즈 검출 및 인식은 매우 어려운 문제로서, 이는 특징 공간상의 다양한 포즈의 분포가 정면 영상에 비해 매우 흩어져있고 복잡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얼굴 인식 방법들이 제한 사항으로 두었던 입력 영상의 다양한 포즈 및 표정에 강인한 얼굴 인식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은 먼저, TLS 모델을 사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한 뒤, 얼굴의 구성요소를 통하여 얼굴 포즈를 추정한다. 추정된 얼굴 포즈는 3차원 X-Y-Z축으로 분해되는데, 두 번째 과정에서는 추정된 벡터를 통하여 만들어진 가변 템플릿과 3D CAN/DIDE모델을 이용하여 얼굴을 정합한다 마지막으로 정합된 얼굴은 분석된 포즈와 표정에 의하여 얼굴 인식에 적합한 정면의 정규화 된 얼굴로 변환된다. 실험을 통하여 얼굴 검출 모델의 사용과 포즈 추정 방법의 타당성을 보였으며, 포즈 및 표정 정규화를 통하여 인식률이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 PDF

색상요소를 고려한 얼굴검출에 대한 연구 (A study of face detection using color component)

  • 이정하;강진석;최연성;김장형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240-243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칼라 이미지에서 색상 요소를 기초로 하여 얼굴영역을 추출하고 얼굴의 특징요소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얼굴 영역을 추출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얼굴색상분포를 이용하여 색상변환을 하였다. 얼굴 특성요소를 찾기 위하여 윤곽선검출을 이용하였다. 얼굴영역의 상단부분에서 눈의 요소를 찾고, 눈과 입의 지정학적 위치를 이용하여 입의 후보영역을 지정하고 입을 찾도록 하였다. 검색영역을 좁혀 계산량을 줄임으로서 탐색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일반적인 얼굴색상분포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함으로서 얼굴표정, 얼굴색변화, 기울짐에 대해서도 얼굴영역을 검출할 수 있었다.

  • PDF

Gabor 웨이브렛과 FCM 군집화 알고리즘에 기반한 동적 연결모형에 의한 얼굴표정에서 특징점 추출 (Feature-Point Extraction by Dynamic Linking Model bas Wavelets and Fuzzy C-Means Clustering Algorithm)

  • 신영숙
    • 인지과학
    • /
    • 제14권1호
    • /
    • pp.10-10
    • /
    • 2003
  • 본 논문은 Gabor 웨이브렛 변환을 이용하여 무표정을 포함한 표정영상에서 얼굴의 주요 요소들의 경계선을 추출한 후, FCM 군집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무표정 영상에서 저차원의 대표적인 특징점을 추출한다. 무표정 영상의 특징점들은 표정영상의 특징점들을 추출하기 위한 템플릿으로 사용되어지며, 표정영상의 특징점 추출은 무표정 영상의 특징점과 동적 연결모형을 이용하여 개략적인 정합과 정밀한 정합 과정의 두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Gabor 웨이브렛과 FCM 군집화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동적 연결모형을 이용하여 표정영상에서 특징점들을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본 연구결과는 자동 특징추출을 이용한 차원모형기반 얼굴 표정인식[1]에서 얼굴표정의 특징점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데 적용되었다.

다중 클래스 이미지 표정 분류 (Multiclass image expression classification)

  • 오명호;민송하;김종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701-703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지도 학습에 기반을 둔 다중 클래스 이미지 장면 분류 방법을 제시한다. 데이터 세트에서 콘볼루션 뉴런 네트워크 모델에 학습시켜 다중 클래스 사람의 표정 장면 이미지를 분류하였으며, 실험에서는 최적화된 CNN 모델을 Google image 데이터 세트에 분류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평균변화율을 활용한 눈썹 메이크업 유형별 섹시미 감성이미지 차이 (Eyebrow Make-up Type Using an Average rate Sensitivity Image for the Difference of Perceived Sexiness)

  • 김진경;박정신
    • 패션비즈니스
    • /
    • 제19권5호
    • /
    • pp.34-47
    • /
    • 2015
  • Sexiness is the image of a person who attracts attention regardless of his/her age, and today's society has created a more positive impression by transforming the image into something others consider even more attractive. Consequently, we begin to take interest in makeup, - a means of portraying a good impression. Eyebrow makeup in particular, being at the center of the determining factor of a good facial image, can be thought of as the makeup that can most effectively transform one's imag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erceived sexiness depending on the general perception of eyebrow makeup. This study produced an eyebrow stimulus that applied the average rate of change in an image transformation of different eyebrows in order to raise the objective credibility of the sensibility evaluation so it could determine the figure of influence that eyebrows had on facial impressions.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believed that eyebrows were an effective means of expression in changing facial images and attributed a higher mature and sexy image if the average ratio of change was higher. The study, could also identify that a sexy image was perceived when the average rate of change was between 0.39~0.44. In addition, when the gradient of the shape of the viewers' own eyebrows was low, it could be verified that they perceived an image to be sexy from seeing eyebrows with a relatively high gradient.

Diode laser surgery in the treatment of oral proliferative verrucous leukoplakia associated with HPV-16 infection

  • Bombeccari, Gian Paolo;Garagiola, Umberto;Candotto, Valentina;Pallotti, Francesco;Carinci, Francesco;Gianni, Aldo Bruno;Spadari, Francesco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40권
    • /
    • pp.16.1-16.5
    • /
    • 2018
  • Background: Proliferative verrucous leukoplakia (PVL) is an oral potentially malignant disorder, characterized by multifocal expression, progressive clinical evolution, and a high rate of malignant transformation. Evidence-based information regarding optimal PVL management is lacking, due to the paucity of data. The present report describes a case of PVL associated with HPV-16 infection and epithelial dysplasia treated by diode laser surgery, and the outcome of disease clinical remission over a 2-year follow-up period. Case report: A 61-year-old Caucasian male with oral verrucous hyperkeratosis presented for diagnosis. The lesions were localized on the maxillary gingiva and palatal alveolar ridge. Multiple biopsy specimens have been taken by mapping the keratotic lesion area. Microscopic examination was compatible with a diagnosis of PVL with focal mild dysplasia, localized in the right maxillary gingiva.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done for human papillomavirus (HPV) detection which revealed presence of HPV DNA, and the genotype revealed HPV 16 in the sample. The PVL in the right gingival area was treated on an outpatient basis by excision with a diode laser. This approach resulted in good clinical response and decreased morbidity over a 2-year follow-up period. Conclusions: This case illustrates the benefit of a conservative approach by diode laser treatment than wide surgical excision for management of the PVL lesions associated with mild dysplasia and HPV-16 infection.

특징벡터를 사용한 얼굴 영상 인식 연구 (A Study on Face Image Recognition Using Feature Vectors)

  • 김진숙;강진숙;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897-904
    • /
    • 2005
  • 영상 인식은 영상획득이 용이하다는 것과 실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으로 인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분야이다. 그러나 얼굴영상은 높은 차원의 영상공간으로 인해 이미지 처리가 쉽지 않다. 본 논문은 얼굴 영상 데이터의 차원을 특징적인 벡터로 표현하고 이러한 특징벡터를 통해 얼굴 영상을 인식하는 방법은 제안한다. 제안되는 알고리즘은 두 부분으로 나뉜다. 첫째로는 칼라 영상을 그레이 영상으로 변환할 때 RGB 세 개의 플레인의 평균이 아닌 세 플레인의 주성분을 사용하는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를 적용한다. PCA는 칼라 영상을 그레이 영상으로 변환하는 과정과 인식률을 높이기 위한 영상 대비 개선 과정이 동시에 수행한다. 두 번째로는 PCA와 LDA(Linear Discriminant Analysis) 방식을 하나의 과정으로 통합하는 개선된 통합 LDA 방법이다. 두 과정을 통합함으로서 간결한 알고리즘 표현이 가능하며 분리된 단계에서 있을 수 있는 정보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잘 제어된 대용량 얼굴 데이터베이스에서 개인을 확인하는 분야에 적용되어 성능을 향상시키고 있음을 보여주었고, 추후에는 실시간 상황에서 특정 개인을 확인하는 분야의 기초 알고리즘으로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