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T-IR ATR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3초

Annealing Effect on Structure of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Undrawn Fibers

  • Murase, Shigemitsu;Ohtaki, Manabu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The Korea-Japan Joint Symposium
    • /
    • pp.59-60
    • /
    • 2003
  • The undrawn monofilament of poly (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was obtained by melt-spinning. After being annealed at 40 C it was analyzed by the measurements of DSC, DMA, WAXD and ATR FT-IR. Tg of PTT fiber after annealing for more than 96 hours was 20 C higher than that before annealing as determined by the DSC and DMA measurements. The WAXD analysis showed very weak diffraction peaks at 2$\theta$=17$^{\circ}$ and 2$\theta$=24$^{\circ}$ for the annealing time of more than 96 hours. The ATR FT-IR measurements made clear the conformational change of methylene chains of PTT glycol residue from random to gauche-gauche conformation.

  • PDF

Styrene-Butadiene 고무의 아크릴아미드 UV 광그라프팅 반응 (Ultraviolet Photografting Reaction of Acrylamide onto Styrene-Butadiene Rubber)

  • 이권익;류승훈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3권5호
    • /
    • pp.363-369
    • /
    • 1998
  • UV를 이용하여 반응성 모노머인 아크릴아미드를 SBR에 광그라프트 시키는데 있어서 주요한 인자인 모노머 농도, 조사시간 그리고 카본블랙의 함량이 모노머의 그라프트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광개시제로는 benzophenone을 사용하였다. 아크릴아미드의 그라프트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FT-IR ATR과 증류수를 이용하여 정접촉각을 측정하였다. 아크릴아미드의 함량과 UV 조사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그라프트율은 증가하였으며 또한 접촉각은 감소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SBR중 카본블랙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라프트율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Instrumental Analysis of the Human Hair Damaged by Bleaching Treatments - Focused on ATR FT-IRM -

  • Ha, Byung-Jo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6호
    • /
    • pp.23-33
    • /
    • 2008
  •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by bleaching treatments were assessed by several instrumental analyses such as surface morphology, chemical structural change, color change as well as tensile strength. The change of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was observed through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The observation of the fine structure on hair surface by SEM showed the bleached hair had much damaged to hair cuticle, and some of cuticle surface were worn away. To investigate the chemical structural changes in hair keratin, the cross-sections of hair samples were directly analysed using Fourier transform infrared microspectroscopy(FT-IRM). The results showed the cysteic acid S=O band intensity was distinctively increased by performing the bleaching treatment. The cleavage of cystine was appeared to proceed primarily through the sulfur-sulfur (-S-S-) fission whereby cysteic acid was formed as a principal oxidation products. The distribution of amide I band in hair keratin was determined by attenuated total reflectance(ATR) FT-IR mapping imag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uter side of hair cortex was more damaged than the inner side of the hair cortex. Also, during chemical bleaching of the hair with alkaline peroxide, the hair was turned to reddish yellow due to the oxidative degradation of eumelanin. This means the eumelanin is more unstable than pheomelanin in chemical oxidation. With bleaching, the tensile strength was also reduced as a results of the chemical oxidation.

유·무기 전도성 물질을 함유한 UV 경화형 다층 코팅의 대전방지 특성 (Antistatic Behavior of UV-curable Multilayer Coating Containing Organic and Inorganic Conducting Materials)

  • 김화숙;김현경;김양배;홍진후
    • 접착 및 계면
    • /
    • 제3권3호
    • /
    • pp.22-29
    • /
    • 2002
  • 하층에 유 무기 전도성 물질을 코팅하고 상층은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를 코팅한 다층코팅의 자외선 경화형 시스템을 도입하였다. 이러한 다층코팅은 투명한 PMMA, PC, PET 등의 기재 위에 wet and wet 방식의 코팅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도막의 표면저항과 물성은 상층 두께의 변화와 상대 습도를 다르게 하여 측정하였다. 상층두께가 $10{\mu}m$ 이하일 때 $10^8{\sim}10^{10}{\Omega}/cm^2$의 표면저항을 나타냈으며 표면 물성은 단층코팅에 비해서 다층코팅이 더 우수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다층코팅에서의 도판트 이동효과는 접촉각과 FT-IR/ATR을 통해 관찰하였다. 하층이 무기 전도성 물질인 경우에는 관찰되지 않는 도판트(DBSA)의 필름-기재 계면에서 필름-공기 계면 쪽으로 이행되는 거동이 유기전도성 물질인 경우에는 관찰되었다.

  • PDF

3-Azidopropane-1,2-diol로 쇄연장된 GAP/PTMG 폴리우레탄의 상거동 (Phase Behaviors of the GAP/PTMG Polyurethanes Chain Extended with 3-Azidopropane-1,2-Diol)

  • 김형석;유종성;권정옥;김정수;이동선;노시태;장영욱;김동국;권순길
    • 공업화학
    • /
    • 제21권4호
    • /
    • pp.377-384
    • /
    • 2010
  • 에너지 함유 쇄연장제인 3-azidopropane-1,2-diol (AzPD)로 쇄연장된 에너지 함유 폴리우레탄의 특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비교연구법을 수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AzPD, 1,4-BD, 또는 1,5-PD 쇄연장제를 갖는 poly(glycidyl azide)/poly(tetramethylene oxide)계 에너지 함유 세그멘티드 폴리우레탄(energetic segmented polyurethane, GAP/PTMG ESPU)을 dimethyl formamide (DMF) 용매에서 합성하여 상거동을 고찰하였다. 상거동은 fourier transform infrared.attenuated total reflection spectroscopy (ATR FT.IR),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DSC), 및 dynamic mechanical analysis (DM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TR FT.IR spectrum 분석결과 7일 경과 시편의 GAP/PTMG AzESPU의 수소결합하지 않은 C=O 분율이 0.5로 각각 0.44 및 0.41인 GAP/PTMG BDESPU 및 GAP/PTMG PDESPU 보다 높았고, 제조 후 60일 경과 시편의 경우 0.26~0.29의 범위로 큰 차가 없었다. 제조 후 7일 경과 GAP/PTMG AzESPU 시편의 DMA curves는 무정형 고분자의 거동과 유사하였으며, GAP/PTMG BDESPU과 GAP/PTMG PDESPU는 고무평탄구간과 연성 흐름 구간을 갖는 점탄성 거동을 나타냈다. 그러나, 제조 후 60일 경과 GAP/PTMG AzESPU의 DMA curves는 GAP/PTMG PDESPU와 같이 고무평탄구간과 연성 흐름 구간을 갖는 점탄성 거동을 나타냈다. ATR FT-IR, DSC 및 DMA 분석을 이용한 상거동 고찰로부터 AzPD로 쇄연장된 GAP/PTMG ESPU는 1,4-BD 또는 1,5-PD로 쇄연장된 GAP/PTMG ESPU보다 구성성분간의 상혼합이 잘 이루어지나 적절한 조건에서 상형평에 도달되면 GAP/PTMG PDESPU와 유사한 TPE의 점탄성 거동을 나타냈다.

ATR 분광계를 이용한 화학증착소재 흡착에 따른 표면거동에 대한 연구

  • 박명수;김영규;신재수;이창희;윤주영;강상우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5회 하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120.2-120.2
    • /
    • 2013
  • 반도체 소자의 소형화로 신개념 화학증착공정 구현을 위한 장비와 화학증착소재의 개발이 활발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증착소재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가장 적합한 소재를 선택하기 위한 연구도 변행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이 소재 평가를 위해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 적외선 분광기 등을 이용한 화학증착소재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법과 원자층증착(Atomic Layer Deposition)법 공정에서 웨이퍼 표면에서의 화학증착소재의 흡착거동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개선된 Attenuated Total Reflectance(ATR)분광계를 이용하여 표면에 흡착된 소재의 흡착거동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평가에 사용된 화학증착소재는 C-Zr (Tris (dimethylamino) cyclopentadienyl zirconium)이며,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 IR)시스템 내에 설치된 ATR 분광계 표면에 흡착된 C-Zr 증착소재를 다양한 공정조건(온도 및 반응가스, 플라즈마 파워 등)에서의 거동 변화를 연구하였다.

  • PDF

복합적 환경인자의 영향에 의한 접착제의 접착전단강도 및 화학구조 변화 (Effect of Combined Environmental Factors on Adhesive Shear Strengths and Chemical Structures of Adhesives)

  • 황영은;윤성호
    • Composites Research
    • /
    • 제24권1호
    • /
    • pp.31-3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유도무기의 탐색기에 적용되는 지존 접착제의 대체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환경인자의 노출시간에 따른 기존 접착제와 대제 접착제의 접착전단장도들을 평가하고 이들의 화학구조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때 접착제는 기존 접착제와 대체 접착제에 대해 각각 구조용 접착제와 실링용 접착제의 두 종류를 고려하였다. 이들 접착제는 온도, 수분, 자외선 등의 복합적인 환경인자에 최대 1000시간 동안 노출시켰다. 환경인자의 노출시간에 따른 접착제의 접착전단강도를 평가하기 위해 접착전단시험을 수행하고 화학구조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ATR 적외선 분광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대체 접착제의 접착전단강도는 기존 접착제의 경우에 비해 높으며 환경인자의 노출에도 매우 안정적으로 나타나 대체 접착제는 기존 접착제의 대체용으로 적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