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BR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33초

RDA의 제정동향 및 내용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ovements to Establish RDA and Its Contents Structure)

  • 박진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317-338
    • /
    • 2009
  • AACR의 합동상임위원회는 2009년을 목표로 AACR을 전면 개정하여 새로운 규칙이라고 할 수 있는 RDA를 준비하고 있다. RDA는 전통적인 도서관목록이 아니라 웹 기반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모든 매체에 대한 서지기술과 접근점을 제공하기 위한 다국적 내용의 표준을 지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RDA의 제정배경과 특징, 내용구조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 PDF

Internal Structure of Information Packages in Digital Preservation

  • Lee, Seungmin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2권4호
    • /
    • pp.6-19
    • /
    • 2014
  • The description of preserved resources is one of the requirements in digital preservation. The description is generally created in the format of metadata records, and those records are combined to generate information packages to support the process of digital preservation. However, current strategies or models of digital preservation may not generate information packages in efficient ways. To overcome these problems, this research proposed an internal structure of information packages in digital preservation. In order to construct the internal structure, this research analyzed existing metadata standards and cataloging rules such as Dublin Core, MARC, and FRBR to extract the core elements of resource description. The extracted eleme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semantics and functions, which resulted in three categories of core elements. These categories and core elements were manifested by using RDF syntax in order to be substantially applied to combine metadata records in digital preservation. Although the internal structure is not intended to create metadata records, it is expected to provide an alternative approach to enable combining existing metadata records in the context of digital preservation in a more flexible way.

해외 목록학 연구동향 및 지적구조 분석 (A Study o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Intellectual Structure in the Overseas Cataloging Research)

  • 이지원;이성숙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67-387
    • /
    • 2024
  • 본 연구는 새로운 표준과 규칙의 제정이 이루어지고 또한 향후 예고되어 있음으로 큰 변화의 과정을 거치고 있는 목록학에 있어 그동안 연구가 거의 없었던 해외 연구들의 최근 동향과 지적 구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 이후 14년간 발행된 논문 680편을 수집한 후, 이로부터 전처리를 거쳐 추출한 1,942개의 저자 키워드를 분석해보았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외 목록학 연구는 2017년 이후 주목할만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상위빈도 연구주제는 편목, 메타데이터, RDA, 대학도서관, 전거 제어, 링크드 데이터, FRBR, 목록, LCSH, 도서관, 온라인목록이었다. 셋째, 연구주제들은 크게 도서관 목록의 전통적인 부분과 관련된 것과 최근 들어 더욱 활발하게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주제인 전거제어와 협동편목, RDA, 링크드데이터와 관련된 2개의 군집으로 나눌 수 있었고, 이를 14개 소군집으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넷째, 키워드 군집 14개의 성장지수와 표준 성과지수를 살펴본 결과, 하나의 군집을 제외하고는 학문 분야의 성장의 측면에서 모두 성장을 나타내는 수치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향후 국내 학계와 현장을 위한 목록의 발전 양상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 및 관련 교육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 모델 (A Logical Model of Library System towards Knowledge Service)

  • 이현실;배창섭;이은주;한성국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5-67
    • /
    • 2009
  • 유비쿼터스 정보 서비스 기술의 보편화로 도서관 생태 환경에도 커다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디지털도서관 등 정보 매체 중심의 변화뿐만 아니라, Library 2.0 또는 소셜 시맨틱 디지털 라이브러리 등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지향 관점으로의 변화를 실감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 시스템의 진화에 초점을 두고, 지식 서비스 실현을 위한 제반 환경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지식 서비스 지향 도서관 시스템의 논리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논리 모델은 다양한 지식 정보자원, 참여와 협력의 능동적 이용자, 도서관 업무 혁신, 유비쿼터스 정보 기술을 조화하여 도서관의 근본적 임무를 수행하는데 프레임워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서지적 관계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 도서의 저작유형 분석 (An Analysis on the Work Types of Korean Books Based Bibliographical Relationship)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83-200
    • /
    • 2007
  • 오늘날 어떤 저작이 창안되어 출판되면 거기서 파생되어 생산되는 관련 저작물이 엄청나게 늘어나고 있다. 원작과 다른 언어로 번역되어 출판되기도 하구 출판매체를 달리하여 새로운 형태로 제작되기도 한다. 내용을 각색하여 새로운 저작으로 출간하기도 하구 내용을 일부 개정하거나 축약하기도 한다. 원작에서 파생된 이들 저작들은 어떠한 형태로든 서로 서지적 관계가 존재하며, 이용자들은 이들의 서지적 관계를 유추하여 필요할 경우 관련 저작을 찾게 될 것이다. 이 연구는 서지적 관계를 기반으로 전남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한국어 도서의 저작유형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한국어 도서의 저작특성과 목록기술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장차 이들 자료를 조직하여 구조화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링크드 데이터 방식을 통한 서지 정보의 확장에 관한 연구 (Extending Bibliographic Information Using Linked Data)

  • 박지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31-25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서지 정보를 확장하기 위한 방안으로 링크드 데이터를 선정하였다. 링크드 데이터는 웹 공간을 통해 공유 가능한 식별기호와 데이터 구조 및 링크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특히 링크드 데이터는 서지 온톨로지와 결합하여 서지데이터를 확장시키는데 유용하다. 이에 링크드 데이터와 서지 온톨로지를 분석하고, 연계 가능한 링크드 데이터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링크드 데이터로 구축된 기존의 전거 데이터 및 서지 데이터를 연계하였다. 이러한 실험적 연계를 통해 향후 링크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과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즉, 1) 다양한 링크드 데이터 중에서 각 기관에서 적합한 데이터를 선정할 수 있어야 하며, 2) 선정된 링크드 데이터를 연계하기 위한 기준을 정립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3) 자관의 고유한 데이터를 개발하여 이를 다시 공유해 나가야 할 것을 제안하였다.

RDF/OWL의 객체속성을 이용한 관계온톨로지 시스템 구축과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lementation and Applying Relationship Ontology System Using RDF/OWL Object Property)

  • 강현민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19-237
    • /
    • 2010
  • FRBR, FRAD 개념모형과 RDA 목록규칙에는 서지개체와 접근제어개체 간 다양한 수준에서 발생하는 복합적이고 다원적인 관계유형들이 규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계유형을 술어논리에 기반하여 온톨로지 환경에서 개체 클래스의 인스턴스와 인스턴스 간 관계를 RDF/OWL의 객체속성(Object Property)을 서지세계의 개체 간 관계기술과 접근을 위한 새로운 제어기제이자 통합적 연결장치로서 그 적용과 활용 가능성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관계온톨로지 시스템을 구축하고 SPARQL 질의결과를 온톨로지 시각화도구를 통해 제시하였다. 이로써 온톨로지 기반의 '관계기술목록'이라는 새로운 목록업무 영역의 확장을 통해, 목록기능의 '다 대 다 집중'이라는 의미 확장, '개체단위 기반의 의미적 집중', RDF/OWL 객체속성의 계층관계 상속을 이용한 '관계 추론' 등을 연구결과로 제시하였다.

전자책 패키지의 서지레코드 표준화에 관한 연구 (An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for Bibliographic Records of Provider Supplied E-monograph Package)

  • 이미화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51-69
    • /
    • 2013
  • OPAC내에 전자책 패키지의 서지레코드 구축시 서지레코드의 중복과 비일관된 목록기술은 이용자의 자원 식별에 어려움을 주었다. 이에 본 연구는 전자책 패키지의 서지레코드 표준화를 위해 공급자중립 전자책 서지레코드 지침의 적용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문헌연구를 통해 전자책 목록에 관한 이론적 배경, 국내외 전자책관련 목록규칙 및 입력지침, 공급자중립 전자책 서지레코드 입력지침을 조사하였으며, 홈페이지 조사를 통해 국내 15개 대학도서관의 전자책 패키지의 서지레코드 구축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 전자책 패키지의 서지레코드 표준화를 위한 공급자중립 전자책 서지레코드 지침의 적용방안을 목록규칙, KORMARC, 중립레코드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도서관과 공급자 모두를 위한 전자책 패키지 서지레코드의 입력지침 방안을 모색한 것으로 OPAC에서 전자책의 FRBR 구현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BIBFRAME 2.0 특징 분석 및 BIBFRAME 구축시 고려사항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iderations in Constructing BIBFRAME by Analyzing BIBFRAME 2.0)

  • 이미화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107-127
    • /
    • 2017
  • 본고는 국내에서 BIBFRAME 구축을 위한 세부적인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BIBFRAME 2.0의 특징을 변경사항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BIBFRAME 구축시 고려사항을 제시하고자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고려사항으로 첫째, BIBFRAME 2.0에서 핵심 개체로서 표현형 개체의 추가 혹은 표현형의 명확한 기술 방안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둘째, 자료유형별 다양한 기술 요소를 BIBFRAME과 매핑하여 BIBFRAME에서 RDA 요소의 반영여부를 파악하고, BIBFRAME 속성, 클래스 어휘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셋째, BIBFRAME에서 우선표제 및 우선이름 기술을 위한 목록규칙 개발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BIBFRAME 2.0 어휘가 지속적으로 변경되고 개발중인 상황에서 BIBFRAME 모델의 개정과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차세대 목록 교육의 방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Future of Cataloging Education)

  • 조재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27-145
    • /
    • 2010
  • 아웃소싱, 출판계 데이타의 반입, 카피카탈로깅의 활성화는 목록 작성 업무의 비중을 감소시키고 있으며, 다른 커뮤니티와의 상호 운용성 강조, 시스템간의 비즈니스적 통합 요구는 총체적으로 전통적 도서관 목록 작성 업무의 중요성과 의의를 변화시키고 있다. 한편, 새롭게 천명된 원칙과 규칙은 AACR과 MARC을 근간으로 하는 기존 목록 체계와 큰 차이를 예고하고 있어, 차세대 목록 교육의 방향에 대한 고민이 시급해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의 목록 작성 업무에 대한 예측, 사서의 새로운 역할과 역량에 대한 제 논의를 종합하여 목록 사서 양성 과정과 현업 사서 재교육 과정에서 필요로 한 차세대 목록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목록 사서 양성 과정에서는 다양한 자원의 기술과 발견을 위한 정보 조직의 기본 개념을 학습하며, 정보서비스의 미션을 파악하여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되어야 한다. 한편, 현업 사서 재교육 과정에서는 서지적 세계를 이해하는 새로운 방법과 변경된 어휘, 인코딩 방식을 학습하며, 도서관이 수용하게 된 다양한 자원에 적합한 메타데이타 스키마의 선택, 그리고 자원의 통합을 위한 능력을 제고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