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GF

검색결과 317건 처리시간 0.023초

High Dose of FGF-2 Induced Growth Retardation via ERK1/2 De-phosphorylation in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Shim, Kwang Yong;Saima, Fatema Tuj;Eom, Young Wo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49-56
    • /
    • 2017
  • Fibroblast growth factor (FGF)-2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growth factors to increase the growth rate of mesenchymal stem cells (MSCs). Previously, we reported that low dose of FGF-2 (1 ng/ml) induced proliferation of bone marrow-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BMSCs) through AKT and ERK activation resulting in reduction of autophagy and senescence, but not at a high do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igh dose FGF-2 (10 ng/ml) on proliferation, autophagy and senescence of BMSCs for long term cultures (i.e., 2 months). FGF-2 increased the growth rate of BMSCs in a dose dependent manner for a short term (3 days), while during long term cultures (2 months), population doubling time was increased and accumulated cell number was lower than control in BMSCs when cultured with 10 ng/ml of FGF-2. 10 ng/ml of FGF-2 induced immediate de-phosphorylation of ERK1/2, expression of LC3-II, and increase of senescence associated ${\beta}$-galactosidase (SA-${\beta}$-Gal, senescence marker) expression. In conclusion, we showed that 10 ng/ml of FGF-2 was inadequate for ex vivo expansion of BMSCs because 10 ng/ml of FGF-2 induced growth retardation via ERK1/2 de-phosphorylation and induction of autophagy and senescence in BMSCs.

FGF-2 inhibits TNF-α mediated apoptosis through up-regulation of Bcl2-A1 and Bcl-xL in ATDC5 cells

  • Kim, Hey-Ryun;Heo, Youn-Moo;Jeong, Kyoung-Il;Kim, Yong-Min;Jang, Hae-Lan;Lee, Kwang-Yeol;Yeo, Chang-Yeol;Kim, Sung-Hoon;Lee, Hak-Kyo;Kim, Seung-Ryul;Kim, Eung-Gook;Choi, Joong-Kook
    • BMB Reports
    • /
    • 제45권5호
    • /
    • pp.287-292
    • /
    • 2012
  • FGF-2 is involved in cell survival, proliferation, apoptosis, and angiogenesis in a wide variety of cells. FRGRs, PI3K and MAP kinases are well known mediators of FGF signaling. Despite its known roles during many developmental processes, including osteogenesis, there are few known targets of FGF-2. In the present study, we identified Bcl2-A1 and Bcl-xL as two prominent targets involved in promoting cell survival. Pretreatment of ATDC5 cells with FGF-2 increased cell survival, while siRNAs specific for Bcl2-A1 and Bcl-xL compromised the anti-apoptotic effect of FGF-2, sensitized the cells to apoptosis triggered by TNF-${\alpha}$. Chemical inhibition of FGFR, NFkB, and PI3K activity by PD173074, pyrrolidine dithiocarbamate, and LY294002 respectively abrogated the FGF-2-mediated induction of Bcl2-A1 and Bcl-xL expression. Taken together, our data demonstrate that a subset of Bcl2 family proteins are the targets of FGF-2 signaling that promotes the survival of ATDC5 cells.

더덕추출물에 의한 bFGF-유도 시험관내 혈관신생의 억제 (Effects of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s on bFGF-induced Angiogenesis in vitro)

  • 소준노;김종화
    • KSBB Journal
    • /
    • 제18권1호
    • /
    • pp.25-29
    • /
    • 2003
  • 더덕의 메탄올 추출물(CL-ex)이 혈관신생에 영향을 주는 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간태반 정맥내피세포와 돼지 폐동맥내피세포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더덕추출물은 FGF에 의해 유도된 시험관 내 혈관신생을 억제하였다. 또한 더덕추출물은 내피세포의 DNA 합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FGF에 의해 증가된 내피세포의 이동을 농도 의존적으로 강하게 억제하였고, MMPs의 분비 역시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에 의하면, 더덕에 함유된 혈관신생 억제 물질은 혈관내피세포의 이동 과정에 작용하여 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라 추정된다. 따라서 더덕은 그 발생과 진행이 혈관신생에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암 등의 질병 예방과 치료를 위한 유용한 식물자원으로 개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ccelerated Wound Healing by ]Recombinant Human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in Healing-impaired Animal Models

  • Kang, Soo-Hyung;Oh, Tae-Young;Cho, Hyun;Ahn, Byoung-Ok;Kim,Won-Bae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7권1호
    • /
    • pp.7-13
    • /
    • 1999
  • The stimulatory effect of recombinant human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on wound healing was evaluated in healing-impaired animal models. Full-thickness wounds were made in prednisolone-treated mice,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and mitomycin C (MMC)-treated rats. Saline or bFGF at a dose of 1, 5, or $25\mu\textrm{g}$ per wound was applied to the open wound once a day for three to five days. The degree of wound healing was assessed using wound size and histological parameters such as degree of epidermal and dermal regeneration. Local application of bFGF accelerated wound closure significantly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all healing-impaired wounds (p<0.05). The wound healing effect of bFGF was further confirmed by histological examination in MMC-treated rats. Epidermal and dermal regeneration were enhanced in bFGF-treated wounds with a dose-related response. Dermal regeneration parameters such as collagen matrix formation and angiogenesi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5\mu\textrm{g}$, or $\25mu\textrm{g}$ of bFGF-treated wounds when compared to saline-treated wounds (p<0.05). pectin immunostaining on day 8 for vascular endothelium showed an increased number of neovessels in bFGF-treated woun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opical application of bFGF has beneficial effects on wound healing by angiogenesis and granulation tissue formation in healing-impaired wounds.

  • PDF

복합 생약추출물의 식물성 에스트로겐 활성이 OVX rat에 미치는 골대사 변화 (Phytoestrogenic Effects of Combined Plant Extracts on the Change of Bone Metabolism of OVX Rats)

  • 김수남;이용순;서홍덕;이동근;김민섭;이성표;이권택;이재경;김재수;권명상;장판식;곽보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16-320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1년간의 임상연구 결과 폐경기 증상 개선효과와 골밀도 개선 효과가 관찰된 에스트로몬의 주요 성분인 복합 식물추출물인 FGF271의 식물성에스트로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난소를 절제한 rat 동물모델에서, FGF271과 에스트로몬을 비교 실험하였다. 시험군과 OVX 대조군간의 체중, 자궁, 신장, 및 간 무게 변화는 없는 것으로 나타나 FGF271이나 에스트로몬이 이들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FGF271을 투여한 군에서 혈청 osteocalcin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개선효과를 보였다(p<0.05). 한편, FGF271과 에스트로몬 투여군에서 대퇴부 골밀도(Femoral Bone Mineral Density, FBMD)는 투여용량 73.5, 180, 440 mg/kg/ day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FGF271 투여군의 상대적 FBMD는 용량 의존적인 증가 경향을 나타내었다. FGF271 기준으로 동량 투여시(73.5 mg/kg/day; G4와 G8, 180 mg/kg/day; G5와 G9) 비교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로써 에스트로몬 투여군의 FBMD 증가가 에스트로몬의 주요성분인 백수오등 복합추출물인 FGF271만에 의해서 증가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 임상시험에서 폐경기 증후군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에스트로몬의 식물성에스트로겐 효과는 Cynanchum wilfordii(백수오), Phlomis umbrosa(속단), Angelica gigas(당귀) 복합추출물로 구성된 FGF271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한우 난구 복합체의 체외발생에 있어서 FGF(Fibroblast Growth Factor)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GF on Embryonic Development In Vitro in Hanwoo COCs)

  • 최선호;조상래;김현종;최창용;한만희;손동수;정연길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7-162
    • /
    • 2006
  • 소 난포란의 체외 성숙은 과립막 세포, 난자의 핵성숙을 촉진하는 미지의 혈청내의 물질뿐만 아니라, 호르몬이나 생리 활성 인자 등에 의해 촉진됨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체외 성숙 및 체외 발달에 사용되는 배양액의 조성도 복합 배양액에서 단순 배양액으로 전환을 시도하고 있으며, 체내의 조건에 보다 더 접근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우 난포란의 성숙 시 FGF의 첨가가 체외 성숙율 및 체외 수정 후 배발달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우 난포란의 체외 성숙시 FGF를 0.1, 1, 10 ng/ml를 첨가하였을 때 24 시간째에 Metaphase II 도달율은 각각 72.7, 70.0, 75.0%로서 무첨가 대조군의 37.5% 에 유의적으로 높은 성숙율을 보였다(p<0.05). 그러나 FGF 첨가 농도간에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FGF로 체외 성숙된 난포란의 체외 수정 후 배발달율은 0, 0.1, 1, 10 ng/ml FGF 첨가군에서 각각 25.0, 9.5, 0, 2.9%를 보여, 무첨가 대조군에 비해 FGF 첨가군에서 낮았다(p<0.05). FGF로 체외 성숙된 난포란을 체외 수정 후 10% FBS-HPM 199, 0.8% BSA-HPM 199 및 0.1% PVA-HPM에 배양한 결과 12.4, 12.8, 8.5%의 배반포 발달율을 보였으며, 무혈청 배양액인 IVMD, IVD에 배양한 결과 38.4 및 34.8%의 배반포 발달율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p<0.05). 결론적으로 FGF는 한우 난포란의 체외 성숙시 유용한 물질이나, 한우 난자의 체외 발달에는 단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으며, 다른 생리 활성 인자들 간의 상호 관계에 대하여 더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FGF signaling이 연골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BROBLAST GROWTH FACTOR SIGNALING ON CARTILAGE FORMATION)

  • 박충제;이상원;남순현;김영진;류현모;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43-653
    • /
    • 2003
  • 막내골화와 연골내골화 등의 정상적인 골격 성장은 섬유아세포 성장인자 (FGF) 와 이들 수용체들 (FGFR) 에 의한 신호 전달체계에 의해 조절된다. 또한 전사조절인자인 Runx2 ($Cbfa1/Pebp2{\alpha}A/AML3$) 는 골아세포분화 뿐만 아니라 골형성에도 필수적인 유전자로 알려져 있다. FGF signaling이 mouse의 두개관과 하악에서의 연골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Runx2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in vivo 및 in vitro 실험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두개관과 하악을 Alcian blue 염색한 결과 시상두개봉합부 연골은 태생 16일부터, Meckel's 연골은 태생11일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이들 연골세포들의 성상을 알아보기위한 in situ hybridization 결과 시상두개봉합부 연골 및 Meckel's 연골 모두에서 type II collagen은 발현되었으나, Type X collagen은 발현되지 않았다. Runx2 mRNA는 시상두개봉합부 연골과 Meckel's 연골 모두에서 발현되지 않았지만, 이들 연골들의 가장자리를 둘러싸고 있는 독특한 발현양상을 나타내었다. 두개봉합부에서의 FGF2 protein의 국소적 적용은 두개봉합부 하방의 연골형성을 억제하였다. 또한 하악의 Meckel's 연골 발생 부위에 FGF2 protein의 국소적 적용 역시 Meckel's 연골의 형성을 억제하였다. FGF2 protein은 시상두개봉합부상의 bead 주위로 Runx2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볼 때, FGF signaling은 골아세포와 연골아세포가 공존하고 있는 조직에서의 연골 형성을 억제하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FGF signaling은 부분적으로 Runx2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므로써 연골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술로 절제된 비소세포폐암 조직에서 예후인자로서 VEGF와 bFGF 발현의 의의 (Prognostic Value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Expression in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김승준;이정미;김진숙;강지영;이상학;김석찬;이숙영;김치홍;안중현;권순석;김영균;김관형;문화식;송정섭;박성학;문석환;왕영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4권3호
    • /
    • pp.200-205
    • /
    • 2008
  • 연구배경: 혈관신생은 종양의 성장과 유지 및 전이에 필수적이며 따라서 종양조직은 혈관신생을 위해 많은 종류의 혈관형성 촉진인자들을 생성하고 있다. VEGF와 bFGF는 혈관신생과 관련되는 물질로 본 연구에서는 폐암환자에서 조직 내 VEGF와 bFGF의 발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조직학적으로 샘암종 또는 편평상피세포암종으로 진단받고 완치의 목적으로 수술을 시행 받은 35명의 폐암환자 조직에서 VEGF 및 bFGF의 농도를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임상적 양상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VEGF 및 bFGF의 농도는 종양조직이 대조조직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T2+T3의 종양조직이 T1의 종양 조직보다 유의하게 VEGF의 농도가 높았다.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경우가 없었던 경우보다 종양조직에서 VEGF의 농도가 증가한 경향을 보였다(p=0.06). 하지만 VEGF 및 bFGF의 농도는 환자의 병기 및 생존율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VEGF 및 bFGF 모두 종양조직에서 증가하였으나 VEGF만이 종양크기, 림프절 전이 등의 임상양상과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각각의 VEGF 및 bFGF의 종양조직 내 농도는 예후와 관련되지는 않았다.

사료 내 발효마늘분말과 발효마늘착즙액의 첨가가 넙치(Paralichthys olivaceus)의 성장, 면역반응, 혈액성분 및 어병세균(Edwardsiella tarda 및 Streptococcus iniae)에 대한 질병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Fermented Garlic Powder and Fluid on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s, Blood Components, and Disease Resistance against Edwardsiella tarda and Streptococcus iniae in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김강웅;김성삼;정준범;전유진;김경덕;안철민;이경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44-652
    • /
    • 2011
  • Two consecutive studie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fermented garlic powder (FGP) or fermented garlic fluid (FGF) on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s, and disease resistance of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experiment I, olive flounder (BW: 65 g) were fed four experimental diets formulated to contain 0%, 0.5%, 1%, and 1.5% FGP (designated as FGP-0, FGP-0.5, FGP-1, and FGP-1.5, respectively). After the 10-weeks feeding trial, feed intake was significantly lower in fish fed the FGP-0.5 and FGP-1.0 diets, as compared to those fed the control diet. Fish fed the FGP-0 and FGP-0.5 die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urvival, as compared to the other treatments.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FGP resulted in higher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than the FGP-0 group. Plasma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decreased as dietary FGP level increased. In experiment II, olive flounder (BW: 65 g) were fed four experimental diets for 10 weeks. The diets were prepared with a commercial expanded pellet to have 0%, 0.25%, 0.5%, and 1% FGF (designated as FGF-0, FGF-0.25, FGF-0.5, and FGF-1, respectively) by adsorption. At the end of the second feeding trial, feed intake was significantly lower in fish fed the FGF-0 diet,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Fish fed the FGF-0.25 and FGF-0.5 diets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cholesterol levels,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Lysozyme activity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es in dietary FGF. Cumulative mortality in a challenge test with Streptococcus inia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ish groups fed FGF-supplemented diets than in fish fed the control diet.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FGP or FGF can enhance the non-specific immune responses and disease resistance of olive flounder against S. iniae.

모야모야병에서 염기성 섬모 세포 성장 인자의 역할 (The Role o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in Moyamoya Disease)

  • 김동석;최중언;김세혁;양국희;김현숙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1호
    • /
    • pp.5-11
    • /
    • 2001
  • Objectives and Importance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levels o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bFGF) in the CSF of patients with moyamoya disease and its clinical significance. Methods : The levels of bFGF in CSF, taken from 26 hemispheres of 14 moyamoya patients and 20 patients without vascular anomaly(control group), were measured by an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bFGF and the clinical factors such as age, onset pattern, development of neovascularization, and cerebral circulation. Results : The CSF of moyamoya patients contained a high concentration of bFGF to a significant extent. The bFGF level was apparently elevated in the patients in whom neovascularization from indirect revascularization, such as modified encephalo-duro-arterio-synangiosis(EDAS) was well developed. A linear correlation between the values of bFGF and clinical progression was noted. Conclusions : The elevation of bFGF in moyamoya disease seems to be specific. Clinically, the bFGF level may be considered a useful indicator to predict the efficacy of indirect revasculariz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