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I

검색결과 85건 처리시간 0.019초

건강한 소아에서 렙틴 아디포넥틴 비와 인슐린 저항성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leptin adiponectin ratio and insulin resistance in healthy children)

  • 안계현;김신혜;유은경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3호
    • /
    • pp.256-261
    • /
    • 2008
  • 목 적 : 렙틴과 아디포넥틴은 대표적인 adipocytokine으로 비만도 및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함에 따라 혈중 렙틴은 증가하고 아디포넥틴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소아에서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인슐린 저항성 사이에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7-15세의 건강한 소아 77명(남아 36명, 여아 41명)을 대상으로 하여 신체계측을 하고 공복 후 채혈하여 혈당, 인슐린, 렙틴, 아디포넥틴, 총 테스토스테론, 에스트라디올 및 SHBG를 측정하였다. 활성 남성호르몬 농도로는 FAI를, 인슐린 저항성의 척도로는 HOMA-IR을 사용하였다. 결 과 : 남아에서 HOMA-IR은 연령, 사춘기 단계, FAI, 렙틴 및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의미있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아에서는 HOMA-IR과 연령, %WFH, 사춘기 단계, 에스트라디올, 렙틴, 그리고 렙틴/아디포넥틴 비 사이에 의미있는 양의 상관성이 관찰되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남아에서 렙틴/아디포넥틴 비는 연령, %WFH, 및 FAI로 보정한 후에도 HOMA-IR과 독립적인 연관성을 보였다(P=0.010). 여아에서는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HOMA-IR 사이에 독립적인 연관성을 보이지 못하였다. 결 론 : 비만하지 않은 건강한 소아에서도 렙틴/아디포넥틴 비는 인슐린 저항성과 의미있는 연관성을 보였으며, 남아에서는 연령, 비만도 및 남성호르몬 농도로 보정한 후에도 렙틴/아디포넥틴 비와 인슐린 저항성 사이에 독립적인 연관성이 있었다.

관평천 개발에 따른 장기간 어류 생태적 특성 변화 및 해부학적 건강도 평가 (Long-term Changes of Fish Ec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 Gwanpyeong Stream Development and the Necropsy-based Health Assessments)

  • 오자윤;이상재;안광국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82-29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2009-2019년 기간 동안 대전시 외곽의 도심개발에 따른 인근 하천(관평천)의 상류, 중류, 하류의 구간에서 4회 조사(2009, 2010, 2016, 2019)를 통해 이화학적 수질, 어류 종 조성, 생태 건강성 특성에 대해 장기간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본 하천지역에서 도심개발은 2008년에 이루어졌고, 2012년에는 하천복원사업이 수행되어 하천복원 전과 후의 특성변화 추이를 모니터링 하였다. 하천 생태건강도 평가를 위해 군집수준의 어류평가지수(Fish Assessment Index, FAI)를 이용하였고, 어류의 기관(Organ) 수준에서 해부학적 건강도(Necropsy-based Health Assessment Index, HAI)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화학적 수질 분석에서는 중류(St. 2)에서 가장 낮은 탁도와 엽록소(Chl-a)가 측정되었다. 이는 빠른 유속에 의한 물리적 요인 때문으로 나타났다. 어류 조사에서는 총 18종이 채집되었고, 피라미(Zacco platypus)가 가장 우점 하는 종(40.6%)으로 나타났다. 하천복원 직후(2016)에는 민감종(Sensitive species)과 충식종(Insectivore species)이 우점, 종 다양도 및 종 풍부도 지수 상승, 생태건강도 지수(FAI)가 상승하여 생태 건강도는 "최상상태(A: 87.5)"로 나타났으나 가장 최근 조사인 2019년에는 전 기간에 비해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Organ) 분석에 의거한 해부학적 건강도 지수(HAI) 분석에 따르면, 피부손상(Skin)은 상류에서, 신장 손상(Kidney)은 하류 역에서 나타났고, 간(Liver)과 아가미(Gill)의 손상은 모든 지점에서 나타나 해부학적 측면의 건강도에서도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and Surgical Treatment on Dynamic Postural Stability and Leg Stiffness Variables during Vertical-Drop Landing

  • Jeon, Kyoung Kyu;Kim, Kew Wan;Ryew, Che Cheong;Hyun, Seung Hyun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35-141
    • /
    • 2018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I) and surgical treatment (ST) on postural stability and leg stiffness during vertical-drop landing. Method: A total of 21 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normal [NOR]: 7, FAI: 7, ST: 7). We estimated dimensionless leg stiffness as the ratio of the peak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and the change in stance-phase leg length. Leg length was calculated as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pelvis to the center of pressure under the foot. Furthermore, the analyzed variables included the loading rate and the dynamic postural stability index (DPSI; medial-lateral [ML], anterior-posterior [AP], and vertical [V]) in the initial contact phase. Results: The dimensionless leg stiffness in the FAI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NOR group and the ST group (p = .018). This result may be due to a smaller change in stance-phase leg length (p = .001). DPSI (ML, AP, and V) and loading rate did not show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types of ankle instability during drop landing (p > .05).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imensionless leg stiffness was within the normal range in the ST group, whereas it was increased by the stiffness of the legs rather than the peak vertical force during vertical-drop landing in the FAI group. Identifying these potential differences may enable clinicians to assess ankle instability and design rehabilitation protocols specific for the impairment.

Causes of Chronic Hip Pain Undiagnosed or Misdiagnosed by Primary Physicians in Young Adult Patients: a Retrospective Descriptive Study

  • Lee, Yun Jong;Kim, Sang-Hwan;Chung, Sang Wan;Lee, Young-Kyun;Koo, Kyung-Hoi
    •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 /
    • 제33권52호
    • /
    • pp.339.1-339.11
    • /
    • 2018
  • Background: Hip pain is a common musculoskeletal complaint in general practice. Although comprehensive diagnostic approach on hip pain is mandatory for adequate treatment, un- or mis-diagnosis is not rare in primary ca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scriptively un- or mis-diagnosed hip pain cases referred from primary care to a tertiary hospital, especially in young adults ${\leq}50years\;ol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a consecutive cohort of 150 patients (${\leq}50years\;old$) with chronic hip pain (${\geq}6weeks$), which was not diagnosed or misdiagnosed based on the information provided on the referral form. Results: Overall an average 32 cases/month were referred due to hip pain without a diagnosis or with an incorrect diagnosis. Among them, 150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146 (97.3%) could be allocated to a specific disease by using data from routine clinical practice. Four common final diagnoses were femoroacetabular impingement (FAI) syndrome (55.3%), hip dysplasia (HD, 13.3%), referred pain from the lumbar spine (9.3%), and spondyloarthritis (SpA, 7.3%). In patients with FAI syndrome, 37 (44.0%) had pincer-type FAI and 33 (39.8%) had combined-type. Although the pain site or gender was not tightly clustered, the distribution of final diagnosi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hip pain location or gender. Especially, SpA or HD was not observed in younger women subgroup or elder men subgroup, respectively, when stratified by the mean age of participants. Conclusion: Most (> 80%) young patients with hip pain, a difficult issue to diagnosis for many primary physicians, had FAI syndrome, HD, spine lesions, and SpA. This study could give a chance to feedback information about cases with un- or mis-diagnosed hip pain, and it suggests that primary physicians need to be familiar with the diagnostic approach for these 4 diseases.

한강권역 내 하도 자연성이 어류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tream Channel Naturalness on Aquatic Ecological Health in the Han River, South Korea)

  • 김현지;노성유;정현기;문정숙;신유나;이경락;이수웅;이재관
    • 생태와환경
    • /
    • 제51권4호
    • /
    • pp.311-321
    • /
    • 2018
  • 본 연구는 하천 내 하도 자연성이 어류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8~2016년 간 한강권역의 자연사행하천과 하도정비로 직강화된 하천의 수질환경요인과 FAI를 비교 분석하였다. 하도 자연성에 따른 우점종의 출현빈도를 분석한 결과, 자연사행하천에서 민감성 및 충식성 어종이 우세한 반면, 하도 직강화 하천에서는 내성 및 잡식성 어종이 우점하는 빈도가 높은 양상을 보였다. 하도 및 저수로의 직강화로 인해 하도 자연성이 감소함에 따라 FAI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생태적 어류군집구조 특성이 반영된 메트릭인 민감종수(M3) 및 충식종의 개체수 비율(M6)의 감소와 잡식종의 개체수 비율(M5)의 증가가 FAI 변화에 주요요인으로 나타났다. 하도 자연성 감소에 따른 연도별 FAI 하락은 BOD, TN, TP, 전기전도도, 탁도의 증가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하도 및 저수로의 직강화로 인한 수질변화는 물리적 서식환경의 교란과 함께 어류 건강성에 주요 영향요인으로 판단된다.

Computational Design of Electrode Networks for Preferentially Aligned Short Fiber Composite Component Fabrication via Dielectrophoresis

  • Srisawadi, Sasitorn;Cormier, Denis R.;Harrysson, Ola L.A.;Modak, Sayantan
    • International Journal of CAD/CAM
    • /
    • 제12권1호
    • /
    • pp.20-28
    • /
    • 2012
  • Finite Element Analysis (FEA) is often used to identify local stress/strain concentrations where a component is likely to fail. In order to reduce the degree of strain concentration, component thickness can be increased in those regions, or a stronger material can be used. In short fiber reinforced composite materials, strength and stiffness can be increased through proper fiber alignment. The field-aided microtailoring (FAiMTa) process is one promising method for doing this. FAiMTa uses principles of dielectrophoresis to preferentially align particles or fibers within a matrix. To achieve the preferred fiber orientation, an interdigitated electrode network must be integrated into the mold halves which can be fabricated by additive manufacturing (AM) processes. However,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preferred fiber arrangements and electrode locations can be very challenging. This paper presents algorithms to semi-automate the interdigitated electrode design process. The algorithm has been implemented in the Solidworks CAD system and is demonstrated in this paper.

파괴면적지수법을 이용한 복합재료 기계적 체결부의 강도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ngth of mechanically fastened composite joint using the failure area index method)

  • 전영준;최진호;권진회
    • Composites Research
    • /
    • 제16권5호
    • /
    • pp.1-6
    • /
    • 2003
  • 복합재료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복합재료 구조물의 효율성은 복합재료 구조자체 보다는 복합재료 체결부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복합재료 체결부의 설계는 매우 중요한 연구분야가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체결부의 형상변화 및 적층순서의 변화에 따른 파손하중을 파괴면적지수법에 의한 수치적인 예측과 실험치를 비교하여 파괴면적지수법의 유용성을 검토하였다. 연구되어진 II cases에 대해서 파괴면적지수법에 의한 예측하중은 측정된 파손하중과 최대 9.96%내의 오차를 가짐을 볼 수 있었다.

원주천의 어류군집을 이용한 생태적 건강성 평가 연구 (Study on the Evaluation of Ecological Health by using Fish Communities in the Wonju Stream, Korea)

  • 박현경;최준길;원경호;이황구
    • 환경생물
    • /
    • 제35권4호
    • /
    • pp.684-693
    • /
    • 2017
  •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에 위치한 원주천의 현재의 어류상을 파악하고, 과거와 현재의 변화를 통하여 하천 건강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현지조사는 2015년 5월부터 2016년 9월까지 총 4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총 9과 27종 5,201개체가 출현하였으며, 피라미(Zacco platypus)가 우점하고, 돌고기(Pungtungia herzi)가 아우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유종은 총 8종으로 고유종 빈도는 16.54%로 분석되었다. 군집분석 결과 평균 우점도지수는 0.72 (${\pm}0.10$), 다양도지수는 1.37 (${\pm}0.32$), 균등도지수 0.61 (${\pm}0.13$), 풍부도지수 1.70 (${\pm}0.23$)으로 분석되었다. 내성도 길드 분석 결과 중간종의 개체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섭식도 길드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잡식종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분포하였다. 물리적 서식지 평가지수(QHEI) 분석결과 평균 121.2(${\pm}23.4$)로 양호한 서식처 환경을 나타냈으며, 어류평가지수(FAI)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A~B등급으로 하천건강성이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FAI와 다양한 항목 간의 상관성 분석결과 QHEI, 잡식종, 충식종, 중간종, 민감종, 우점도, 다양도, 균등도, 풍부도는 통계적으로 높은 상관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만경강 본류의 어류 트로픽 길드, 오염 내성도 및 다변수 생태건강도에 대한 화학적 수질영향 (The influence of chemical water quality on fish trophic guilds, pollution tolerance, and multi-metric ecological health in the main streams of Mangyeong River)

  • 나현희;이상재;안광국
    • 환경생물
    • /
    • 제37권1호
    • /
    • pp.8-1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본류에서 2009~2016년 동안 어류의 트로픽 길드, 오염도, 내성도 및 어류평가지수(Fish Assessment Index; FAI)에 기반을 둔 다변수 생태건강도에 대한 화학적 수질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질 지표로서 전기전도도, 총인(TP) 및 암모니아성 질소($NH_4-N$) 농도는 최하류지점에서 가장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현장 조사 결과, 8년간 만경강 본류에서는 총 14과 50종이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은 내성종으로 잘 알려진 피라미(Zacco platypus)로서 22.9%를 차지하여 트로픽 특성의 악화현상을 보였고, 최류역에서는 비정상어종의 상대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생태교란이 아주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Pearson 상관도 분석에 따르면, 내성어종 및 잡식어종의 상대빈도는 전기전도도, BOD 및 $NH_4-N$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r>0.30, p<0.05)를 보였고, 민감어종 및 충식어종의 상대빈도는 이들 변수들과 유의한 역상관 관계(r<-0.3, p<0.01)를 보였다. 어류 다변수 모델(FAI)을 이용한 생태건강도로서 평가된 FAI 모델 값은 평균 47(n=40)로서 건강도는 "보통상태(C)"로서 나타났고, 하류역(S3~S5) 지역에서 모델값은 모두 "나쁜상태(D)"로 나타나 수질악화에 의한 영향으로 평가되었다.

Adsorption of Cu(II) Ions onto Myristica Fragrans Shell-based Activated Carbon: Isotherm, Kinetic and Thermodynamic Studies

  • Syahiddin, D.S.;Muslim, A.
    • 대한화학회지
    • /
    • 제62권2호
    • /
    • pp.79-86
    • /
    • 2018
  • This study reported the adsorption of Cu(II) ions onto activated carbon prepared from Myristica Fragrans shell (MFS AC) over independent variables of contact time, activating chemical (NaOH) concentration, initial adsorbate concentration, initial pH of adsorbate solution and adsorption temperature. The MFS AC structure, morphology and total surface area were characterized by FTIR, SEM and BET techniques, respectively. The Cu(II) ions adsorption on the MFS AC (activated using 0.5 M NaOH) fitted best to Freundlich adsorption isotherm (FAI), and the FAI constant obtained was 0.845 L/g at $30^{\circ}C$ and pH 4.5. It followed the pseudo first order of adsorption kinetic (PFOAK) model, and the PFOAK based adsorption capacity was 107.65 mg/g. Thermodynamic study confirmed the Cu(II) ions adsorption should be exothermic and non-spontaneous process, physical adsorption should be taken place. The total surface area and pore volume based on BET analysis was $99.85m^2/g$ and 0.086 cc/g,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