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18-FDG

검색결과 540건 처리시간 0.026초

18FDG 합성시 핫셀장비 외부로 유출 방사선의 선량 평가 (Evaluation of the Radiation Dosage Flowing out of the Hot Cell During Synthesis of 18FDG)

  • 정홍문;정재은;조준호;원도연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365-369
    • /
    • 2013
  •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을 촬영하기 위해서는 방사선 의약품 동위원소를 사용하여 인체 내에 정맥주사를 한다. 이 경우 대표적으로 사용하는 방사선 의약품은 $^{18}FDG$ (Fluorodeoxyglucose)이다. 의료용 싸이크로트론으로 생산하는 $^{18}F$에 deoxyglucose를 합성하기 위해서 합성용 카세트장치가 필요하다. 방사성 의약품 제조시에는 많은 양의 2차 방사선이 발생이 된다. 따라서 2차 방사선을 차폐하기 위하여 핫셀(Hot cell)을 사용한다. 우리는 $^{18}FDG$ 합성 또는 분배시에 핫 셀 외부로 유출되는 선량을 측정하였다. 이번 실험은 $^{18}FDG$ 제조 작업시에 의도하지 않게 발생할 수 있는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피폭에 관한 선량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결론적으로 핫셀 내부에서 외부로 $^{18}FDG$ 합성시에 선량이 유출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핫셀에서 핫셀 내부를 볼 수 있는 납유리에서 외부로 방사선이 유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18}FDG$ 합성시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피폭선량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핫셀 존재하는 납유리의 개선점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세포암에서 $^{18}F-FDG$ PET의 임상 이용 (Clinical Application of $^{18}F-FDG$ PET in Hepatocellular Carcinoma)

  • 오소원;김석기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2권sup1호
    • /
    • pp.60-65
    • /
    • 2008
  • Hepatocellular carcinoma is the most common primary tumor in the liver. FDG PET has been applied for staging and treatment planning of hepatocellular carcinoma. It could reflect tumor prognosis because glucose metabolism assessed by FDG PET is known to have correlations with the differentiation and aggressiveness of the tumor. Although the ability of FDG PET to detect well-differentiated or low grade tumors and intra-hepatic lesions is not good, it is expected to playa major role in pre-surgical assessments for liver transplantation because it is useful in detecting extra-hepatic lesions and unexpected distant metastases with a better diagnostic performance than other conventional imaging modalities. Additionally, FDG PET has an advantage to screen other cancers through whole body scanning. As a new tracer for PET, Acetate demonstrates high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o FDG in evaluating hepatocellular carcinoma. It thus seems that simultaneous use of Acetate PET with FDG PET could be helpful in diagnosis, especially detecting extra-hepatic metastases.

월경 주기에 따른 18F-FDG PET/CT에서 유방 섭취 변화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he Changes of Breast Uptake in Menstrual Cycle on 18F-FDG PET/CT)

  • 탁여진;박민수;이주영;박훈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8권1호
    • /
    • pp.31-38
    • /
    • 2015
  • $^{18}F-FDG$ PET/CT는 당대사로 인한 암세포의 비정상적인 섭취를 통해 암을 진단하는 유용한 검사이다. 일반적으로 FDG는 암세포와 염증성 질환에 높은 섭취를 보이나, 환자의 생리적 특성에 따라 정상세포에도 비정상적인 섭취를 나타내기도 한다. 특히 여성 월경 주기에 따른 유방의 비정상적인 섭취는 미세한 유방 병변의 정확한 진단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월경 주기에 따른 유방의 FDG 섭취 변화를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평가 대상은 부인과 병력이 없고 6개월 이상 규칙적인 월경 주기를 가진 160명의 여성($34{\pm}3.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 문진과 Pregnancy Calculator 0.14.를 이용하여 월경기, 증식기, 배란기, 분비기로 나누어 각각 40명씩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PET/CT 장비는 Discovery STe(GE Healthcare, Milwaukee, Mi, USA)를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월경 주기 별 유방의 SUV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핵의학 전문의 3명을 통해 Blind Test로 육안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유방의 SUV는 월경기($1.64{\pm}0.25$), 증식기($0.93{\pm}0.28$), 배란기($1.66{\pm}0.26$), 분비기($1.77{\pm}0.28$)로 나타났으며 분비기가 가장 높고 월경기와 배란기에서도 높은 섭취를 나타냈다(p<0.05). 또한 육안적 분석에서는 간과 폐의 집적에 대하여 유방의 집적 정도를 단계별로 나누어 폐와 유사한 섭취를 보인 경우(Grade I), 폐와 간 중간 정도의 섭취를 보인 경우(Grade II), 간과 같거나 높은 섭취를 보인 경우(Grade III)로 구분하였으며, 육안적 평가에서도 분비기와 월경기에서 높은 섭취를 보였다(p<0.05). 가임기 여성은 월경 주기에 따라 유방의 18F-FDG 섭취 정도가 변화되며, 특히 미세한 유방 병변을 진단하는데 월경 주기의 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 전 문진을 통하여 가임기 여성의 정확한 월경 주기를 확인하고 적정한 시기를 유도하여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유방 질환에 대한 위음성 결과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월경 주기에 따른 $^{18}F$-FDG PET/CT에서의 유방 섭취 변화에 관한 고찰 (A Study of the Change of Breast Uptake in Menstrual Cycle on $^{18}F$-FDG PET/CT)

  • 박민수;박훈희;김정열;임한상;김재삼;이창호
    • 핵의학기술
    • /
    • 제15권1호
    • /
    • pp.39-44
    • /
    • 2011
  • $^{18}F$-FDG PET/CT는 당대사로 인한 암세포의 비정상적인 섭취를 통해 암을 진단하는 유용한 검사이다. 일반적으로 FDG는 암세포와 염증성 질환에 높은 섭취를 보이나, 환자의 생리적 특성에 따라 정상세포에도 비정상적인 섭취를 나타내기도 한다. 특히 여성 월경 주기에 따른 유방의 비정상적인 섭취는 미세한 유방 병변의 정확한 진단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월경 주기에 따른 유방의 FDG 섭취 변화를 비교 평가하고자 한다. 2009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부인과 병력이 없고 6개월 이상 규칙적인 월경 주기를 가진 160명의 여성($34{\pm}3.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 문진과 Pregnancy Calculator (Ver. 0.14)를 이용하여 월경기, 증식기, 배란기, 분비기로 나누어 각각 40명씩 정보를 수집하였으며, PET/CT 장비는 Discovery STe(GE Healthcare, Milwaukee, Mi, USA)를 이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월경 주기 별 유방의 SUV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핵의학 전문의 3명을 통해 Blind Test로 육안적 평가를 시행하였다. 유방의 SUV는 월경기($1.64{\pm}0.25$), 증식기($0.93{\pm}0.28$), 배란기 ($1.66{\pm}0.26$), 분비기($1.77{\pm}0.28$)로 나타났으며 분비기가 가장 높고 월경기와 배란기에서도 높은 섭취를 나타냈다(p<0.05). 또한 육안적 분석에서는 간과 폐의 집적에 대하여 유방의 집적 정도를 단계별로 나누어 폐와 유사한 섭취를 보인 경우(grade I), 폐와 간 중간 정도의 섭취를 보인 경우(grade II), 간과 같거나 높은 섭취를 보인 경우(grade III)로 구분하였으며, 육안적 평가에서도 분비기와 월경기에서 높은 섭취를 보였다(p<0.05). 가임기 여성은 월경 주기에 따라 유방의 $^{18}F$-FDG 섭취 정도가 변화되며, 특히 미세한 유방 병변을 진단하는데 월경 주기의 정보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검사 전 문진을 통하여 가임기 여성의 정확한 월경 주기를 확인하고 적정한 시기를 유도하여 검사를 시행함으로써 유방 질환에 대한 위음성 결과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방사성 의약품 자동 분주장치의 유용성 및 최적화된 분주방법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Usefulness of Auto Dispenser and Optimized Dispensing Method)

  • 이정은;김호성;류재광;정우영
    • 핵의학기술
    • /
    • 제17권2호
    • /
    • pp.59-66
    • /
    • 2013
  • 최근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외부피폭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방사성 의약품 자동 분주장치를 사용하는 병원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방사성 의약품 자동 분주장치는 주사기의 피스톤을 잡아당기는 거리(mm)를 조절하여 방사성 의약품을 자동 분주 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장비에 장착한 바이알 내 방사성 의약품의 비방사능이 클 때 소량의 원하는 단위 방사능의 방사성 의약품을 분주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방사성 의약품 자동 분주장치의 방사능 차폐능력을 평가하고 장비의 분주 재현성을 극대화하는 최적화된 분주방법을 찾고자 세 가지 실험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자동 분주장치의 사용여부에 따른 방사선 작업종사자의 손과 흉부의 피폭 비교 실험이다. 환자에게 $^{18}F-FDG$ 투여 시 30명은 자동 분주로, 30명은 수동으로 분주하여 투여하고 주사과정에서 방사선 작업종사자가 받는 손과 흉부의 피폭선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흉부 피폭선량은 독립표본 t-검정 결과, 분주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손의 피폭선량은 자동 분주 시 오른손 검지에서 11.5배 왼손 검지에서 4.8배 낮게 측정되었다. 두 번째 실험은 자동 분주장치의 분주 용량 재현성 평가이다. 생리식염수가 담긴 바이알을 장비에 장착하고 분주하고자 하는 용량을 1부터 15 mm까지 1 mm씩 증가시키면서 5회씩 분주하였을 때 주사기의 무게를 뺀 분주된 생리식염수만의 무게를 마이크로 저울로 측정하여 표준편차와 변동계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준편차는 분주하고자 하는 용량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불규칙하게 나타났지만 변동계수는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또한 작은 크기의 주사기를 사용하였을 때 더 낮은 표준편차와 변동계수를 나타냈다. 세 번째 실험은 자동 분주장치의 분주 방사능 재현성 평가이다. 장비에 장착된 바이알 내 $^{18}F-FDG$의 비방사능이 다를 때 70 kg 환자를 기준으로 kg당 5.17 MBq (0.14 mCi)인 362.6 MBq (9.8 mCi)${\pm}10%$를 분주 후 동일 용량에서 4회 더 분주 하여 dose calibrator에서 방사능을 측정하고 그 표준편차와 변동계수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장비에 장착된 바이알 내 $^{18}F-FDG$의 비방사능이 증가할수록 표준편차와 변동계수 모 두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으며 작은 크기의 주사기를 사용할 때 더 낮은 편차를 보였다. 또한 바이알 내 $^{18}F-FDG$의 비방사능이 2 mL 주사기를 사용할 때에는 약 1,020 MBq/mL (27.6 mCi/mL) 이하, 5 mL 주사기를 사용할 때에는 약 915 MBq/mL (24.7 mCi/mL) 이하일 때 변동계수를 10% 미만으로 유지시키며 더욱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Diagnostic Performance of 18F-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T for Chronic Empyema-Associated Malignancy

  • Miju Cheon;Jang Yoo;Seung Hyup Hyun;Kyung Soo Lee;Hojoong Kim;Jhingook Kim;Jae Il Zo;Young Mog Shim;Joon Young Choi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0권8호
    • /
    • pp.1293-1299
    • /
    • 2019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18F-fluorodeoxyglucose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18F-FDG PET/CT) for chronic empyema-associated malignancy (CEAM).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18F-FDG PET/CT images of 33 patients with chronic empyema, and analyzed the following findings: 1) shape of the empyema cavity, 2) presence of fistula, 3) maximum standardized uptake value (SUV) of the empyema cavity, 4) uptake pattern of the empyema cavity, 5) presence of a protruding soft tissue mass within the empyema cavity, and 6) involvement of adjacent structures. Final diagnosis was determined based on histopathology or clinical follow-up for at least 6 months. The abovementioned findings were compared between the 18F-FDG PET/CT images of CEAM and chronic empyema.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was also performed. Results: Six lesions were histopathologically proven as malignant; there were three cases of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two of squamous cell carcinoma, and one of poorly differentiated carcinoma. Maximum SUV within the empyema cavity (p < 0.001) presence of a protruding soft tissue mass (p = 0.002), and involvement of the adjacent structures (p < 0.0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CEAM and chronic empyema images. The maximum SUV exhibited the highest diagnostic performance, with the highest specificity (96.3%, 26/27), positive predictive value (85.7%, 6/7), and accuracy (97.0%, 32/33) among all criteria. On ROC analysis, the area under the curve of maximum SUV was 0.994. Conclusion: 18F-FDG PET/CT can be useful for diagnosing CEAM in patients with chronic empyema. The maximum SUV within the empyema cavity is the most accurate 18F-FDG PET/CT diagnostic criterion for CEAM.

NEMA IEC Body Phantom을 이용한 18F-FDG PET/CT 영상의 왜곡 평가 (Evaluation of 18F-FDG PET/CT Image Distortion by NEMA IEC Body Phantom)

  • 박준철;양한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427-433
    • /
    • 2013
  • Recently, 18F-FDG PET based CT scan was a critical examination that the after, before plan diagnosis and treatment of tumors. But, due to the distortion of SUV that should be proportional to the metabolic rate of glucose in the tumor, the other measurement methods are being on study. In this study, compared the degree of distortion of SUV that according to the volume of the tumor analysis ROI and VOI using the NEMA IEC Phantom. The results, the SUVmax, mean value are rapidly decreased with threshold value 500 mm2 interval of the ROI analysis, 1500 mm3 interval of the VOI analysis. When compared SUVmax value SUVmean, ROI and VOI analysis VOI measurements was 1.077 times higher SUVmax was 0.981 times highe compared to the value of the ROI measurement. Compare MTV, SUV 2.0 as measured by the volume of the VOI to Volume showed a slightly higher results(Volume / MTV = $93.4 %{\pm}14.8 %$). Considering the above results, Tumor evaluation by 18F-FDG PET / CT scan Consider each threshold value should be analyzed due to larger SUV's Distortion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tumor. VOI analysis is recommended. because it showed the VOI analysis is higher than the ROI analysis SUVmax and lower SUVmean due to VOI analysis than once as a measure of the wider area as measured ROI analysis. MTV (R2 = 0.999), a result close to the actual size of the tumor. but, more research is needed in this regard, because SUV according to the standards of value are affected.

Feasibility of Shrinking Field Radiation Therapy through 18F-FDG PET/CT after 40 Gy for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s

  • Ding, Xiu-Ping;Zhang, Jian;Li, Bao-Sheng;Li, Hong-Sheng;Wang, Zhong-Tang;Yi, Yan;Sun, Hong-Fu;Wang, Dong-Q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1호
    • /
    • pp.319-323
    • /
    • 2012
  • Objective: To explore the feasibility of shrinking field technique after 40 Gy radiation through 18F-FDG PET/CT during treatment for patients with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Methods: In 66 consecutive patients with local-advanced NSCLC, 18F-FDG PET/CT scanning was performed prior to treatment and repeated after 40 Gy. Conventionally fractionated IMRT or CRT plans to a median total dose of 66Gy (range, 60-78Gy) were generated. The target volumes were delineated in composite images of CT and PET. Plan 1 was designed for 40 Gy to the initial planning target volume (PTV) with a subsequent 20-28 Gy-boost to the shrunken PTV. Plan 2 was delivering the same dose to the initial PTV without shrinking field. Accumulated doses of normal tissues were calculated using deformable image registration during the treatment course. Results: The median GTV and PTV reduction were 35% and 30% after 40 Gy treatment. Target volume reduction was correlated with chemotherapy and sex. In plan 2, delivering the same dose to the initial PTV could have only been achieved in 10 (15.2%) patients.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were observed regarding doses to the lung, spinal cord, esophagus and heart. Conclusions: Radiotherapy adaptive to tumor shrinkage determined by repeated 18F-FDG PET/CT after 40 Gy during treatment course might be feasible to spare more normal tissues, and has the potential to allow dose escalation and increased local control.

전신성 홍반성 루푸스에서 F-18 FDG PET상 기저핵 포도당대사 증가 소견을 보이는 무도병 1예 (Chorea in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Evidence for Bilateral Putaminal Hypermetabolism on F-18 FDG PET)

  • 서욱장;정선미;고수진;이창근;김재승;임주혁;유빈;문희범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25-330
    • /
    • 2003
  • Purpose: We describe a 54-year-old woman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who suddenly presented with chorea and had positive antiphospholipid antibodies. F-18 FDG PET showed abnormally increased glucose metabolism in bilateral putamen and primary motor cotex. Tc-99m ECD SPECT also showed abnormally increased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in bilateral putamen. She was treated with corticosteroid and aspirin after which the symptoms improved. Four months later, follow up F-18 FDG PET showed improvement with resolution of hypermetabolism in bilateral putamen. This case suggests that striatal hypermetabolism is associated with chorea in SLE.

구강암 환자에서 $^{18}F$ FDG-PET/CT의 경부 림프절 전이 평가 유용성 (USEFULNESS OF $^{18}F$-FDG PET/CT IN THE EVALUATION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IN PATIENTS WITH ORAL CANCER)

  • 유민기;유선열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4호
    • /
    • pp.213-220
    • /
    • 2009
  • Purpose: The present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usefulness of 18F-FDG PET/CT in the evaluation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in patients with or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Twenty-two patients who underwent neck dissection to treat oral cancer were subjected for examination. The cervical node metastasis was evaluated by means of clinical examination, CT scan, PET, and histologic examination. By comparing the results of each examination modality with those of histologic examination, it's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were determined. Results: The oral cancer was more frequent in males with a ratio of 2.14:1. The sixth decade showed the highest incidence in age distribution with mean of $56{\pm}16$. Histologic findings showed that squamous cell carcinoma was the most common (15 patients), and mucoepidermoid carcinoma (3), malignant melanoma (2), and adenoid cystic carcinoma and ghost cell odontogenic carcinoma (1 each), in order. In most cases, wide surgical excision of the primary cancer and neck dissection was performed, followed by reconstruction with free flaps when necessary. When comparing the results of each examination modality with those of the histologic examination, clinical examination showed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 at 11%, 85%, 33%, and 58%, respectively. CT scans showed at 67%, 77%, 67%, and 77%, while $^{18}F$-FDG PET/CT at 78%, 77%, 70%, and 83%, respectively.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T is more useful, compared with clinical examination and CT scans, in the evaluation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in patients with oral canc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