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26B

검색결과 468건 처리시간 0.04초

Holstein종 유우(乳牛)의 비유량(泌乳量) 및 유조성분(乳組成分)에 미치는 유전(遺傳) 및 환경(環境)의 효과(效果) (Gene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Lactation Yield and Milk Compositions in Holstein Cow)

  • 상병찬;서길웅
    • 농업과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45-53
    • /
    • 1994
  • 본(本) 연구(硏究)는 1990년부터 1991년까지 국립종축원에서 사육한 Holstein종 159두에서 조사된 성적을 근거로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종모우(種牡牛), 분만계절(分娩季節)및 산차(産差)가 비유량(泌乳量)인 유량(乳量) 및 유지방량과 유조성분(乳組成分)인 유지율(乳脂率), 유단백질율(乳蛋白質率), 무지고형분율(無脂固型紛率)및 총고형분율(總固型紛率)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추정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비유량(泌乳量)에 있어서 유량(乳量)및 유지량(乳脂量)은 각각 $7,26.56{\pm}3,57.24$$230.95{\pm}43.56Kg$ 이었고, 유조성분(乳組成分)에 있어서는 유지율(乳脂率), 유단백질율(乳蛋白質率), 무지고형분율(無脂固型紛率) 및 총고형분율(總固型紛率)에 있어서 각각 $3.69{\pm}0.43$, $3.32{\pm}0.41$, $9.15{\pm}0.49$$12.75{\pm}0.96%$ 이었고, 변이계수는 유량, 유지량, 유지율 및 유단백질율에서 각각 18.68, 17.64, 11.88 및 12.34%이었다. 2. 종모우(種牡牛)의 효과(效果)에 있어서는 유량(乳量)과 유지량(乳脂量)및 유지율(乳脂率)에서 고도의 유의차 (P<0.01)가 인정되었으며, 유단백질율(乳蛋白質率) 및 총고형분율(總固型粉率)에서도 유의차 (P<0.05)가 인정되었다. 모우별(牡牛別)로는 유량(乳量)에서 B, L, 및 O 종모우(種牡牛)가 각각 7,571.22, 7,499.11 및 7,420.58Kg으로 가장 우수하였고, 유단백질율에서는 A, F 및 K 종모우가 각각 3.75, 3.64 및 3.65%로 다른 종모우에 비하여 높았다. 3. 산차(産差)의 효과(效果)에 있어서 유량(乳量)에서 고도의 유의차 (P<0.01)가 인정되었으며, 유지방량 및 유지율(乳脂率)에서는 유의차(P<0.05)가 인정되었고, 산차별(産差別)로는 유량(乳量)과 유지방량에서 3산차(産差)가 각각 7,634.54 및 274.98Kg로 가장 우수하였고, 유지율 및 유단백질율에서는 4산차 이상이 각각 3.90, 3.50%로 다른산차에 비하여 높았다. 4. 분만계절(分娩季節)의 효과(效果)에 있어서는 유량(乳量)에서 고도의 유의차 (P<0.01)가 인정되었으며 유지량(乳脂量), 유지율(乳脂率), 유단백질율(乳蛋白質率), 및 총고형분율(總固型紛率)에서 유의차(P<0.05)가 인정되었으며, 분만계절별(分娩季節別)로는 유량(乳量)에 있어서 봄과 겨울이 각각 7,310.31 및 7,364.57Kg로 우수하였고, 유단백질율에 있어서는 봄과 가을이 각각 3.68 및 3.52%로 우수하였다.

  • PDF

PET/CT 검사 시 움직임 보정 기법의 유용성 평가 (The Correction Effect of Motion Artifacts in PET/CT Image using System)

  • 조영학;유세종;배석환;선종률;김성호;이원정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45-52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의료기관에서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암을 비롯한 여러 질환을 검사하는 PET/CT 검사에서 환자의 움직임으로 인한 영상의 질 저하와 판독 오류를 발생할 수 있는 점을 보완하기 위해 AI 기반의 Algorithm을 이용하여 개발한 Mothion Free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호흡으로 인한 움직임의 보정 정도를 확인하고 유용성을 평가하여 임상에서의 적용을 위한 연구를 하였다. 실험 방법은 RPM Phantom을 사용하여 방사성동위원소 18F-FDG를 진공 바이알과 서로 다른 크기 NEMA IEC body Phantom의 sphere에 방사성동위원소를 주입하고 이것의 움직임을 호흡 시 움직이는 병소로 연출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진공 바이알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움직임 정도를 다르게 하였고, 서로 다른 크기 NEMA IEC body Phantom의 sphere는 서로 다른 병소의 크기를 연출 하였다. 획득한 영상을 통하여 병소의 체적, 최대 SUV, 평균 SUV를 각각 측정하여 Mothion Free가 움직임 보정 정도를 정량적 평가를 하였다. 움직임 정도를 크게 설정한 진공바이알 A의 평균 SUV는 23.36 %, 움직임 정도를 작게 설정한 진공 바이알 B는 29.3 % 오차율이 감소하였다. NEMA IEC body Phantom의 sphere 37 mm, 22 mm에서의 평균 SUV는 각각 29.3 %, 26.51 % 오차율이 감소하였다. 오차율을 산출한 네 가지 측정치의 평균 오차율 30.03 % 감소하여 보다 정확한 평균 SUV 값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에서는 2차원적인 움직임 만을 연출할 수 있었기에 보다 정확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서는 실제 인체의 호흡 운동을 구현할 수 있는 Phantom을 이용하고, 움직임의 범위의 다양성을 구성한다면 보다 정확한 유용성 평가를 할 수 있다고 연구된다.

서낙동강 강수의 화학적${\cdot}$세균학적 수질 (Chemical and Bacteriological Water Qualify of the Sonakdong River)

  • 김용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47-355
    • /
    • 1986
  • 서낙동강의 강수는 김해평야에 농업 용수의 공급원으로서 뿐만아니라 수산 용수로서도 중요한 수계이다. 김해시민들에 의하여 배출되는 생활 오수, 김해평야에 살포되는 농약 등의 유입과 양대 수문에 의한 강수의 완만한 유동으로 서낙동강의 수역을 급속도로 오탁시킬 우려성을 갖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 수질 관리에 대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1985년 7월부터 12월까지 7회에 걸쳐 8회 지점에서 총 시료 56개로서 강수 수질의 일반성상, 영양염류와 오염지표세균에 대한 조사 결과를 보고하는 바이다. 1. pH의 변화범위와 평균치는 $6.3{\sim}9.4$, 7.91이었으며, 중${\cdot}$하부 수역에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수온은 $6.1{\sim}34.8^{\circ}C,\;23.88^{\circ}C$였고, 전기전도도(지점 $A{\sim}G$)는 $1.575{\times}10^2{\sim}30.50{\times}10^2{\mu}{\mho}/cm$로서 하구로 향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지점 F에서는 조만 강수의 영향으로 희석되어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 강우가 빈번하였던 8,9월은 갈수기 보다 월등히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염화이온 농도의 변화범위와 평균치는 $23.5{\sim}14,300mg/l$, 770.0mg/l로서 지점별로 큰 폭으로 변하였다. 이 농도의 변화범위 및 평균치는 수문이 없는 낙동강의 경우 귀포 지점에서 보다는 높은 값이었다. 2. 영양염류중의 아질산성 질소의 변화범위는 평균치는 $0.007{\sim}0.110mg/l$, 0.053mg/l, 질산성 질소는 $0.001{\sim}1.638mg/l$, 0.649mg/l, 암모니아성 질소는 $0.017{\sim}4.200mg/l$, 0.497mg/l, 인산성 인은 $0.011{\sim}0.281mg/l$, 0.086mg/l, 규산성 규소는 $2.4{\sim}6.5mg/l$, 4.43mg/l로 각각 나타났다. 3. 대장균군 최확수는 $36{\sim}110,000/100ml$, 분편계대장균은 $15{\sim}46,000/100ml$, 그리고 장구균은 $3.6{\sim}15,000/100ml$이었으며, 특히 지점 B와 C오염이 극심하였다. T.C/F.C값의 범위와 평균치는 $3.0{\sim}9.6,5.51$이었으며, 분편계대장균의 오염률이 $21.26\%$이었다. 또, F.C/F.S 값의 범위와 평균치는 $1.1{\sim}9.2$, 6.19이었으며, 4.0이상인 지점이 $75\%$로서 미처이된 분편에 의하여 오염되어 있음을 시사하여 준다. 대장균군의 조성은 E.coli군이 $52\%$로 제일 많이 분류되었고, Enterobacter aerogenes군이 $13\%$, Citrobacter freundii군 순이었다.

  • PDF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Reveals That the 20K and 38K Prophages in Listeria monocytogenes Serovar 4a Strains Lm850658 and M7 Contribute to Genetic Diversity but Not to Virulence

  • Fang, Chun;Cao, Tong;Shan, Ying;Xia, Ye;Xin, Yongping;Cheng, Changyong;Song, Houhui;Bowman, John;Li, Xiaoliang;Zhou, Xiangyang;Fang, Weihua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197-206
    • /
    • 2016
  • Listeria monocytogenes is a foodborne pathogen of considerable genetic diversity with varying pathogenicity. Initially, we found that the strain M7 was far less pathogenic than the strain Lm850658 though both are serovar 4a strains belonging to the lineage III. Comparative genomic approaches were then attempted to decipher the genetic basis that might govern the strain-dependent pathotypes. There are 2,761 coding sequences of 100% nucleotide identity between the two strains, accounting for 95.7% of the total genes in Lm850658 and 92.7% in M7. Lm850658 contains 33 specific genes, including a novel 20K prophage whereas strain M7 has 130 specific genes, including two large prophages (38K and 44K). To examine the roles of these specific prophages in pathogenicity, the 20K and 38K prophages were deleted from their respective strains. There were virtually no differences of pathogenicity between the deletion mutants and their parent strains, although some putative virulent factors like VirB4 are present in the 20K region or holin-lysin in the 38K region. In silico PCR analysis of 29 listeria genomes show that only strain SLCC2540 has the same 18 bp integration hotspot as Lm850658, whereas the sequence identity of their 20K prophages is very low (21.3%). The 38K and 44K prophages are located in two other different hotspots and are conserved in low virulent strains M7, HCC23, and L99. In conclusion, the 20K and 38K prophages of L. monocytogenes serovar 4a strains Lm850658 and M7 are not related to virulence but contribute to genetic diversity.

Historical Record of Mushroom Research and Industry in Korea

  • Yoo, Young Bok;Oh, Youn Lee;Shin, Pyung Gyun;Jang, Kab Yeul;Sung, Gi-Ho;Kong, Won-Sik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13-13
    • /
    • 2014
  • Two kinds of mushrooms, Gumji (金芝; Ganoderma) and Soji, were described in old book of Samguk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B.C 57~A.D 668; written by Bu Sik Kim in 1145) in Korea-dynasty. Many kinds of mushrooms were also described in more than 17 kinds of old books during Chosun-dynasty (1392~1910) in Korea. Nowadays, mushroom cultivation has been increased through out the world last decade years. Production of mushrooms has also been increased 10-20% and many varieties have been cultivated. Similar trends were also observed in Korea. Approximately two hundred commercial strains of 37 species in mushrooms were developed and distributed to cultivators. Somatic hybrid variety of oyster mushroom 'Wonhyeong-neutari' were developed by protoplast fusion, and distributed to grower in 1989. The fruiting body yield index of somatic hybrids of Pleurotus ranged between 27 and 155 compared to parental values of 100 and 138. In addition, more diverse mushroom varieties such as Phellinus baumi, Auricularia spp., Pleurotus ferulae, Hericium erinaceus, Hypsizigus marmoreus, Grifola frondosa, Agrocybe aegerita and Pleurotus cornucopiae have been attempted to cultivate in small scale cultivation. Production of mushrooms as food was 190,111 metric tons valued at 800 billion Korean Won (one trillion won if include mushroom factory products; 1dollar = 1,040 Won) in 2011. Major cultivated species are Pleurotus ostreatus, Pleurotus eryngii, Flammulina velutipes, Lentinula edodes, Agaricus bisporus, and Ganoderma lucidum, which cover 90% of total production. Since mushroom export was initiated from 1960 to 1980, the export and import of mushrooms have been increased in Korea. Technology developed for liquid spawn production and automatic cultivation systems lead to the reduction of the production cost resulting in the increasement of mushroom export. However some species were imported because of high production cost for these mushrooms requiring the effective cultivation methods. Developing of effective post-harvest system will be also directly related to mushroom export. In academic area, RDA scientists have been conducting mushroom genome projects. One of the main results is the whole genome sequencing of Flammulina velutipes for molecular breeding. An electrophoretic karyotype of of F. velutipes was obtained using CHEF with 7 chromosomes, with a total genome size of approximately 26.7 Mb. The mususcript of the genome of F. velutipes was published in PLOS ONE this year. For medicinal mushrooms, we have been conducting the genome research on Cordyceps and its related species for developing functional foods using this mushroom. In 2013,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ion (KFDA) approved Cordyceps mushroom for its value as an immune booster.

  • PDF

Influence of Ionophor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Dietary Energetic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Cattle during Period of Heat Stress

  • Barreras, A.;Castro-Perez, B.I.;Lopez-Soto, M.A.;Torrentera, N.G.;Montano, M.F.;Estrada-Angulo, A.;Rios, F.G.;Davila-Ramos, H.;Plascencia, A.;Zinn, 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6권11호
    • /
    • pp.1553-1561
    • /
    • 2013
  • Forty-eight crossbred heifers ($378.1{\pm}18$ kg) were used in a 56-d feeding trial (four pens per treatment in a randomised complete block design)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ionophor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dietary energetics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cattle during a period of heat stress. Heifers were fed a diet based on steam-flaked corn (2.22 Mcal $NE_m/kg$) with and without an ionophore. Treatments were: i) control, no ionophore; ii) 30 mg/kg monensin sodium (RUM30); iii) 20 mg/kg lasalocid sodium (BOV20), and iv) 30 mg/kg lasalocid sodium (BOV30). Both dry matter intake (DMI) and climatic variables were measured daily and the temperature humidity index (THI) was estimated. The maximum THI during the study averaged 93, while the minimum was 70 (THI average = $79.2{\pm}2.3$). Compared to controls, monensin supplementation did not influence average daily gain, the estimated NE value of the diet, or observed-to-expected DMI, but tended (p = 0.07) to increase (4.8%) gain to feed. Compared to controls, the group fed BOV30 increased ($p{\leq}0.03$) daily gain (11.8%), gain to feed (8.3%), net energy of the diet (5%), and observed-to-expected DMI (5.2%). Daily weight gain was greater (7.6%, p = 0.05) for heifers fed BOV30 than for heifers fed MON30. Otherwis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treatments in DMI, gain to feed, and dietary N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11). Plotting weekly intakes versus THI, observed intake of controls was greater (p<0.05) at THI values ${\leq}77$ than ionophore groups. When THI values were greater than 79, DMI of control and MON30 were not different (p = 0.42), although less than that of groups fed lasalocid (p = 0.04). Variation in energy intake was lower (p>0.05) in the ionophores group (CV = 1.7%) than in the control group (CV = 4.5%). Inclusion of ionophores in the diet resulted in relatively minor changes in carcass characteristics. It is concluded that ionophore supplementation did not exacerbate the decline of DM intake in heat-stressed cattle fed a high-energy finishing diet; on the contrary, it stabilised feed intake and favoured feed efficiency. Ionophore supplementation reduced estimated maintenance coefficients around 10% in finishing cattle during a period of heat stress. This effect was greatest for heifers supplemented with 30 mg lasalocid/kg of diet.

한우의 이유전 성장형질에 관한 유전모수 추정 (Estimation of Genetic Parameters on Pre-weaning Growth Traits in Hanwoo)

  • 황정미;최재관;김형철;최연호;이채영;양부근;신종서;김종복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171-176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생산성이 인정된 모돈 F1(YL)에 종료웅돈(Terminal Sire)으로 Duroc종 이외에 생산성 저하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는 최종 종료웅돈(Terminal Sire) Berkshire종과 Berkshire×Duroc(F1)을 YL(♀) 교배시켜 생산된 비육돈(YLD, YLB, YLBD)의 성장과 육질을 비교 분석 하였다. 성장형질에서는 YL(♀)×BD(♂)가 YL(♀)×D(♂)보다 우수하였으며, 조사된 성장형질 전체에서 유의적인 차이(p<0.05)를 보였다. 육질에서도 pH, 보수력, 육색이 다른 비육돈 보다 유의적으로(p<0.05) 우수하였고, 돼지 육질의 표준이 되는 등심조지방 함량에서 YL(♀)×BD(♂)가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교배조합별 육색에서는 YL(♀)×BD(♂)가 대체로 명도와 적색도가 높았으며,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는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장형질에서는 YL(♀)×BD(♂)가 비교 대상의 교배조합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육질에서도 YL(♀)×D(♂) 보다 좋거나 같아 비육돈 교배조합(YLBD)으로서의 이용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경우 경남 첨단양돈연구소의 계통조성이 완료된 American Berkshire종을 이용하여 경남의 경우 경남 첨단양돈연구소를 활용하여 별도의 비용이 없이 YLBD를 생산이 가능하겠으나, 다른 지역의 경우 Berkshire의 계통 조성하여 활용할 경우 기존의 종료웅돈 Duroc종을 계통 조성하는 비용만큼 더 소요될 것이라 사료된다.

잔디 동전마름병의 발생정도가 다른 골프장 그린 조건에서 살균제 혼용살포에 의한 상승적 방제 효과 (Synergistic Interaction of Fungicides in Mixtures under Different Conditions of Dollar Spot Disease Caused by Sclerotinia homoeocarpa)

  • 장석원;정석우;김세훈;박종현;이지영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96-101
    • /
    • 2012
  • Sclerotinia homoeocarpa F.T. Bennett에 의한 동전마름병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며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잔디병이다. 크리핑벤트그래스로 조성된 골프장 그린에서 propiconazole, thiophanate-methyl, chlorothalonil, trifloxystrobin, boscalid를 이용하여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propiconazole과 다른 4개의 약제를 각각 혼용하여 단용처리구 대비 상승효과를 조사하였다. 동전마름병은 2개 포장의 무처리구에서 각각 평균 18.3, 66.7%의 발생을 보였다. 약제의 약효는 병 발생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살균제를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 방제 효과는 발병도가 높았을 때보다 낮았을 때 우수하였다. 처리된 살균제 중 boscalid의 효과가 가장 높았다. 살균제 혼용처리구에서는 propiconazole + thiophanate-methyl 처리구를 제외하고 단독처리구 대비상승효과가 발견되었으나, 2개 포장 모두 혼용처리구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현장에서 동전마름병 방제 시 병 발생 조건에 따라 방제전략을 달리해야 할 것으로 보여진다.

온도와 시간을 주요 변수로한 훈제연어에서의 Listeria monocytogenes 성장예측모델 (Predictive mathematical model for the growth kinetics of Listeria monocytogenes on smoked salmon)

  • 조준일;이순호;임지수;곽효선;황인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20-124
    • /
    • 2011
  • 훈제연어의 L. monocytogenes에 대한 식중독 안전관리 방안 마련 및 위해평가 수행 등을 위하여 성장예측모텔을 개발하였다. 미생물 성장예측모델 개발 방법은 대상 식품 및 환경 조건에 따라 다양하며 통계적으로 유용한 모델을 사용하여야 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미생물 성장예측모델 개발에 널리 사용되어 그 적용성이 검토된 Gompertz model과 Polynomial model equation을 이용하여 훈제연어의 L. monocytogenes 최대성장속도(SGR) 및 유도기(LT)에 관한 예측모텔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모델의 적합성 평가를 위해 $B_f$$A_f$ factor를 산출하였고 최대성장속도(SGR)의 경우 0.98, 1.06, 유도기(LT)의 경우 1.60, 1.63으로 나타나 유도기의 적합성이 최대성장속도에 비하여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훈제연어에서의 L. monocytogenes 성장속도에 관한 모텔은, 수산업, 특히 훈제연어 생산, 가공, 보관 및 판매업에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더욱 정확한 예측모텔 개발을 위해서는 다양한 변수에 따른 미생물의 성장패턴 변화 등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실용형질이 우수한 녹색 형광실크 형질전환 누에 개발 (Development of the transgenic silkworm producing a improved green fluorescence cocoon)

  • 박옥란;김성완;김성렬;김기영;강석우;구태원;최광호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7-122
    • /
    • 2014
  • 선행연구를 통하여, 형질전환 누에를 제작하는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녹색 형광실크를 생산하는 형질전환 누에를 제작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녹색 형광실크 형질전환 누에와 국립농업과 학원이 보유하고 있는 누에 유전자원 중 유색견(絹) 누에품종을 이용하여 형질전환 누에와 유색견 누에품종 간 교차교배를 통한 잡종강세를 이용하여 고치 생산량 및 고치의 색채 등이 향상된 녹색 형광실크 형질전환 누에 1대 잡종(F1) 계통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선발된 실용형질이 우수한 농가보급형 녹색 형광실크 형질전환 누에 1대 잡종(F1) 계통은 기존 형질전환 누에의 녹색 형광단백질 뿐 아니라 유색견 누에 특유의 천연 연록색도 함께 갖고 있어 별도의 염색이 필요 없는 차별화된 고급 패션의류나 벽지 등의 고품질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