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insic Value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7초

소셜커머스의 경제적 가치와 정보품질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동기이론을 기반으로 (Influence of Economic Value and Information Quality on Repurchase Intention in Social Commerce based on Motivation Theory)

  • 강주희;문태수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6권2호
    • /
    • pp.63-83
    • /
    • 2017
  • Purpose: In Korea, market size of social commerce has been increased steadily and highly, but profits of social commerce companies have been decreased because of excessive marketing cost. To overcome this stagnant market environment, new marketing strategy that could attract customers and make customers continue to use social commerce is required instead of cost consuming marketing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characteristics of social commerce - that is, economic value and information quality - usefulness, enjoyment,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by applying motivation theory to the area of social commerce. Design/Methodology/Approach: Previous researches have been studied by applying Expectation-Confirmation Model (ECM),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nd Stimulus-Organism-Response (S-O-R) Model,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related with customer acceptance model in the field of e-commerce. However, there is not so many studies in applying motivation theory. So this study adopts new approach to examine why customers use social commerce based on motivation theory. Thus, this study adopts economic value and information quality as antecedents, and then customers will perceive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usefulness is extrinsic and enjoyment is intrinsic, and adopts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The data of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from customers who have experience to buy something in social commerce. 228 questionnaires as data unit of individual level were collected using random sampling. Findings: This study proved empiricall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s and motivation factors has a positive influence, and motivation factors als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epurchase intention through satisfaction. This study provides the managers an insight that social commerce companie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in order to increase higher performance in repurchase intention of social commerce.

사회적 기업가정신 및 창업동기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ocial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Motivation and Intention in Social Enterprises)

  • 정영수;정철호
    • 벤처창업연구
    • /
    • 제18권3호
    • /
    • pp.115-125
    • /
    • 2023
  •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에서 사회적 기업가정신 및 창업동기가 창업의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파악해 보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해 관련 선행문헌에 대한 종합적 고찰 결과를 토대로 연구 모형 및 가설을 개발하였다. 연구 모형은 사회적기업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혁신성, 위험감수성, 진취성, 사회적 가치 지향성을 포함하는 사회적 기업가정신과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로 구성된 창업동기를 설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사회적기업 관련 예비창업자 및 초기창업자 총 11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했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 모형 및 가설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네 가지 구성요소 모두는 내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기업가정신 중 혁신성과 진취성은 외적 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위험감수성과 사회적 가치 지향성은 외적 동기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네 가지 구성요소는 모두 창업의지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내적, 외적 창업동기 모두는 창업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내적, 외적 창업동기는 모두 긍정적인 매개역할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영리기업과는 차별화된 특성을 가지는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창업 인식 및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기업가정신, 창업동기를 구체화했으며, 이들 요인 간의 영향관계에 관한 실증분석을 통해 학문적, 실무적 차원의 시사점 도출을 시도하였다.

  • PDF

헤도닉 정보시스템의 지속적인 사용에 관한 연구: UCC를 중심으로 (IS Continuance of Hedonic Information Systems)

  • 서호철;안중호;양지윤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17권3호
    • /
    • pp.25-53
    • /
    • 2007
  • The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ECM) of information systems investigates the continued information systems usage behavior. This paper expands the original post-adoption beliefs and searches the applications in the emerging hedonic information systems. Previous IS researches focused on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s. However as the information technology (especially internet) evolves, information systems have not only emerged for the organizations but also for the individual users, such as internet portals, internet communities, on-line games etc. These information systems so called Hedonic Information Systems aims to provide self-fulfilling value rather than instrumental value to the users. Researches in other disciplines, including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research, illustrate that the hedonic and utilitarian perspective of goods and services have different influence on the consumer behavior. Goods and services used to be classified into either hedonic or utilitarian aspect but now they may belong to both aspects simultaneously. Moreover consumer's goals or tasks have both hedonic utilitarian aspects. When a consumer makes a decision to purchase or repurchase goods or services, he/she compares the hedonic and utilitarian perspectives of goods to find most suitable ones to satisfy their goals/tasks. Finally, consumer's behavior is determined by the trade-off between what the goods can provide to the consumers and in what extent the goods fulfill consumer's purchase behavior. Consumer also shows that the salience of hedonic perspective is relatively greater when consumer decides which of several items to give up (forfeiture choices) than the time when they decide which item to acquire (acquisition choices). Some researches in MIS discipline have found out that the information systems also have both hedonic and utilitarian perspectives. The decision process of whether to use information systems or not is similar to that of a consumer's decision of purchasing or repurchasing goods or services. However most of researches in MIS tend to focus on the extrinsic motivation variables which only cover the utilitarian perspective of information systems. It is only recent that researches start to investigate the intrinsic motivation variable - Perceived Enjoyment - for the hedonic perspective. Considering the consumer's purchasing decision process, users of information systems evaluate the systems through balancing between intrinsic (hedonic) and extrinsic (utilitarian) variables according to their main tasks or tendencies. This paper proposes a model that is based on the ECM of IS Continuance model modified from Expectation Confirmation Model to fit into the continued usage of information system. It first started from the decision process regarding hedonic and utilitarian perspectives in the consumer behavior literatures. The model deals with continued usage of information systems beyond the mere technology adoption as in most of the previous MIS researches. This research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the hedonic information systems, because their business model depends on the frequent usages rather simple adoption at the beginning. Because the basic model only considered the extrinsic motivations (perceived usefulness) to explain the users' behavior and as the information systems can have both hedonic and utilitarian dimensions, it should consider both perspectives. Therefore, this newly proposed model considers intrinsic variable (perceived enjoyment) as well. Since the individual user can have a preference on either aspects that is between the hedonic and utilitarian perspective depending on his/her main tasks or goals, some variables (Hedonic Orientation and Utilitarian Orientation) meaning the extents of users' pursuing from the information system were additionally studied.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이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ork Values and Career Decision Level on the Major Commit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 강종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447-455
    • /
    • 2018
  • 이 연구는 사회복지학 전공생을 대상으로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실시된 것으로, 강원도 소재 4개 대학의 사회복지학과 재학생 351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직업가치관은 내재적 가치관과 외재적 가치관으로 측정하였고, 진로결정수준은 진로결정수준검사(CDS)를 사용하였으며, 전공몰입은 몰입상태척도(FS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사회복지학 전공생의 직업가치관은 내재적 가치관은 4.05로 외재적 가치관 3.34 보다 높았으며, 진로결정수준은 3.43, 전공몰입은 3.54로 중간값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외재적 가치관은 진로결정수준(r=-.55, p<.001)과 전공몰입($r=-.51^{***}$)에 부(-)적 상관관계를, 반면에 내재적 가치관은 진로결정수준($r=.47^{***}$)과 정(+)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업가치관과 진로결정수준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종합모형에서 직업가치관의 외재적 가치관은 전공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beta}=-.34$, p<.001), 반면에 내재적 가치관(${\beta}=.31$, p<.001)과 진로결정수준(${\beta}=.18$, p<.001)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직업가치관, 진로결정수준 및 전공몰입에 관한 정책적 및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지식공유의 내재적 외재적 동기가 사회적 유대감과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Knowledge Contributors'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on Social Connectedness and Satisfaction)

  • 박소라;강재정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5권3호
    • /
    • pp.91-116
    • /
    • 2016
  • 목적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지식교류의 질과 양은 지식공유자의 재량에 달려있다. 지식공유자의 공유동기에 대한 이해는 지식교류의 질과 양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이 논문은 온라인 커뮤니티 상에서 지식공유 시에 느낄 수 있는 사회적인 효과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한다. 설계/방법론/접근 지식공유 모델에서, 숙련레벨에 따른 내재적 외재적 동기가치와 변수의 변화를 연구하여 그룹 간 비교한다. 연구모델에서는 명성과 이타주이가 내재적 외재적 동기가치의 선행변수로, 사회적 유대감과 만족이 종속변수로 쓰였다. 자기 결정 이론을 바탕으로 숙련레벨이 선행변수와 종속변수에 다르게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설명한다. 시사점 2005년 한국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정보공유 경험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중 262개의 샘플을 분석한 결과 사회적 유대감이 중요한 종속변수로 밝혀졌고, 숙련레벨에 따른 그룹 비교 분석은 이타주의가 숙련레벨이 높은 정보 공유자에게만 외재적 동기가치에 반 (-)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재적 동기가치는 숙련레벨이 낮은 그룹과 높은 그룹에서 만족에 정(+)의 영향을 끼치나 두 그룹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가지면서 숙련레벨이 높은 그룹이 더 강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학습동기가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on the Interaction in Online Cooperation Learning)

  • 이은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416-424
    • /
    • 2017
  • 본 연구는 학습동기가 온라인 협력학습에서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수도권의 A대학에서 교직과목을 수강하는 79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학습동기는 MSLQ를 통해서 내적목적, 외적목적, 과제가치, 학습신념, 시험불안,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상호작용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 협력과제를 수행하였다. 협력과제를 위한 집단 편성은 4-5명으로 구성하였다. 전공과 관계없이 무선으로 편성하였다. 상호작용의 수준은 빈도와 양적 가치를 부여한 점수로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다중회귀분석(단계적 선택방식)을 실시하여 학습동기가 상호작용의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자기효능감, 외적목표, 과제가치, 성취목표지향성의 수행접근성향과 숙달성향은 상호작용의 빈도와 점수에 정적인 영향이 있었다. 다음으로 시험불안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수행회피성향은 상호작용의 빈도와 점수에 부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협력학습 상황에서 학습자의 지도에 대한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공동가치창출을 위한 활성화 정책이 참여 동기에 미치는 조절 효과 분석 (The Moderating Effect of Activation Factors : An Empirical Study on the Motivation of Co-creation Participation)

  • 김나랑;홍순구;김종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227-236
    • /
    • 2016
  • 공동가치창출은 기업 내 외의 자원을 이용하여 혁신을 달성하는 중요한 접근방법이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객의 경험에 기반한 공동가치창출의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동가치창출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회수된 181개의 유효 데이타를 분석 하였다. 다중회귀분석과 조절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내재적 동기와 외재적 동기가 공동가치창출 참여에 미치는 영향과 활성화 요인의 조절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내재적 동기는 공동가치창출 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외재적 동기는 공동가치창출 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결과 공동가치창출 활성화 요인은 내재적 동기와 참여에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외재적 동기와 참여관계에서는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업에서 공동가치창출 참여 동기 요인에 근거하여 고객의 참여를 증진시키고 활성화 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데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여러 계층에서의 설문응답을 확보하여 분석한다면 연구결과의 객관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Induction of apoptosis by a hexane extract of aged black garlic in the human leukemic U937 cells

  • Park, Cheol;Park, Sejin;Chung, Yoon Ho;Kim, Gi-Young;Choi, Young Whan;Kim, Byung Woo;Choi, Yung Hy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2호
    • /
    • pp.132-137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In this study, the apoptogenic activity and mechanisms of cell death induced by hexane extract of aged black garlic (HEABG) were investigated in human leukemic U937 cells. MATERIALS/METHODS: Cytotoxicity was evaluated by MTT (3-(4, 5-dimethyl-thiazol-2-yl)-2, 5-diphenyl tetrazoliumbromide) assay. Apoptosis was detected using 4,6-diamidino-2-phenyllindile (DAPI) staining, agarose gel electrophoresis and flow cytometry. The protein levels were determined by Western blot analysis. Caspase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colorimetric assay. RESULTS: Exposure to HEABG was found to result in a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growth inhibition by induction of apoptosis, which was associated with an up-regulation of death receptor 4 and Fas legend, and an increase in the ratio of Bax/Bcl-2 protein expression. Apoptosis-inducing concentrations of HEABG induced the activation of caspase-9, an initiator caspase of the mitochodrial mediated intrinsic pathway, and caspase-3, accompanied by proteolytic degradation of poly(ADP-ribose)-polymerase. HEABG also induced apoptosis via a death receptor mediated extrinsic pathway by caspase-8 activation, resulting in the truncation of Bid, and suggesting the existence of cross-talk between the extrinsic and intrinsic pathways. However, pre-treatment of U937 cells with the caspase-3 inhibitor, z-DEVD-fmk, significantly blocked the HEABG-induced apoptosis of these cells, and increased the survival rate of HEABG-treated cells, confirming that HEABG-induced apoptosis is mediated through activation of caspase cascade. CONCLUSIONS: Based on the overall results, we suggest that HEABG reduces leukemic cell growth by inducing caspase-dependent apoptosis through both intrinsic and extrinsic pathways, implying its potential therapeutic value in the treatment of leukemia.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고객지식수준과 산업형태를 조절변수로 한 비교연구 (An Investigation into Determinant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 The Moderating Effect of Customers' Knowledge Level & Industry Types)

  • 임준영;임재영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4권2호
    • /
    • pp.1-25
    • /
    • 2002
  • This study tested major determinants of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by varying degrees of customers' knowledge level. Also, authors investigated the degrees of those impacts by classifying industries into two groups(service/manufacturing). Based on 4,000 completed surveys from five major cities, authors found the relationship among perceived quality, perceived value, and corporate image with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As a result, corporate image(extrinsic cue) was a major determinant to customers who are low knowledgeable and impacts of corporate image on customer satisfaction was stronger in service industry than manufacturing industry.

  • PDF

호텔직원의 근로가치관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Work Values of Hotel Employees on Job Commitment)

  • 이채은;박재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355-363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를 통해 호텔직원의 근로가치관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회귀분석이 이용되었는데, 연구결과는 내적근로가치관이 직무애착, 직무책임감, 직무중요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외적근로가치관도 직무애착, 직무책임감, 직무중요성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이 연구는 개인의 태도와 행동에 영향을 주는 근로가치관에 대한 이해와 분석, 활용을 통하여 조직목표 달성을 위한 조직구성원들의 행동관리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가치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직 내에 서로 다른 가치관을 소유하고 있는 조직구성원들의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데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