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tion solvents

검색결과 491건 처리시간 0.03초

Red ginseng (Panax ginseng Meyer) oil: A comprehensive review of extraction technologies, chemical composition, health benefits, molecular mechanisms, and safety

  • Truong, Van-Long;Jeong, Woo-Si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6권2호
    • /
    • pp.214-224
    • /
    • 2022
  • Red ginseng oil (RGO), rather than the conventional aqueous extract of red ginseng, has been receiving much attention due to accumulating evidence of its functional and pharmacological potential. In this review, we describe the key extraction technologies, chemical composition, potential health benefits, and safety of RGO. This review emphasizes the proposed molecular mechanisms by which RGO is involved in various bioactivities. RGO is mainly produced using organic solvents or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with the choice of method greatly affecting the yield and quality of the end products. RGO contains a high unsaturated fatty acid levels along with considerable amounts of lipophilic components such as phytosterols, tocopherols, and polyacetylenes. The beneficial health properties of RGO include cellular defense, antioxidation, anti-inflammation, anti-apoptosis, chemoprevention, hair growth promotion, and skin health improvement. We propose several molecular mechanisms and signaling pathways that underlie the bioactivity of RGO. In addition, RGO is regarded as safe and nontoxic. Further studies on RGO must focus on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molecular mechanisms, composition-functionality relationship, and verification of the bioactivities of RGO in clinical models. This review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the development of RGO-based products in nutraceuticals, functional foods, and functional cosmetics.

녹차씨 전처리와 추출 조건에 따른 녹차씨 추출물의 추출 수율 및 항효모 활성 (Extraction Yield and Anti-Yeast Activity of Extract from Green Tea Seeds by Pretreatment and Extraction Conditions)

  • 양은주;선유경;위지향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9호
    • /
    • pp.1351-1357
    • /
    • 2016
  • 항효모 활성이 우수한 녹차씨로부터 천연 보존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추출 원료를 최적화하기 위한 녹차씨의 전처리 방법을 평가하였다. 과피 유무에 따른 녹차씨의 추출 결과 추출물의 항효모 활성은 같았으며, 추출 수율은 과피를 제거한 속씨에서 근소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에 따른 녹차씨의 수분 함량은 항효모 활성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추출 수율은 7.3% 수분 함량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분쇄 공정에 따른 녹차씨 추출물의 항효모 활성은 같았으나, 원료의 입도가 작은 믹서 분쇄 원료에서 추출 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녹차씨 오일을 추출한 부산물인 탈지 녹차씨를 추출하여 보존소재 원료로써 활용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항효모 활성은 녹차씨 추출물과 같았으며, 탈지 방법에 따라 수율은 다르게 나타나 헥산 추출 탈지 녹차씨보다 압착 탈지 녹차씨의 추출 수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녹차씨의 전처리 방법 평가에 따라 천연 보존소재를 추출하기 위한 원료로서 과피가 포함된 녹차씨를 수분 함량 7.3%로 건조한 후 롤밀 분쇄하여 착유기로 오일을 추출한 탈지 녹차씨를 제조하였다. 탈지 녹차씨를 추출 용매에 따라 추출한 후 수율 및 항효모 활성을 조사한 결과 경제성이 높은 추출 용매는 물이 적합하였다. 추출 온도 및 시간에 따른 탈지 녹차씨의 추출결과 $90^{\circ}C$ 추출에서는 항효모 활성이 다소 불안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출 수율과 항효모 활성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물을 용매로 하였을 때 $50^{\circ}C$, 4시간 추출 조건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된다.

홍화의 홍색소 추출 용제의 종류에 따른 색상 변화 (Effect of Extraction Solvents on Color of the Dyed Fabrics with Safflower Red Colorants)

  • 손경희;신윤숙;류동일;최희;조아랑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86-493
    • /
    • 2008
  • 전통적인 알칼리 추출액인 콩대 잿물과 탄산칼륨수용액을 사용하여 홍색소를 추출하고 면, 마, 레이온, 견, 모, 그리고 나일론 직물에 염색하였다. 염색한 직물의 표면반사율과 염착량, 표면색을 측정하여 추출용제에 따른 차이를 비교 하였으며, 염색견뢰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면, 마, 레이온, 그리고 견직물의 표면반사율 곡선은 추출용제에 따라 거의 같은 형태를 보였으며 최대흡수파장은 520nm에서 나타났다. 모와 나일론의 표면반사율 곡선형태는 추출용제간에 차이를 보였으며 최대흡수파장은 400nm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최대흡수파장 이외에 모는 520nm, 나일론은 540nm 파장부근에서 흡수대를 보였다. 2. 면, 마, 레이온, 견의 염착량은 잿물로 추출한 경우에 약간 더 높았으며, 모는 추출용매에 상관없이 비슷한 염착량을 보였고, 나일론은 탄산칼륨으로 추출한 경우에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3. 나일론 직물의 $L^{*}$값과 레이온의 $b^{*}$값을 제외하고는 탄산칼륨으로 추출하여 염색한 직물의 $L^{*},\;a^{*},\;b^{*}$, 그리고 $C^{*}$ 값이 잿물 추출에서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단 $a^{*},\;b^{*},\;C^{*}$ 값은 모와 나일론을 제외하고는 추출용제간의 차이가 매우 미비하였다. 잿물과 탄산칼륨 추출액으로 염색한 직물의 색차는 면, 견, 마, 레이온, 모직물, 그리고 나일론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4. 잿물과 탄산칼륨수용액 추출에 의한 색상계열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면, 레이온, 나일론은 RP계열, 마와 견은 R계열, 그리고 모는 YR계열로 나타났다. 나일론을 제외하고는 탄산칼륨수용액으로 추출한 경우에 더 밝고 선명한 색상으로 염색되었다. 5. 추출용제에 따른 세탁견뢰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나일론, 레이온, 그리고 면과 마의 순으로 우수하였고 이염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견과 모의 드라이클리닝 견뢰도도 매우 우수하였다. 일광견뢰도도 추출용제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매우 낮게 나타났다. 6. 색상과 견뢰도 등에 큰 차이가 없으므로 전통적인 잿물 대신 탄산칼륨수용액을 추출용제로 사용하는 것이 색의 재현성이나 공정상의 측면에서 색의 표준화연구에 더 효율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자색고구마 색소의 추출과 특성 (Extr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Purple Sweet Potato Pigment)

  • 김선재;임종환;이란숙;이준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45-351
    • /
    • 1996
  • 자색고구마를 새로운 천연식용색소원으로서 개발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자색고구마 색소의 추출조건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색고구마 색소는 물, ethanol, methanol 등의 용매에는 잘 추출되나 비극성 유기용매에는 거의 추출되지 않는 수용성 색소임을 알 수 있었으며, 0.1%의 구연산을 첨가한 20%의 ethanol 용액이 자색고구마 색소 추출을 위한 최적의 용매임을 알 수 있었다. 자색고구마로부터 생체중량의 3.7%에 해당하는 동결건조분말을 얻을 수 있었다. 자색고구마 색소를 추출하기 전에 가압중탕($121^{\circ}C$, 15분)이나 데치기($9^{\circ}C$, 15분)와 같은 전처리를 하였을때에도 색소의 추출량과 농도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보아 본 색소는 열에 비교적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색소 추출에 대한 온도의 영향은 추출온도가 높을 수록 초기에는 색소 추출율이 높았으나 일시간이 지난 후에는 색소가 파괴되어 추출효과가 낮았으며, 저온에서는 초기에는 다소 추출속도가 낮았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계속 추출량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색소의 안정성과 추출속도를 고려하여 $30^{\circ}C$가 자색고구마색소 추출을 위한 최적온도라고 판단되었다. 자색고구마의 색소는 pH의 변화에 따라 큰 변화를 보였는데, 색깔은 pH가 $1.0{\sim}3.0$일 때 적색, pH가 $7.0{\sim}8.0$일 때는 청색, pH가 $9.0{\sim}10.0$일 때는 녹색을 띠었으며, spectrum양상은 pH가 증가할수록 최대흡수파장이 장파장 쪽으로 이동되는 anthocyanin 색소의 전형적인 특성을 나타냈다.^5\;{\beta}(33)\;-9.79{\times}10^5,\;{\beta}(12)3.31{\times}10^5\;{\beta}(33)\;-9.79{\times}10^5,\;{\beta}(12)3.31{\times}10^5\;{\beta}(13)\;5.18{\times}10^5,\;{\beta}(23)9.08{\times}10^5$ 2) 회귀식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분산비(Fo)가 8.44로 0.05 수준에서 모델에 의해 도출된 결과를 잘 성명할 수 있으며 그 정확도에 대한 결정계수($r^2$)는 0.938로 높았다. 또한 정상점에서 ${\beta}-carotene$의 반응표면을 정준분석한 결과 중속 변량인 ${\beta}-carotene$추출함량이 최대점임을 확인하였다. 3) 최적조건 즉, 압력은 350bar, 온도는 $51^{\circ}C$ 및 시간은 200min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는 관심영역에서의 ${\beta}-carotene$의 최대추출량은 생당근 100g당 10,611 ${\mu}g$으로 예측되었다.이 높은 반면 AsA는 둘다 낮은 편이었다. 무기질은 무에서 Fe, Ca, Na, K과 우엉에서는 Na, P, K의 잔존량이 높은 반면 우엉에서 Fe의 잔존율이 극히 낮았다. 6. 각종 조리시 비타민과 무기질의 잔존상태가 전체적으로 좋은 결과를 보인 채소의 순서는 사용된 횟수에 차이가 있으나 도라지>들깻잎, 양배추>무, 오이>참취, 상추>숙주>시금치, 우엉, 돌나물>당근, 호박>콩나물>가지로 나타났으며, 조리법 중에서 잔존율이 좋은 것은 비타민의 경우는 생채이었고 무기질은 생채, 볶음, 조림이었다

  • PDF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안정성 조사 (Investig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 김수정;권대혁;이종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84-588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한방재료인 감초에서 식품의 보존력을 가지는 항산화성 유효 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추출용매, 에탄올 농도, 온도, 시간 등의 여러 조건에서 추출실험을 수행하였다. 조제된 감초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상용중인 항산화제와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고 열과 pH 변화에 대한 안정성을 확인하여 천연 식품보존료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감초를 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칠 아세테이트, 헥산 등의 용매로 추출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은 극성이 높은 유기용매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에탄올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에탄올 농도별로 추출하였을 때는 무수에탄올일 때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95% 농도와는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아 추출 용매는 95% 에탄올로 선택하였다. 95% 에탄올로 감초를 추출할 때 은도와 시간은 항산화 활성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았다. 감초를 95%에탄올로 상온에서 12시간 추출하며 감압건조한 감초 에탄올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인 ${\alpha}-tocopherol$과 비교하여 free radical 소거능은 약하지만 유지산패 억제능력은 훨씬 더 좋았다. 감초 에탄올 추출물의 열과 pH처리에 따른 항산화 활성은 큰 현화를 보이지 않아 열과 pH에는 비교적 안정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감초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도 뛰어날 뿐만 아니라 열과 pH에 대해서도 안정하여 천연보존료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An Edible Gintonin Preparation from Ginseng

  • Choi, Sun-Hye;Shin, Tae-Joon;Lee, Byung-Hwan;Hwang, Sung-Hee;Kang, Ji-Yeon;Kim, Hyun-Joong;Park, Chan-Woo;Nah, Seung-Yeol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471-478
    • /
    • 2011
  • Ginseng, the root of Panax ginseng, is one of the oldest herbal medicines. It has a variety of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effects. Recently, we isolated a subset of glycolipoproteins that we designated gintonin, and demonstrated that it induced transient change in intracellular calcium concentration $([Ca^{2+}]_i)$ in cells via G-protein-coupled receptor signaling pathway(s). The previous method for gintonin isolation included multiple steps using methanol, butanol, and other organic solvents. In the present study, we developed a much simple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gintonin from ginseng root using 80% ethanol extraction. The extracted fraction was designated edible gintonin. This method produced a high yield of gintonin (0.20%).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gintonin such as molecular weight and the composition of the extract product were almost identical as the gintonin prepared using the previous extraction regimen involving various organic solvents. We also examined the physiological effects of edible gintonin on endogenous $Ca^{2+}$-activated $Cl^-$ channel activity of Xenopus oocytes. The 50% effective dose was $1.03{\pm}0.3\;{\mu}g$/mL. Finally, since gintonin preparation through ethanol extraction is easily reproducible, gintonin could be commercially applied for ginseng-derived functional health food and/or drug following the confirmations of in vitro and in vivo phys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effects of gintonin.

추출방법별 식용 및 약용버섯류의 총 당함량 비교분석 (Total sugar contents of edible and medicinal mushrooms comparative analysis by the extraction method)

  • 조재한;박혜성;한재구;이강효;성기호;전창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99-303
    • /
    • 2014
  • 이번 연구에서는 식용 및 약용버섯 자실체를 가지고 버섯의 주요 기능성 성분인 총 당의 함량을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열수추출, 산추출, 알칼리 추출을 통해 총 당 측정법으로 미량의 시료에 적합한 페놀-황산법으로 측정하였다. 표준 곡선은 glucose solution을 사용하여 작성하고 측정한 흡광도를 표준곡선에 적용하여 시료의 농도를 얻었다. 열수추출에서는 동충하초가 658.4(${\mu}g/g$)로 가장 높았고, 산추출과 알칼리 추출에서는 운지버섯이 각각 649.7(${\mu}g/g$)와 679.0(${\mu}g/g$)로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추출방법별로 열수추출과 마이크로웨이브 추출로 총 당 함량을 정량한 결과 열수 추출에서는 동충하초, ASI 7025가 높았고, 1 hr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및 2 hr 마이크로웨이브 추출에서는 운지버섯, 꽃송이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각기 다른 추출용매와 추출방법에 따라서 추출되는 총 당 함량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Antioxidant Activity of Main and Fine Roots of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 Kim, Ji-Sang;Yoon, Ki-Sun;Lee, Young-Soo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1호
    • /
    • pp.46-51
    • /
    • 200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tioxidant activities of freeze-dried, main root, and fine root of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which were extracted with various solvents including ethanol, methanol, and water. Ethanol extracts in both parts showed the most powerful scavenging activities against DPPH radicals. Especially, ethanol extract of fine root had higher reducing power and antioxidant capacity than that of main root.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in linoleic acid emulsion system was also observed in fine root extracted with ethanol, followed by methanol and water. Both ferrous ion chelating activity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of extracts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extracts concent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 extract of fine root of ginseng has the most effective antioxidant capacity compared to the methanol and water extracts tested in the present study. Thus it can be applied for the effective extraction of functional material from ginseng for the usage of pharmaceutical and/or food industries.

용매와 추출조건에 따른 단삼 (Salvia mitiorrhiza) 추출물의 항균력 (Effects of Solvents and Extracting Condition 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alviae miltiorrhizae Radix (Saliva miltiorrhiza ) Extract)

  • 목종수;박욱연;김영목;장동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001-1007
    • /
    • 1994
  • In order to develop a natural food preservative, dried salviae miltiorrhizae radix (Salvia miltiorrhiza) was extracted with several solvents, and then antimicrobial activity was investigated. The optimum extracting condition for the antimicrobial sustance from the sample,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extracted substance against microorganisms were also examine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initial ethanol extract from the sample was the strongest compared to those of other solvent extracts such as n-hexane, acetone, butanol, methanol and water. the optimum extractingcondition for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the sample was shaking extraction for 2 hours at room temperature incase that 10 volumes of absolute ethanol was added to crushed Saliva Miltiorrhiza. The ethanol extract had strong growth inhibition activity against Gram-positive Bacteria (MIC, 3.13-50$\mu\textrm{g}$/ml) such as B. cereus, B, subtilis, L. minocytogenes, S. aureus, Sc. Mutans. Among Grampositive bacteria tested, Bacillus species was the most susceptibile to the extracted substanc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rom the sample was weak to Gram -negative bacteria yeasts, for example MIC for Gram-negative bacteria and yeasts was 0.8mg/ml and 0.4-0.8mg/ml , respectively.

  • PDF

상백피 추출물의 향균력 및 최적추출조건 검토 (Investigation of Optimum Extracting Condition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xtract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 박욱연;김영목;김신희;장동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39-145
    • /
    • 1995
  • In order to develop a natural food preservative, the root bark of Morus alba was extracted with several solvents, and then antimicrobial activity was investigated. The optimum extracting condition for the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the sample,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the extracted substance against microorganisms were also examin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form the sample was stronger than those of the extracts by the other solvents such as water, methanol. ethyl acetate and acetone. The optimum extracting condition for antimicrobial substance from the sample was shaking extraction twice for 5 hours at room temperature in case of 7 times of absolute ethanol added to the crushed root bark of Morus alba. The ethanol extract from the root bark of Morus alba had strong B. cereus, L. monocytogenes and S. aureus. Especially, Bacillus species was the most susceptible to the extracted substance. The ethanol extract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Gram negative bacteria(MIC, 160~1600 ug/ml) and yeasts(MIC, 1600 ug/ml) such as C. albicans and S. acidifaeciens. The extract also showed growth inhibition against molds such as A. niger, A. parasiticus, A versicolar and T. viri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