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Extraction Solvents on Color of the Dyed Fabrics with Safflower Red Colorants

홍화의 홍색소 추출 용제의 종류에 따른 색상 변화

  • Son, Kyung-Hee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Shin, Youn-So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Yoo, Dong-Il (Dept. of Textile Engineering,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i, Hee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Cho, A-Rang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손경희 (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 신윤숙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 류동일 (전남대학교 섬유공학과) ;
  • 최희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 조아랑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 Published : 2008.03.31

Abstract

Safflower red colorants extracted by two solvents including the traditional ash solution and $K_{2}CO_{3}$ solution was used for dyeing cotton, ramie, viscose rayon, silk, wool, and nylon fabrics. The effects of extraction solvents on the reflectance, K/S value, and color properties of the dyed fabrics were investigated. Wash/dry cleaning and light colorfastness were evaluated. Reflectance curves of cotton, ramie, viscose rayon, and silk fabrics dyed with red colorants extracted by $K_{2}CO_{3}$ solution were similar, showing the maximum absorption at 520nm, to that of the dyed fabrics with red colorants extracted by ash solution. The reflectance curves of wool and nylon fabrics were different, showing the maximum absorption at 400nm. K/S values of dyed fabrics with red colorants extracted by $K_{2}CO_{3}$ solution were higher than that by ash solution with the exception of nylon. $L^{*},\;a^{*},\;b^{*}$, and $C^{*}$ of the dyed fabrics with red colorants extracted by $K_{2}CO_{3}$ solution were higher than that by ash solution except for $L^{*}$ of nylon and $b^{*}$ of viscose rayon. Color difference(${{\Delta}E}^*$) of the dyed fabrics between ash solution and $K_{2}CO_{3}$ solution increased in the order named as cotton, silk, ramie, viscose rayon, wool, and nylon. Regardless of extraction solvents, safflower red colorants produced RP color on cotton, ramie, and nylon, R color on viscose rayon and silk, and YR color on wool. Wash/dry cleaning fastness of the dyed fabrics was high above 3/4 rating but light fastness was very poor. It is considered that the use of $K_{2}CO_{3}$ solution instead of the traditional ash solution would be more effective in terms of color reproducibility and extraction process.

전통적인 알칼리 추출액인 콩대 잿물과 탄산칼륨수용액을 사용하여 홍색소를 추출하고 면, 마, 레이온, 견, 모, 그리고 나일론 직물에 염색하였다. 염색한 직물의 표면반사율과 염착량, 표면색을 측정하여 추출용제에 따른 차이를 비교 하였으며, 염색견뢰도를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면, 마, 레이온, 그리고 견직물의 표면반사율 곡선은 추출용제에 따라 거의 같은 형태를 보였으며 최대흡수파장은 520nm에서 나타났다. 모와 나일론의 표면반사율 곡선형태는 추출용제간에 차이를 보였으며 최대흡수파장은 400nm에서 나타났다. 그리고 최대흡수파장 이외에 모는 520nm, 나일론은 540nm 파장부근에서 흡수대를 보였다. 2. 면, 마, 레이온, 견의 염착량은 잿물로 추출한 경우에 약간 더 높았으며, 모는 추출용매에 상관없이 비슷한 염착량을 보였고, 나일론은 탄산칼륨으로 추출한 경우에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3. 나일론 직물의 $L^{*}$값과 레이온의 $b^{*}$값을 제외하고는 탄산칼륨으로 추출하여 염색한 직물의 $L^{*},\;a^{*},\;b^{*}$, 그리고 $C^{*}$ 값이 잿물 추출에서 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단 $a^{*},\;b^{*},\;C^{*}$ 값은 모와 나일론을 제외하고는 추출용제간의 차이가 매우 미비하였다. 잿물과 탄산칼륨 추출액으로 염색한 직물의 색차는 면, 견, 마, 레이온, 모직물, 그리고 나일론 순으로 크게 나타났다. 4. 잿물과 탄산칼륨수용액 추출에 의한 색상계열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면, 레이온, 나일론은 RP계열, 마와 견은 R계열, 그리고 모는 YR계열로 나타났다. 나일론을 제외하고는 탄산칼륨수용액으로 추출한 경우에 더 밝고 선명한 색상으로 염색되었다. 5. 추출용제에 따른 세탁견뢰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나일론, 레이온, 그리고 면과 마의 순으로 우수하였고 이염도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견과 모의 드라이클리닝 견뢰도도 매우 우수하였다. 일광견뢰도도 추출용제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매우 낮게 나타났다. 6. 색상과 견뢰도 등에 큰 차이가 없으므로 전통적인 잿물 대신 탄산칼륨수용액을 추출용제로 사용하는 것이 색의 재현성이나 공정상의 측면에서 색의 표준화연구에 더 효율적인 방법이라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인숙, 송화순, 유효선, 이정숙, 정혜선. (2001). 염색의 이해. 서울: 교문사
  2. 고경신, 배우식. (1984). 古代 紅花(Carthamus tinctorius L.) 染色의 實驗的 考察. 한국의류학회지, 8(3), 189-195
  3. 권민수, 전동원, 최인려, 김종준. (2004). 소목 천연염색에 관한 연구-잿물의 매염효과에 대하여. 복식문화연구, 12(6), 908-917
  4. 김경순, 전동원, 오하나, 이혜연. (2007). pH에 따른 홍화의 색소 추출과 염색의 효율성, 한국패션비즈니스학회, 11(2), 102-112
  5. 김공주, 이정민. (1994). 염색화학 (개정판). 서울: 형설출판사
  6. 김진모, 김원일, 홍인권, 정수경. (2000). 홍화로부터 적색소 Carthamin의 추출 특성. 응용화학, 4(2), 153-156
  7. 남성우. (2000). 천연염색의 이론과 실제 (1). 서울: 보성문화사
  8. 박미선. (2002). 천연색소 추출공정의 추출용매 조성에 의한 색차 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신인수, 배순이, 홍경옥. (1994). 植物色素에 의한 染色 硏究: 紅花의 色素 抽出 및 紫外可視分光特性. 대한가정학회지, 32(1), 229-237
  10. 신인수, 홍경옥, 오태광. (2001). 홍화색소의 일반추출과 셀룰라아제추출의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4), 49-59
  11. 서희성, 전동원, 김종준. (2005). 동백나무 잿물과 볏짚 잿물을 매염제로 사용하는 소목 천연염색. 대한가정학회지, 43(8), 1-12
  12. 안경조, 김정희. (2001). 홍화를 이용한 매염 및 가공처리 직물의 염색성에 관한 연구. 한국염색가공학회지, 13(1), 23-31
  13. 윤주미, 한태룡, 윤혜현. (2001). 홍화 Carthamin의 식품색소로서의 안정성. 한국식품공학회지, 33(6), 664-668
  14. 이종남. (2004).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천연염색. 서울: 현암사
  15. 이현미. (1998). 홍화에 의한 홍색소제조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정인모, 우순옥, 이용우, 이광길, 최해경. (1995). 천연염료에 의한 견 및 모시 염색 (1): 전통방법에 의한 홍화염색. 한국잠사학회지, 37(2), 161-166
  17. 조경래. (1997). 천연염료에 관한 연구(10)-홍화 홍색소의 견섬유에 대한 염색성. 한국염색가공학회지, 9(5), 305-313
  18. 주영우, 남성우. (1997). 천연염색에 사용되는 천연매염제에 관한 연구 (I): 볏짚재. 한국염색가공학회지, 9(6), 431-439
  19. 홍성현, 박승환, 마상동, 백영숙, 한태룡, 정인식. (1997). 천연식용 색소 생산 공정의 최적화I: 잇꽃(Carthamus tinctorius L.)로부터 carthamin의 추출. 산업식품공학, 1(2), 98-102
  20. Saito, K. (1993). An improved technique for the extraction of precarthamin under mild conditions. Food Chemistry, 48, 419-421 https://doi.org/10.1016/0308-8146(93)90328-D
  21. Kashiwagi, M. & Suzuki, T. (1978). Studies on vegetable dyeing (part-7): Vegetable dyeing of safflower. J. Home Ecom. Jpn, 29(5), 40-45

Cited by

  1. Characteristics and Dyeability of Perilla Frutescens L. Britt Extracts with Different Solvents vol.28, pp.3, 2016, https://doi.org/10.5764/TCF.2016.28.3.195
  2. Dyeing Properties and Storage Stability of Leaf Powder Prepared from Dyer's Knotweed (I) - by Freeze Drying method - vol.21, pp.1, 2009, https://doi.org/10.5764/TCF.2009.21.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