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cellular

검색결과 3,621건 처리시간 0.028초

In vitro와 in vivo에서 라이코펜이 EPCR 탈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Lycopene on Endothelial Protein C Receptor Shedding In Vitro and In Vivo)

  • 유하영;이현식;이원화;배종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650-656
    • /
    • 2013
  • 내피세포 단백질 C 수용체(EPCR)가 트롬빈-트롬보모듈린 복합체에 의한 단백질 C (PC) 활성 증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EPCR의 활성은 ecodomain의 분열과 수용성 단백질(sEPCR)로 분비함으로써 현저하게 변화한다. EPCR의 탈락은 tumor necrosis factor-${\alpha}$ converting enzyme (TACE)에 의해 매개된다. 토마토에서 발견된 라이코펜은 항산화 효과, 항암 효과,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EPCR 탈락에서의 라이코펜의 효과는 알려지지 않았다. 우리는 라이코펜이 PMA, TNF-${\alpha}$, IL-$1{\beta}$와 CLP에 의해 유도된 EPCR 탈락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그 결과, 라이코펜은 TACE의 발현을 억제시켜 PMA, TNF-${\alpha}$, IL-$1{\beta}$와 CLP에 의해 매개된 EPCR 탈락을 저해함을 보여준다. 또한 라이코펜은 PMA가 유발한 p38, ERK1/2, JNK의 인산화를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라이코펜은 EPCR 탈락의 저해를 통해 다양한 중증 혈관 염증 질병 치료를 위한 후보 물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Bacillus subtilis 분리균 2주 유래 mannanases의 특성 비교 (Isolation of Mannanase-producing Bacteria, Bacillus subtilis WL-6 and WL-11, and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Mannanase)

  • 윤기홍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13-1120
    • /
    • 2016
  • 우리나라의 전통 발효 된장으로부터 균체외 효소로 mannanase를 생산하는 세균 2주가 분리되었다. 분리균 WL-6과 WL-11은 형태적 특성, 생화학적 성질 및 16S rDNA의 염기서열에 따라 Bacillus subtilis로 확인되었다. 이들 두 균주로부터 각각 mannanase 유전자를 대장균에 클로닝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mannanase 유전자는 362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단백질을 코드하며 1,086 뉴클레오티드로 동일하게 이루어졌다. WL-6과 WL-11 mannanase (Man6, Man11)의 아미노산 잔기 배열은 서로 8개 잔기가 다르며 GH family 26에 속하는 B. subtilis의 mannanases와 매우 상동성이 높았다. Man6과 Man11의 아미노 말단의 26개 아미노 잔기가 signal peptide로 예측되었다. 재조합 대장균로부터 각각 생산된 Man6과 Man11은 94~95% 정도가 균체내에 존재하였고, mannotriose, mannotetraose, mannopentaose, mannohexaose와 같은 만노올리고당과 locust bean gum을 유사하게 분해하여 주된 반응산물로 mannobiose와 mannotriose를 생성하였다. Man6는 55℃와 pH 6.0, Man11은 60℃와 pH 5.5에서 각각 최대 반응활성을 보였으며, Man11이 Man6에 비해 열안정성이 높았다.

VEGF와 HGF에 의해 유도된 U-373-MG 세포의 이동 및 침윤에 미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효과 (Effect of Proteases on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U-373-MG Cells Induced by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Hepatocyte Growth Factor)

  • 전희영;김환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10호
    • /
    • pp.1189-1195
    • /
    • 2016
  •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와 hepatocyte growth factor (HGF)는 강력한 혈관신생 유도인자로 알려져 있다. 세포가 이동하고 침윤하기 위해서는 세포의 증식과 더불어 주변의 세포외기질을 분해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분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의 악성신경교종 유래 세포주인 U-373-MG 세포에 VEGF와 HGF를 처리하여 세포의 증식,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와 MMP-9 및 플라스민의 분비, 세포의 이동 및 침윤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단백질분해효소 억제제 처리를 통하여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에 미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역할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VEGF와 HGF의 병용처리 시 VEGF와 HGF의 단독 처리 시보다 세포의 증식, MMP-2, MMP-9 및 플라스민의 분비, 세포의 이동 및 침윤이 유의할만하게 증가되었다. 한편 VEGF와 HGF 처리에 의한 U-373-MG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 증가에 미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효과를 MMPs 억제제인 BB-94를 처리하여 조사한 결과 최대 이동 효과를 나타낸 HGF와 VEGF의 병용처리군 보다 세포의 이동이 32% 억제되었고 플라스민 억제제인 α2AP에 의해서도 29% 억제되었다. 또한 U-373-MG 세포의 침윤 역시 BB-94와 α2AP 처리에 의해 유의할 만하게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VEGF와 HGF에 의한 MMP-2, MMP-9 및 플라스민의 분비증가에 의해 직접 또는 간접적인 경로를 통하여 U-373-MG 세포의 증식, 이동 및 침윤을 증가시킨다고 여겨진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ovel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AtCK, from Arabidopsis

  • Jeong, Jae Cheol;Shin, Dongjin;Lee, Jiyoung;Kang, Chang Ho;Baek, Dongwon;Cho, Moo Je;Kim, Min Chul;Yun, Dae-Jin
    • Molecules and Cells
    • /
    • 제24권2호
    • /
    • pp.276-282
    • /
    • 2007
  • Protein phosphorylation is one of the major mechanisms by which eukaryotic cells transduce extracellular signals into intracellular responses. Calcium/calmodulin ($Ca^{2+}/CaM$)-dependent protein phosphorylation has been implicated in various cellular processes, yet little is known about $Ca^{2+}/CaM$-dependent protein kinases (CaMKs) in plants. From an Arabidopsis expression library screen using a 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soybean calmodulin isoform (SCaM-1) as a probe, we isolated a full-length cDNA clone that encodes AtCK (Arabidopsis thaliana calcium/calmodulin-dependent protein kinase). The predicted structure of AtCK contains a serine/threonine protein kinase catalytic domain followed by a putative calmodulin-binding domain and a putative $Ca^{2+}$-binding domain. Recombinant AtCK was expressed in E. coli and bound to calmodulin in a $Ca^{2+}$-dependent manner. The ability of CaM to bind to AtCK was confirmed by gel mobility shift and competition assays. AtCK exhibited its highest levels of autophosphorylation in the presence of 3 mM $Mn^{2+}$. The phosphorylation of myelin basic protein (MBP) by AtCK was enhanced when AtCK was under the control of calcium-bound CaM, as previously observed for other $Ca^{2+}/CaM$-dependent protein kinases. In contrast to maize and tobacco CCaMKs (calcium and $Ca^{2+}/CaM$-dependent protein kinas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calmodulin to more than $3{\mu}M$ suppressed the phosphorylation activity of AtCK. Taken together our results indicate that AtCK is a novel Arabidopsis $Ca^{2+}/CaM$-dependent protein kinase which is presumably involved in CaM-mediated signaling.

항암활성 수종생약의 B16-Fo와 A549 암세포에 대한 항전이 효과( I ) (Antimetastatic effect of several crude drugs with antitumor activity on B16-Fo and A549 cells ( I ))

  • 김성훈;유시용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1-131
    • /
    • 1996
  • For the development of antimetastatic agent 41 kinds of crude drugs were used for the evaluation of inhibitory effect of several crude drugs on cell adhesion of pulmonary cancer cells and platelet aggregation.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Water extracts of crude drugs inhibited cell adhesion of A549 to complex extracelluar matrix over 40 % of contol were Houttuyniae Herba, Mylabris, Rhei Radix et Rhizoma, Meliae Cortex, Ferula Resina, Oldenlandiae diffusae Herba at the higher concentration of $10^{-3}g/ml$ while those inhibiting cell adhesion of Bl6-Fo over 40 % of control were $10^{-5}g/ml$ of Houttuyniae Herba, Aurantii Fructus, Lithospermi Radix, Zedoariae Rhizoma. Prunellae Spica, Foeniculi Fructus, Rbei Radix, Scutellariae Radix, Meliae Cortex, Ferula Resina and Oldenlandiae diffusae Herba. 2. MeOH extracts of crude drugs at the concentration of $4{\times}10^{-4}g/ml$ inhibiting cell adhesion of A549 specifically to single extracelluar matrix over 40 % of control were Lithospermi Radix, Agrimoniae Herba, Rhei Radix and Ferula Resina to collagen I, Houttuyniae Herba, Lithospermi Radix, Bupleuri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Orostachys Herba, Sappan Lignum, Meliae cortex ferula Resina and Coicis Semen to collagen Ⅳ, Mylabris, Agrimoniae Herba to laminin, Houttuyniae Herba and Meliae Cortex to fibronectin. 3. NeOH extracts of crude drugs at the concentration of $4{\times}10^{-4}g/ml$ inhibiting cell adhesion of B16-Fo specifically to single extracelluar matrix over 60 % of control were Lithospermi Radix, Salviae miltiorrhizae Radix, Meliae Cortex and Ferula Resina to collagen I, Lithospermi Radix, Bupleun Radix, Saiviae miltiorrhizae Radix, Ferula Resina and Acanthopanacis Cortex to collagen Ⅳ, Bupleuri Radix, Orostachys Herba to laminin, Houttuyniae Herba to fibronectin. 4. MeOH extracts of crude drugs inhibiting platelet aggregation over 40% of ADP control were at the concentration of $50{\mu}g/m{\ell}$ of Houttuyniae Herba, Angilicae gigantis Radix, Zedoariae Rhizoma. Coicis Semen and $100{\mu}g/m{\ell}$ of Ferula Resina, Orostachys Herba, Salviae miltiorrhizae Radix, Curcumac Radix, Carthami Flos, Lithospermi Radix, Gleditsiae Spina, Sappan Lignum, Acanthopanacis Cortex.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veral crude drugs including Ferula Resina, Houttuyniae Herba, Lithospermi Radix and Salviae miltiorrhizae Radix chiefly have more possibility to exert antimetastatic activity and require in vivo antimetastatic study.

  • PDF

7세 미만의 소아에서 생체전기저항법에 의한 체성분 분석 (Body composition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in children below 7 years old)

  • 정지영;김한울;김태현;홍영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3호
    • /
    • pp.341-348
    • /
    • 2010
  • 목 적 : 소아 비만은 체중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에 불구하고도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6세 이전에 나타나는 경우가 1/3 이상을 차지한다. 생체 전기 저항법(BIA)은 장치가 간단하고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측정치가 객관적이고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7세 미만의 소아에서 BIA를 이용한 체성분 분석에 대한 자료가 없는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7세 미만의 정상 아동을 대상으로, BIA를 이용하여 체성분과 체지방량, 체지방율을 비교 분석하였고, 비만의 판정이나 추적 관찰에 있어서 BIA의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3-6세 사이의 남자 688명, 여자 688명의 1,376명 소아를 대상으로 신장과 체중,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를 구하였고, BIA를 이용하여 체성분 분석을 하였고, 체지방량, 체지방율과 신체 계측치와의 상과관계를 연구하였다. 결 과 : 체지방량, 체지방율, 세포내액, 세포외액, 단백질, 무기질이 비만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체지방량과 체질량지수($R^2=0.69$, P <0.05), 체중($R^2=0.62$, P <0.05)과 상관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체지방율과 체질량지수($R^2=0.56$, P <0.05), 체중($R^2=0.19$, P <0.05)과도 상관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결 론 : BIA에 의한 체성분 분석은 소아 비만의 진단에 매우 유용한 진단 방법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아직 6세 이하의 어린 소아에서 국내 자료가 없으므로 광범위한 역학 조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Dieckol Attenuates Microglia-mediated Neuronal Cell Death via ERK, Akt and NADPH Oxidase-mediated Pathways

  • Cui, Yanji;Park, Jee-Yun;Wu, Jinji;Lee, Ji Hyung;Yang, Yoon-Sil;Kang, Moon-Seok;Jung, Sung-Cherl;Park, Joo Min;Yoo, Eun-Sook;Kim, Seong-Ho;Ahn Jo, Sangmee;Suk, Kyoungho;Eun, Su-Y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3호
    • /
    • pp.219-228
    • /
    • 2015
  • Excessive microglial activation and subsequent neuroinflammation lead to synaptic loss and dysfunction as well as neuronal cell death, which ar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and progression of several neurodegenerative diseases. Thus, the regulation of microglial activation has been evaluated as effective therapeutic strategies. Although dieckol (DEK), one of the phlorotannins isolated from marine brown alga Ecklonia cava,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to inhibit microglial activation, the molecular mechanism is still unclear. Therefore, we investigated here molecular mechanism of DEK via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ERK), Akt and nicotinamide adenine dinuclelotide phosphate (NADPH) oxidase-mediated pathways. In addition, the neuroprotective mechanism of DEK was investigated in microglia-mediated neurotoxicity models such as neuron-microglia co-culture and microglial conditioned media system.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treatment of anti-oxidant DEK potently suppressed phosphorylation of ERK in lipopolysaccharide (LPS, $1{\mu}g/ml$)-stimulated BV-2 microglia. In addition, DEK markedly attenuated Akt phosphorylation and increased expression of $gp91^{phox}$, which is the catalytic component of NADPH oxidase complex responsible for microglial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Finally, DEK significantly attenuated neuronal cell death that is induced by treatment of microglial conditioned media containing neurotoxic secretary molecules. These neuroprotective effects of DEK were also confirmed in a neuron-microglia co-culture system using enhanced green fluorescent protein (EGFP)-transfected B35 neuroblastoma cell lin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K suppresses excessive microglial activation and microglia-mediated neuronal cell death via downregulation of ERK, Akt and NADPH oxidase-mediated pathways.

Contradictory Effects of Su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on $K_{Ca}3.1$ in Human Endothelial Cells

  • Choi, Shinkyu;Na, Hye-Young;Kim, Ji Aee;Cho, Sung-Eun;Suh, Suk Hy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7권3호
    • /
    • pp.181-187
    • /
    • 2013
  •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re generated in various cells, including vascular smooth muscle and endothelial cells, and regulate ion channel functions. $K_{Ca}3.1$ plays an important role in endothelial functions. However, the effects of superoxide and hydrogen peroxide radicals on the expression of this ion channel in the endothelium remain unclear.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s of ROS donors on $K_{Ca}3.1$ expression and the $K^+$ current in primary cultured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The hydrogen peroxide donor, tert-butyl hydroperoxide (TBHP), upregulated $K_{Ca}3.1$ expression, while the superoxide donors, xanthine/xanthine oxidase mixture (X/XO) and lysophosphatidylcholine (LPC), downregulated its express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se ROS donor effects were prevented by antioxidants or superoxide dismustase. Phosphorylated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pERK) was upregulated by TBHP and downregulated by X/XO. In addition, repressor element-1-silencing transcription factor (REST) was downregulated by TBHP, and upregulated by X/XO. Furthermore, $K_{Ca}3.1$ current, which was activated by clamping cells with 1 ${\mu}M$ $Ca^{2+}$ and applying the $K_{Ca}3.1$ activator 1-ethyl-2-benzimidazolinone, was further augmented by TBHP, and inhibited by X/XO. These effects were prevented by antioxidants. The results suggest that hydrogen peroxide increases $K_{Ca}3.1$ expression by upregulating pERK and downregulating REST, and augments the $K^+$ current. On the other hand, superoxide reduces $K_{Ca}3.1$ expression by downregulating pERK and upregulating REST, and inhibits the $K^+$ current. ROS thereby play a key role in both physiological and pathological processes in endothelial cells by regulating $K_{Ca}3.1$ and endothelial function.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에 의한 메탄올로부터 고점도 다당류, 메틸란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a High Viscosity Polysaccharide, Methylan, by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 from Methanol.)

  • 최준호;이운택;김상용;오덕근;김정회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4-249
    • /
    • 1998
  • Methylobacterium organophilum을 사용하여 메탄올로부터 세포외 고점도 다당류, 메틸란의 생산을 특정 배양조건에서 수행하였다. C/N 비율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균체의 비성장속도는 C/N 비율에 대하여 큰 차이가 없었고, 단위 균체당 메틸란 생산수율은 C/N 비율 약 30부근에서 최적이었다. 여러 가지 금속염 중에서 Mn$^{++}$과 Fe$^{++}$ 이온이 결핍하면 메틸란의 생산이 현저히 저해됨을 보였다. 균체 농도와 메틸란 생산은 pH는 7근처에서 최적을 나타내었다. 균체 성장의 최적온도는 37$^{\circ}C$이었으나 메틸란 생산의 최적 온도는 3$0^{\circ}C$이었다. 메탄을 농도가 증가할수록 비성장속도가 감소하였고, 4% 이상의 농도에서는 균체 성장이 완전히 저해되었다. 메틸란 생산을 위한 최적 메탄올 농도는 초기농도로 0.5%(v/v)이었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메틸란 생산이 급격히 감소하였다. 메탄올의 독성과저해를 극복하기 위하여 최적 배양조건에서 메탄올의 유가식 배양을 수행하여 최종 균체 농도와 최종 메틸란 농도가 각각 12.4 g/l 및 8.7 g/l이었다.

  • PDF

Sporolactobacillus sp. M201 균주에 의한 $\beta$-Mannanase와 $\beta$-Mannosidase의 생산 (Production of $\beta$-Mannanase and $\beta$-Mannosidase from Sporolactobacillus sp. M201.)

  • 박원식;김화영;최용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2-237
    • /
    • 1998
  • ${eta}$-Mannan polymer 분해 효소를 다랑 생산하는 균주를 토양으로부터 분리하고 분리균의 형태적 내지는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Sporolactobacillus sp. M201로 동정하였다. Sporolactobacillus sp. M20l 분리균은 locust bean gum을 탄소원으로 사용, 배양했을 때 세포외 ${eta}$-mannanase그리고 세포내 ${eta}$-mannosidase와 ${alpha}$-galactosidase을 다량 생산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효소 생산 최적 배지와 최적 배양 조건은 ${eta}$-mannanase 생산에는 2.0% locust bean gum, 0.5% peptone, 0.2% KH$_2$PO$_4$, 80 mg/l MgSO$_4$ 및 8 mg/l ZnSO$_4$ 배지 (pH 6.0)와 37$^{\circ}C$이었고 그리고 ${eta}$-mannosidase 생산은 질소원으로 peptone 대신 0.5% yeast extract를 첨가한 상기 배지(pH 5.0)와 3$0^{\circ}C$에서 배양했을 때 가장 높았다. 이상의 각 효소의 최적 생산 조건에서 각각 30시간과 24시간 진탕배양 했을때 ${eta}$-mannanase(10.6 units/ml)와 ${eta}$-mannosidase(1.35 units/ml)의 최고 생산량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