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rmination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3초

Landsat TM 자료를 이용한 임종구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Forest by Landsat TM Data)

  • 최승필;홍성태;박재훈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5-60
    • /
    • 1993
  • 자연 생태계의 일부분으로 발생한 삼림은 공기를 맑게하고 수자원을 보존하며, 번식과 멸종의 방지, 휴식공간 제공 그리고 인간생활 환경을 형성하고 보존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하여 삼림식생을 분류한 것은 침염수, 활엽수, 농경지 및 초지, 물의 네 가지로 삼림식생정보를 분류하였다. TM 수치영상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분류할 경우, 물지역의 특성 값은 제 4밴드에서 7-13 D.N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침엽수, 활엽수, 농경지 및 초지는 모두 비슷한 특성 값이 나타나므로 화상처리를 해야했다. 화상처리를 제 2밴드와 제 3밴드를 합성한 영상을 비연산처리한 결과, 제 3밴드로부터 활엽수 지역은 72-91의 D.N으로 나타나고, 제 1밴드에서의 침엽수 지역은 l18∼136, 제 3밴드에서의 농경지 및 초지는 96-120의 D.N에서 일치하였다. 또한 최대 우도법으로 분류한 결과와 TM 수치영상의 현지답사에 대한 비교오차를 구한 결과 침엽수, 활엽수, 농경지와 초지 및 물에서 각각 -7.43%, +1.89%, +7.58%, -2.04%의 분류 정확도를 얻었다. 결론적으로 이 결과는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삼림식생분류가 매우 유용한 것임이 입증되었다.

  • PDF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을 위한 생물서식처 보전가치 평가 및 지도화 (Drawing of Habitat Assessment Map and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for Environmental Friendly Road Construction)

  • 강호근;박미란;박태권;김흥래;이상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8호
    • /
    • pp.611-618
    • /
    • 2009
  • 도로건설은 생물서식지를 단절시키고 고립시키는 등 생태환경 훼손이 우려되고 있으며, 도로건설에 따른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고 생물서식환경을 보존하기 위한 종합적인 평가기법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연생태계의 자연성뿐만 아니라 동물이 서식하는 생태계의 기능을 고려한 보전가치평가기법을 적용하여 이를 도면화 할 수 있는 서식처평가지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서식처보전가치평가에 적용한 평가 항목은 크게 자연성, 희귀성, 기능성 항목의 3가지 항목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세부평가항목을 구성하였다. GIS를 이용하여 평가기준에 따라 중요도에 대한 수치지도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나타난 수치지도는 단순히 동물과 식물의 종 조성이나 분포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서식처 보전을 위한 종합적인 생태계 평가기법이 가능함을 보여주었고, 이를 통하여 생태계 파괴 및 생물 서식처 단절을 최소화 한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야서(野鼠)의 맹종죽순(孟宗竹筍) 피해(被害)에 관(關)한 연구(硏究) -야서(野鼠)의 서식환경(棲息環境) 피해형태(被害形態)를 중심(中心)으로- (A Study on the Bamboo Shoot's Damage of Phyllostachys edulis Riv. by Field-mice -Especially on the Inhabitation Environment and Damaged Types of Field-mice-)

  • 박광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0권1호
    • /
    • pp.55-62
    • /
    • 1985
  • 본(本) 연구(硏究)는 경남(慶南) 진주지역(晋州地域)에서 발생(發生)한 야서(野鼠)의 맹종죽순(孟宗竹筍) 피해(被害)에 관해서 조사(調査)하여 피해죽림분(被害竹林分)의 주변(周邊)과 내(內)의 식생(植生)을 분석(分析)하고 서식환경(棲息環境)을 파악하여, 피해정도(被害程度)와 피해율(被害率), 가해야서(加害野鼠)의 종류(種類)를 밝혀 피해예방(被害豫防) 및 구제(驅除)에 기여코져 실시하였다. 그 결과(結果) 피해죽림(被害竹林) 주변(周邊)의 입목도(立木度)와 서식환경(棲息環境)에 따라 피해도(被害度)에 영향을 미쳤으며, 피해도(被害度)는 ha당(當) 7.1개(個)로 4,359.1g이었고, 피해율(被害率)은 0.23%이었다. 피해시기(被害時期)는 4월(月) 중순(中旬)에 시작되어, 4월(月) 23일(日)경에 최고에 달하고 5월(月) 중(中) 하순(下旬)에 종료(終了)되었다. 피해죽순(被害竹筍)의 평균장(平均長)은 28.12cm, 직경(直徑) 7.49cm, 무게 613.96g이었으며, 부위별(部位別) 피해형(被害型)은 지상(地上), 지표(地表), 지하피해형(地下被害型) 중에서 지상(地上), 지하피해형(地下被害型)이 많았다. 피해죽림분(被害竹林分) 내(內)에서 포획(捕獲)된 야서(野鼠)는 쥐목(目)에 속하는 등줄쥐와 생쥐, 그리고 식충목(食蟲目)에 속하는 우수리땃쥐 등(等) 3종(種)이었으며 주가해종(主加害種)은 등줄쥐와 생쥐 중 등줄쥐가 많았다. 또한, 우수리땃쥐는 남부지방(南部地方)에 서식(棲息)함이 처음 발견(發見)되었다.

  • PDF

온병(溫病)의 증상(症狀) 중(中) 반진(斑疹)에 관(關)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The Literature Study on Macula among the Symptoms of Warm Factor Disease)

  • 장윤정;류상채;김정순;전호성;유동희;김난영;정명수;이기남
    • 대한의료기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80-116
    • /
    • 2009
  • It studies into viewpoints of 7 doctors of Wenbing studies on macula. The results concerning characteristics, remedy and prevention of macula are as follows; Macule does not protrude on the surface of skin and does not have any color change for external stimulus, but rash out on the surface and becomes white when pushed. It becomes macule when the blood leaks beneath skin as stomach-heat of yangming enters into blood system and damages it. On the other hand, when heat enters lung meridian, penetrates beneath the skin and congeals inside the vessel, it becomes rash. When you combine symptoms of body and pulse with numbers, color, shape and distribution status of macula, you can diagnose the depth of rash, seriousness, the possibility of treatment and prognosis of macula. The remedy for macule consists of cooling heat of yaming, removing heat from the blood and relieving feverish rash, and the one for rash consists of facilitating meridian with aroma, expelling pathogenic factors from muscles with drugs of pungent flavor and cool nature and clearing away heat from the blood systems. It relieves the inhibited functional activities of lung-Ki, and helps extermination of rash as well as clearing heat of the vessel. Also, it is the most important to preserve resin of stomach for every treatment. It is good to avoid expelling pathogenic factors with drugs of pungent flavor and warm nature, raising drugs and invigorating drugs during treating macula. Moreover, the patients should not over dose cold-natured drugs and purgative therapy. There are common clinical symptoms of macula in advance, so right recognition of symptoms can contribute to prevention of macula.

불가사리 구제기구의 개발과 그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Extermination gear for Starfish, Asterias amurensis and its Efficiency)

  • 박성욱;김태호;오희국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33권3호
    • /
    • pp.166-172
    • /
    • 1997
  • 우리나라 연안 해역의 패류 양식장과 마을어장에 서식하는 불가사리를 효율적으로 구제하기위하여 자루걸레형과 썰매형 구제 기구를 설계, 제작하여 1995년 4월부터 5월까지 경상남도 거제시 장목면 유로리 연안에서 민간 형망어선 (복성호, 4.95톤)을 사용하여 구제 기구별 포획 성능과 예인 거리에 따른 포획 효율을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루걸레형과 썰매형 구제 기구는 해저의 암초에 걸리지 않고 계속 예인하면서 불가사리를 구제할 수 있었고, 적정 예인 거리는 300~500m였다. 썰매형에 의한 불가사리류의 포획비율은 57%로 자루걸레형의 43%보다 다소 우수 하였으나 어패류의 흔획 포획비율은 자루걸레형보다 21배 정도 높았다. 썰매형은 자갈인 암초가 산재된 마을어장에 적합한 밤년, 자루걸레형은 어패류의 흔획과 유용 패류에 상처를 입힐 수 있는 면적이 작아 패류 양삭장에 효과적이었다.

  • PDF

전 생활사 단계의 보름달물해파리(Aurelia aurita s.l.)에 대한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의 포식과 먹이 선호도 실험 (Predation, Feeding Preference of Threadsail Filefish Stephanolepis cirrhifer on Different Life Stages of Moon Jellyfish Aurelia aurita s.l. in the Laboratory)

  • 이혜은;한창훈;이혜현;윤원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0권1호
    • /
    • pp.36-42
    • /
    • 2015
  • 해파리에 대한 쥐치의 포식률을 파악하기 위하여 메두사, 에피라, 폴립 단계의 보름달물해파리(Aurelia aurita s.l.)를 쥐치(Stephanolepis cirrhifer)에게 공급하고 포식실험을 수행하였다. 모든 크기의 쥐치는 메두사를 적극적으로 포식하였으며, 포식률은 쥐치의 체중과 비례하였다. 평균 습중량 0.5, 1, 2.2 g의 쥐치 치어는 평균 $0.77{\pm}0.51g\;fish^{-1}h^{-1}$을 포식하였으며, 평균 습중량 150, 344 g의 쥐치 성어는 각각 $9.26{\pm}1.61$, $15.89{\pm}3.67g\;fish^{-1}h^{-1}$을 포식하였다. 유생에 있어서도 평균 습중량 3.7 g의 쥐치가 10분 이내에 100개체의 에피라를 포식하였고, 평균 습중량 2.2 g의 쥐치는 단위체중당 $5.73{\pm}0.59$ polyps $g^{-1}$ of fish $h^{-1}$의 폴립을 포식하였다. 반면에 쥐치 성어는 폴립을 포식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쥐치의 해파리 포식이 현장에서도 가능한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 먹이 선호도 실험에서, 쥐치 성어는 다른 먹이인 굴(약 60%)과 갯지렁이(약 80%)를 주로 포식하였고 메두사 포식은 약 2%에 불과했다. 하지만 쥐치 치어는 다른 먹이인 곤쟁이류와 함께 에피라, 폴립도 포식하였으며, 폴립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포식활동을 보였다. 그리고 쥐치 치어는 주변에 다른 먹이가 있어도 보름달물해파리 유생에 대한 포식이 활발했지만, $11^{\circ}C$ 이하에서는 섭식활동을 중지한 실험결과로부터 $11^{\circ}C$ 보다 수온이 낮은 3-4월경에 발생하는 에피라 유생에 대한 현장에서의 포식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반면, 폴립의 경우 수온에 관계없이 연중 서식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쥐치 치어의 폴립 포식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쥐치를 이용하여 보름달물해파리 구제작업을 시행할 경우, 폴립을 대상으로 하여 쥐치 치어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