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erior Parts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4초

전동기 소손에 대한 화재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re Cause Analysis of Motor Damage)

  • 이춘하;옥경재;권병덕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59-64
    • /
    • 2007
  • 본 논문은 전동기에 발생하는 화재에 대한 연구로서, 일반가전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단상유도전동기에 과부하 및 외부화염을 가하여 그 변형 및 파손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은 전동기의 구속을 통한 과부하 시험과 외부에서 화염을 가하는 실험으로 진행하였으며, 외부화염 시험의 경우 전압을 인가한 경우와 인가하지 않은 경우로 구분하였다. 실험결과 구속을 통한 과부하 시험의 경우 권선부분에서 층간 단락흔을 관찰할 수 있었고, 권선부분의 조직에서는 과부하에 의해 변형된 전선의 특징인 나무줄기 형상의 수지상 조직이 나타났다.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외부화염을 가한 경우 고정자 권선부분의 코일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권선주변의 색이 붉게 변색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외부화염을 가한 경우 고정자 권선부분의 코일이 원형에서 많이 변형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권선 주변의 색은 전압을 인가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붉게 변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5성급 호텔 입면디자인의 시지각적 지원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ffordance of Façade design in Domestic Five-star Hotels)

  • 김수희;김봉애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181-191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ffordance of façade design by extracting analysis elements of affordance in façade design domestic five-star hote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8 domestic five-star hotels; we selected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as methodology. The analysis elements included mass forms, exterior colors, window frame patterns, exterior characteristics, and door types based on the visual perception factors of façade design from the concept of affordanc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ss forms were divided into stackable, integral, and connection types, and stackable type was most frequent. Second, exterior colors were divided into achromatic, red, yellow, and opaque color parts, and the achromatic parts were most frequent. Third, the window frame patterns were divided into grid, irregular, full, horizontal, and vertical windows, and grid windows were most frequent. Fourth, the exterior characteristics were divided into formative mass, horizontal partition, design contrast, tiled roof, and facility connection, and the formative mass was most frequent. Fifth, the door types were divided into porch, piloti, and wall type, and porch was most frequ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açade design elements such as mass forms, exterior colors, window frame patterns, exterior characteristics, and door types intentionally contained affordance.

사출성형 자동차부품의 외관 비전검사 방법 (Exterior Vision Inspection Method of Injection Molding Automotive Parts)

  • 김호연;조재수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27-13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사출성형 자동차부품의 외관 품질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출성형 자동차부품의 외관 비전검사 방법을 제안한다. 일반적으로 기존 사출성형 자동차부품의 외관검사는 사람에 의한 매뉴얼 샘플링 검사로 진행된다. 먼저 전자부품(TFT-LCD 및 PCB 등) 비전검사에 활용되는 Edge-Tolerance 비전검사 알고리즘([1]-[4])을 사출성형 부품 외관검사에 적용하고, 그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그 문제점을 극복하는 새로운 외관 비전검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외관비전검사는 양품 기준영상을 기준으로 검사하고자 하는 부품의 검사영상을 정렬한 후, 부분적인 적응적 이진화 후, 이진블록매칭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양품 이진영상과 검사이진영상을 블록단위로 비교함으로써 불량부분을 검출한다. Edge-Tolerance 비전검사 알고리즘과 제안된 외관비전검사 방법을 실제 개발된 장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비교 실험을 통하여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케로신을 연료로 하는 10톤급 액체로켓엔진의 막 냉각에 관한 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on curtain cooling in Liquid Rocket Engine of 10tf-thrust Level using Kerosene as a Fuel)

  • 남궁혁준;한풍규;조원국
    • 한국추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추진공학회 2003년도 제21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8-82
    • /
    • 2003
  • 우주발사체의 2단용 엔진으로 10톤급 케로신 재생 냉각 방식의 액체로켓엔진에 대한 보조 냉각 기구로서, 막냉각을 고려한 냉각특성에 대한 해석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소기내에서 연소가스의 유동이 축방향으로 층류화되어 있다는 개념하에, 엔진 단면을 서로 독립적인 중심부와 외곽부로 나누며, 외곽부에는 여분의 연료를 분무시킴으로써 연소가스 온도를 낮추어 냉각채널로 전달되는 열유속량과 벽면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엔진의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 PDF

케로신을 연료로 하는 10톤급 액체로켓엔진의 냉각 기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oling Mechanism in Liquid Rocket Engine of 10tf-Thrust Level using Kerosene as a Fuel)

  • 한풍규;남궁혁준;조원국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1권10호
    • /
    • pp.66-72
    • /
    • 2003
  • 우주발사체의 2단용 엔진으로 10톤급 케로신 액체로켓엔진에 대한 냉각 기구로서, 재생냉각과 막냉각을 고려한 냉각특성에 대한 해석전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소기 내에서 연소 가스의 유동이 축방향으로 층류화되어 있다는 개념하에, 엔진 단면을 서로 독립적인 중심부와 외곽부로 나누며, 외곽부에는 여분의 연료를 분무시킴으로써 연소가스 온도를 낮추어 냉각채널로 전달되는 열유속량과 벽면 온도를 감소시킬 수 있었으며, 엔진의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모듈러건축의 외장재 모듈정합설계 및 시공 (MC Design and Construction for Standardization of Exterior Materials of Modular Building)

  • 정준수;임석호;설욱제;백정훈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6호
    • /
    • pp.31-37
    • /
    • 2018
  • With the progress of national policy researches on the modular construction,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garding the standardization of interior building materials. However, studies on the standardization of exterior building materials are still insufficient, and there are no dedicated exterior materials for modular construc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cessary of standardization through the analysis on 7 kinds of exterior materials used in general buildings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s applied to modular apartment houses in order to establish design criteria for the standardization of dedicated modular exterior material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ssembly reference plane in conjunction with inside dimensions was set, and panelizing standardized in five parts wa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 of low exterior material standardization rate. It also proposed elastic gasket and steel bracket details that can compensate for the fabrication errors of unit boxes and construction errors in stacking.

시각적 효과를 위한 건물 외관 색채 연구 (A Study on the Color of the Building Exterior for Visual Effects)

  • 한혜련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57-258
    • /
    • 2005
  • The university building which is located in Daehak-ro where the commercial buildings are. The color of the building exterior and the signs are various to distinguish. To recognize the building exterior among the surrounding areas, it needs visual and bright color on it. The blue and white selected from the color of university identity. The core of the building is treated as a tower In vertically and white color is painted. And the rest parts of the building are treated horizontally and blue color is painted. The color of the building exterior shows the visual effects not only symbolism but attention.

  • PDF

자동차 부품용 무도장 메탈릭 플라스틱 소재 개발 (Development of Paint-free Metallic Plastic Material for Automotive Parts)

  • 최민진;조정민;최영호;최민호;이춘수;성한기;이경실;박기훈;황세종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2호
    • /
    • pp.295-299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범퍼 스키드 플레이트 및 아웃사이드미러 하우징 부품에 적용되는 polypropylene (PP)와 acrylonitrile styrene acrylate (ASA) 소재를 활용하여 무도장 메탈릭 소재 구현에 대해 연구하였다. 금속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알루미늄 입자의 종류, 크기, 함량을 최적화하였고 웰드 라인을 은폐하기 위해 종횡비가 상이한 하이브리드 알루미늄 입자를 사용하였다. 또한 부품 표면에 발생되는 플로우 마크를 개선하기 위해 유동성을 제어하였으며 사출 해석을 수행하였다.

복합용도개발 내부공간의 외부공간 지향성에 관한 계획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Aiming for the Exterior Space in Mixed-Use Development)

  • 김석기;성이용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43-5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interior space aiming for the exterior space in mixed-used development. The range of this study is limited as passage, department store, shoppingmall and Mixed Use Development.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nalysing the 7 samples of the interior space aiming for the exterior space in MXD through the framework of public character categorized as 5 factors, accessibility, openness, comfort properties, connectivity, convenience in use. Second, drawing a conclusion from the precedent step.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interior space has become bigger with time. And the public character is expanded with having the same structure of the city space. Second, the interior space solves the problem of the exterior space of city but prefers the same factors with the exterior space. Third, the street in the interior space has the characteristics of openness and comfort properties through diversification. And the open space is planned in various parts of the MXD and has the character of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