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ire Cause Analysis of Motor Damage

전동기 소손에 대한 화재 원인 분석에 관한 연구

  • 이춘하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 옥경재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 권병덕 (호서대학교 소방방재학과)
  • Published : 2007.12.27

Abstract

We studied on the fires about the electrical motors in this paper. We compared and analyzed about the transformation and damage state of single-phase induction motors used in the home appliances when we applied electrical overload and exterior flame. This experiment was progressed by the electrical overload application test and the exterior flame application test through the locked rotor of motor. In case of the exterior flame application test, it is divided into the apply voltage case and not apply voltage case. The result of an experiment through the locked rotor of motor, it was able to observe the short-circuit marks between layers at the winding coil parts, and it was appeared a transformed dendritic tissue structure of winding coil by the electrical overload test. The application voltage and the application exterior flame, it was confirmed that the stator winding coil parts were remain original shapes and observed that the color of the winding coil's circumference was changed to red. The non-application voltage and the application exterior flame, it was observed that the stator winding coil parts were transformed quite from original shapes. It was observed that the color of the winding coil and circumference parts was changed to red at the same case of non-application voltage.

본 논문은 전동기에 발생하는 화재에 대한 연구로서, 일반가전제품에 사용되고 있는 단상유도전동기에 과부하 및 외부화염을 가하여 그 변형 및 파손상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은 전동기의 구속을 통한 과부하 시험과 외부에서 화염을 가하는 실험으로 진행하였으며, 외부화염 시험의 경우 전압을 인가한 경우와 인가하지 않은 경우로 구분하였다. 실험결과 구속을 통한 과부하 시험의 경우 권선부분에서 층간 단락흔을 관찰할 수 있었고, 권선부분의 조직에서는 과부하에 의해 변형된 전선의 특징인 나무줄기 형상의 수지상 조직이 나타났다.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외부화염을 가한 경우 고정자 권선부분의 코일이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권선주변의 색이 붉게 변색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전압을 인가하지 않고 외부화염을 가한 경우 고정자 권선부분의 코일이 원형에서 많이 변형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권선 주변의 색은 전압을 인가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붉게 변색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충석, 송길목, 김형래, 김향곤, 김동욱, 김동우, 'Standby Mode에서 출화된 콘센트의 화염 패턴 및 전기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지, Vol.16, No.1, pp.39-44(2002)
  2. 인천소방본부 화재조사팀, 현장실무자를 위한 화재원 인 조사기법, pp.327-330,(2003)
  3. 안두수, 박용관 공역, 신편전기공학, 영설출판사, pp.185-187(1994)
  4. 최동진 역, 전기공학, 학문사, pp.151-160(1993)
  5. 윤현국, 단상 유도전동기의 기동특성개선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1997)
  6. 김윤회, 발화원의 감정, 한국화재보험협회, 방재와 보험 96호, pp34-42(2003)
  7. KS C 4202 : General Low Voltage Three-phase Induction Motors(2000)
  8. 김만건, 김진표, 전기화재 감식공학, 성안당, pp.304-312(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