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osure scenario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7초

계층화 분석과정법과 디지털 목업을 이용한 정량적 해체 시나리오 평가 (Quantitative Comparison and Analysis of Decommissioning Scenarios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and Digital Mock-up System)

  • 김성균;박희성;이근우;정종헌
    • 에너지공학
    • /
    • 제16권3호
    • /
    • pp.93-102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해체 시나리오를 정량적 및 정성적 고려사항을 반영하여 평가하기 위하여 계층적분석이론(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이용한 평가모델을 개발하였으며 또한 해체 시나리오의 정량적인 자료산출을 위하여 해체일정, 폐기물량, 방사화 가시화, 해체비용, 작업자 피폭량 등과 같은 해체정보산출모듈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해체공정을 가상환경에서 구현하여 해체절차를 파악하기 위하여 디지털 목업(Digital Mock-Up, DMU)을 개발하였으며 DMU 시스템은 해체정보산출모듈, 해체 DB 및 해체 시나리오 평가 모듈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도록 개발되었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해체 DMU 시스템과 계층분석과정 모델을 연구로 1호기(Korea Research Reactor-1, KRR-1) thermal column의 플라즈마 절단 시나리오와 nibbler 절단 시나리오에 적용하여 비교 평가하였다.

지하수에서 유래한 벤젠의 노출경로별 인체축적특성 (Accumulation Property in Human Body of Benzene Derived from Groundwater According to Exposure Pathway)

  • 김상준;이현호;박지연;이유진;유동한;양지원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9권1호
    • /
    • pp.12-2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벤젠을 대상으로 오염된 지하수를 생활용수로 사용했을 때 발생하는 실내오염도를 모사하고 실내에서 가능한 흡입, 섭취, 피부흡수와 같은 노출경로를 고려하여 노출시나리오를 자성하였다. 인체에 유입된 벤젠에 대하여 PBPK 모델을 이용하여 인체의 각 장기에 어떻게 분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결과에서 흡입과 섭취가 주요노출 경로였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많은 호흡량으로 인해 보다 높은 노출속도를 유지하였다. 노출속도에 대한 피부흡수의 공헌도는 상대적으로 매우 작았다. 단기노출의 결과 오염물 노출에 대하여 SPT, RPT,간의 정맥혈 중 벤젠농도는 빠르게 증감하는 반면 지방의 경우는 느리게 반응하였고 많은 벤젠이 지방세포에 축적되어 정맥혈에는 적은 농도로 존재하였다. 장기간 노출에서 여성은 남성보다 전체적으로 2.1배 많은 벤젠을 체내에 축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간 노출에서 총유입벤젠의 98%가 호흡과 대사분해에 의해 제거되었다. 흡입경로는 벤젠이 호흡배출에 의해 69.8% 제거되었으며 섭취경로는 48.4%로 오염물이 유입되는 위치에 따라 각각의 제거기작의 공헌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내오염에 따라 오염물이 체내에 흡수되고 분포ㆍ제거되는 현상을 이해하고 노출저감대책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표층처분시설의 인간침입 시나리오 평가에 대한 불확실성 관리: RESRAD와 GENII의 비교분석 (Uncertainty Management on Human Intrusion Scenario Assessment of the Near Surface Disposal Facility for Low and 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Comparative Analysis of RESRAD and GENII)

  • 김민성;홍성욱;박진백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69-380
    • /
    • 2017
  • 중 저준위방사성폐기물 표층처분시설 인간침입시나리오의 '평가/해석에 대한 불확실성'의 관리를 위해 GENII를 이용한 평가결과를 오염토양에 대한 방사선영향평가를 위해 개발된 RESRAD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표층처분시설의 인간침입시나리오로 시추후거주시나리오를 선정하여 각 코드의 현상 모사에서 발생하는 한계점을 파악하고 동일한 입력데이터 조건에서 두 코드의 평가결과를 비교분석함으로써 모델링의 불확실성을 분석하였다. 평가결과 각 코드에서 일부 핵종의 거동모사에 대한 차이는 있었으나 폐쇄후관리기간 이후 선량평가 결과 모든 피폭경로에 대한 경향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RESRAD에서 확인한 선량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입력인자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고 주요입력인자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모델링 결과 및 입력인자에 대한 불확실성을 분석하고 안전성평가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저준위방사성폐기물 처분시설의 Safety Case 구축에 활용될 수 있다.

경남 농촌 지역 비소 오염 지하수의 시나리오별 위해성 평가 (Risk Assessment of Arsenic-Contaminated Groundwater in Multiple Scenarios in a Rural Area of Gyeongnam Province, Korea)

  • 오세림;이진용;문상호;장지욱;정은주
    • 지질공학
    • /
    • 제32권4호
    • /
    • pp.437-448
    • /
    • 2022
  • 위해성 평가란 위험 물질에 대해 인체 건강에 대한 위협을 계산하는 것으로 발암성 평가와 비발암성 평가로 나뉜다. 본 연구는 경남 한 농촌 지역의 비소 오염 지하수를 생활용수, 음용수로 사용할 경우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연구를 위해 국가지하수정보센터의 지하수 수질 자료를 이용하였다. 자료에 따르면 연구지역인 농촌 지역의 지하수는 평균 비소 농도가 16.27 ㎍/L로 세계보건기구가 제시한 비소 농도(10 ㎍/L)보다 높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건강 위해가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여 미국환경청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위해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세 가지 노출 시나리오(생활용으로 이용하는 시나리오 1과 음용으로 이용하지만 사용량이 다른 시나리오 2와 3)를 작성하여 비소 노출에 대한 경우를 통해 위해성을 계산하였다. 시나리오 1에서의 HQ의 중앙값은 0.77, CR의 중앙값은 0.013을 보이며 시나리오 2에서는 HQ의 중앙값은 0.08, CR의 중앙값은 3.69 × 10-5로 나타났다. 시나리오 3은 HQ의 중앙값은 0.11, CR은 4.82 × 10-5였다. 인체에 잠재적 위험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시나리오 1로 나타났다. 지하수 내의 비소 기원을 자세히 밝힐 필요가 있으며 지하수 이용 시 정화할 수 있는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PPL광고의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DVB-SI 기반 데이터서비스 연구 (A Study on a DVB-SI based Data Service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PPL Advertising)

  • 고광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89-195
    • /
    • 2019
  • PPL광고는 다른 TV광고에 비해 저렴한 비용, 영상 속 자연스런 노출로 인한 친숙한 이미지, 콘텐츠 수출로 인한 해외 마케팅 효과 등의 장점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시청자의 반감 없이 노출되어야 한다는 제약 때문에 짧은 영상 노출 외에 PPL광고 대상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어렵다. 이 에, 본 연구는 PPL광고 대상의 부가정보를 제공하는 PPL광고 지원 데이터서비스를 설계하였다. 구체적으로, TV 플랫폼의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서비스의 사용자 시나리오와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설계하였고, PPL광고의 대표적인 유형을 구별하여 주요 부가정보를 정의하였으며, 프로그램에서 PPL광고 대상들이 노출되는 시점 정보를 고안하였다. 그리고 이 정보를 국제 디지털방송 표준인 DVB-SI 테이블로 데이터서비스에 공급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Comparative Evaluation of Egg Quality in Response to Temperature Variability: From Farm to Table Exposure Scenarios

  • Ji-Hoon An;Youngmin Hwang;Sumin Hwang;Hyojin Kwon;Hyelim Gu;Kihwan Park;Changsun Choi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1002-1016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ppropriate temperature management practices and provide scientific evidence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sell-by-date guidance for eggs. Washed and unwashed eggs were subjected to storage under six different scenarios, and both types of eggs were stored at temperatures up to 35℃ to evaluate the sell-by-date. Despite temperature fluctuations or continuous storage at 30℃ for 5 days, subsequent storage at 10℃ resulted in significantly higher Haugh unit and yolk index on day 15.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frigerating eggs from retail sales until consumption is effective for egg quality management, despite the exposure of up to 35℃ during distribution. In terms of sell-by-date evaluation, washed eggs retained class B quality for an additional 37 days beyond the recommended sell-by-date at 15℃, which is above the regulated storage temperature. However, unwashed eggs maintained class B quality for approximately 20 days at 30℃-35℃, emphasizing the need for sell-by-date guidelines for unwashed eggs. This study is the first to provide appropriate egg-handling practices based on the actual distribution environment in Korea.

공동주택내 이산화질소(NO2) 및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노출에 따른 건강 위해성 평가 (Health Risk Assessment by Potential Exposure of NO2 and VOCs in Apartments)

  • 정순원;양원호;손부순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2-249
    • /
    • 2007
  • Indoor air quality has become a topic of interest and concern. Especially changes in construction design and the increased use of synthetic products may result in an increasing of complaints and health effects about the quality of indoor air at home. In this study, nitrogen dioxide($NO_2$)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within new and established apartments on the basis of 4 years of building year were measured every 3 days consecutively during 60 days. We selected each 10 house in Seoul, Asan and Daegu, respectively, and produced risk numbers for hazard quotients, and predicted increases in incidence of cancer. The calculations were made for the adult with default exposure values and also made for a worst case scenario using Monte-Carlo simulation as describing the reasonable exposure(RME). Mean of Monte carlo analysis by benzene, in the construction under 4 years (male: $9.2{\times}10^{-5}$, female: $1.0{\times}10^{-4}$) and over 4 years (male: $6.8{\times}10^{-5}$, female: $8.3{\times}10^{-5}$) exceeded $10^{-6}$ of permitted standards in US EPA, RME of Monte carlo analysis. In construction under 4 yews (male: $9.9{\times}10^{-3}$, female: $9.6{\times}10^{-3}$) and over 4 years (male: $9.8{\times}10^{-3}$, female: $7.8{\times}10^{-3}$) exceeded $10^{-4}$ of maximum permitted standards in US EPA. The hazard index of non-carcinogenic pollutants by nitrogen dioxide, toluene, m,p-xylene and o-xylene, both male and female in apartment constructed under 4 yews and over 4 years was found less than the permitted standards of hazardous health effects in CTE. Significant cancer risks and non-cancer hazard quotients were predicted in under 4 yews of building year.

Permitted Daily Exposure for Diisopropyl Ether as a Residual Solvent in Pharmaceuticals

  • Romanelli, Luca;Evandri, Maria Grazia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34권2호
    • /
    • pp.111-125
    • /
    • 2018
  • Solvents can be used in the manufacture of medicinal products provided their residual levels in the final product comply with the acceptable limits based on safety data. At worldwide level, these limits are set by the "Guideline Q3C (R6) on impurities: guideline for residual solvents" issued by the ICH. Diisopropyl ether (DIPE) is a widely used solvent but the possibility of using it in the pharmaceutical manufacture is uncertain because the ICH Q3C guideline includes it in the group of solvents for which "no adequate toxicological data on which to base a Permitted Daily Exposure (PDE) was found". We performed a risk assessment of DIPE based on available toxicological data, after carefully assessing their reliability using the Klimisch score approach. We found sufficiently reliable studies investigating subchronic, developmental, neurological toxicity and carcinogenicity in rats and genotoxicity in vitro. Recent studies also investigated a wide array of toxic effects of gasoline/DIPE mixtures as compared to gasoline alone, thus allowing identifying the effects of DIPE itself. These data allowed a comprehensive toxicological evaluation of DIPE. The main target organs of DIPE toxicity were liver and kidney. DIPE was not teratogen and had no genotoxic effects, either in vitro or in vivo. However, it appeared to increase the number of malignant tumors in rats. Therefore, DIPE could be considered as a non-genotoxic animal carcinogen and a PDE of 0.98 mg/day was calculated based on the lowest No Observed Effect Level (NOEL) value of $356mg/m^3$ (corresponding to 49 mg/kg/day) for maternal toxicity in developmental rat toxicity study. In a worst-case scenario, using an exceedingly high daily dose of 10 g/day, allowed DIPE concentration in pharmaceutical substances would be 98 ppm, which is in the range of concentration limits for ICH Q3C guideline class 2 solvents. This result might be considered for regulatory decisions.

유해물질의 식품기준 설정시 위해평가 (Risk Assessment for Identifying Maximum Level of Hazardous Chemicals in Foods)

  • 이효민;정기화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80-84
    • /
    • 2008
  • 유해물질의 식품기준은 위해성이 인정될 때 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위해평가의 절차에 거쳐 정량적 수치로 인정되는 위해성은 정부의 관리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대표성 있는 모니터링자료가 확보되어야 정확한 위해평가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만성적 건강영향을 나타내는 유해물질의 경우 장기적 모니터링결과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대다수 인구집단의 안전에 초점을 두었으나, 최근에는 고섭취에 의한 유해물질 고노출그룹, 동일노출 수준에서도 유해영향을 크게 나타내는 민감그룹, 노약자, 임산부 등의 안전까지도 검토 후 소수그룹까지 안전할 수 있는 기준을 설정하는 추세이다. 유해물질 기준검토를 위하여 최신의 독성정보, 통계정보, 분석기술정보, 낮출 수 있는 한 낮출 수 있는 ALARA(as low as reasonably achievable)정보들이 필요하다.

한약재 복용으로 인한 금속 섭취량 추정 및 위해성 평가 연구 (Metal Exposure Through Consumption of Herbal Medicine, and Estimation of Health Risk Among Korean Population)

  • 박해모;최경호;정진용;이선동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86-191
    • /
    • 2006
  • Metal contamination of medicinal herbs is of growing concern because of their potential adverse health effects. In this study, metal exposures were estimated and their potential health risks were preliminarily evaluated using available data including metal contamination levels and consumption estimates of herbal medicine in Korea. Consumption and contamination data of 34 medicinal herbs abundantly used in Oriental medicine in Korea were used in this study. Lead, mercury, arsenic, cadmium, cobalt, and chrome were identified as contaminants of potential health concerns. Even based on a conservative exposure scenario, i.e., consuming 5 times more herbal medicine with 95th percentile contamination levels, health risks associated with herbal medicine consumption were estimated to be minuscule. Herbal consumption was 0.3% of the provisional tolerable daily intake levels recommended by Joint Expert Committee on Food Additives (JECFA) of WHO/FAO.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re are several important assumptions and uncertainties associated with this evalu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only 34 types of medicinal herbs of which consumption and metal contamination data were available. In addition, there are no reliable herbal medicine consumption data among Korean population. The pattern and amount of herbal (medicine) consumption in Korea need to be investigated in order to conduct more refined risk assessment associated with metal contamination in medicinal her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