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xport Intensity

검색결과 86건 처리시간 0.029초

Export Performance and Stock Return: A Case of Fishery Firms Listing in Vietnam Stock Markets

  • VO, Quy Thi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4호
    • /
    • pp.37-43
    • /
    • 2019
  • The research aims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rt performance and stock return of Vietnamese fishery companies. To conduct this study, quarterly data was collected for period from 2010-2018 of 13 fishery companies listing in Ho Chi Minh Stock Exchange (HOSE) and Ha Noi Stock Exchange (HNX). The export performance was measured by export intensity, export growth and export market coverage. In addition, interest rate, exchange rate, GDP, firm size, profitability, and financial leverage were considered as the control variables in the research model. Panel data analysis with Generalized Least Squares model was employed to estimate the predictive regress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export intensity and export growth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stock returns. However, export market coverage h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tock return at the 0.05 level. Profitability, financial leverage, and exchange rate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hile interest rate and GDP have no relation to stock return at the 0.05 significance level. The findings imply that investors should consider the export intensity instead of export growth and export market coverage as selecting stock of fishery exports firms to invest; managers should increase export intensity to increase company's stock price or firm market value.

Technological Intensity and Export Specialization in Asia: A Comparative Analysis of Japan, Korea, China and Taiwan

  • Movshuk, Oleksandr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3권2호
    • /
    • pp.42-48
    • /
    • 2012
  • This paper examined structural changes in export specialization of Japan, South Korea, Taiwan, and China at different levels of technological intensity. The study foun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these Asian economies, with most pronounced changes for exports with high technological intensity. To account for the changing export specialization, the study applied the classical Ricardian model of comparative advantages to export patterns of Japan and South Korea. We found that the export specialization of Japan was mainly determined by differences in fixed effects across industrial sectors, with changes in relative labor productivity much less important. In contrast, changes in productivity turned out an essential factor for explaining the recent export specialization of South Korea.

  • PDF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 코스닥 기업의 연구개발집약도를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Export Manufacturing Firm Efficiency: Focusing on R&D Intensity in a KOSDAQ-listed Firm)

  • 황경연;구종순
    • 국제지역연구
    • /
    • 제20권2호
    • /
    • pp.63-83
    • /
    • 2016
  • 본 연구는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DEA를 활용한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 분석에는 투입변수로 종업원수와 자본을 활용하고 산출변수로 매출액을 활용하였다. 수출제조기업의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존 실증연구를 기초로 연구개발집약도, 수출집약도, 인건비비율, 일반관리비비율, 총자산, 유동성 및 자기자본비율을 선정하였다. 실증분석에는 369개 코스닥 수출제조기업의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패널자료를 활용하였다. 패널 Tobit 회귀분석을 활용한 실증분석결과 중에서 코스닥 수출제조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연구개발집약도, 인건비비율, 총자산 및 자기자본비율이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수출집약도가 CCR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 수출제조기업 중 대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연구개발집약도가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수출집약도, 인건비비율 및 자기자본비율이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일반관리비비율이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스닥 수출제조기업 중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결과에서는 연구개발집약도, 인건비비율, 총자산 및 자기자본비율이 CCR효율성과 BCC효율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제조기업의 수출 비중과 지식탐색 활동 간의 관계 (Export Intensity and Knowledge Search Activities of Korean SME Manufacturers)

  • 김선영;박상문;정예림;최윤정
    • 벤처창업연구
    • /
    • 제10권2호
    • /
    • pp.1-10
    • /
    • 2015
  • 본 연구는 국내 중소제조업에서 수출비중과 지식탐색활동 특성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11년 "중소기업기술통계조사"에 참여한 중소제조업체 2,145개를 대상으로 각 기업의 수출 비중이 조직 내부와 외부 지식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중소기업의 지식탐색활동은 주요 고객과 시장의 지리적 구성에 따라서 차이가 있었다. 즉, 내수 지향적이거나 수출 지향적 중소기업은 조직 내부 및 외부에 위치한 새로운 지식과 정보를 탐색하고 활용하는데 적극적이었지만, 수출과 내수 시장을 모두 추구하는 기업은 조직 내부 및 외부지식탐색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중소기업이 수출과 지식탐색 및 역량 간의 관계에 대해 새로운 지식을 확장하는 데 이바지한 것이다. 또한, 외부 지식탐색활동 자체도 조직 내부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실증한 것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실무적 관점에서는 내수기업에서 수출확대 및 글로벌 중소기업으로 발전에 대해 각 과정의 기업들이 서로 다른 지식탐색활동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관련 정책 및 지원프로그램의 설계와 운영에도 참조할 수 있다는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Export on R&D Cost Behavior: Evidence from Korea

  • Chang Youl Ko;Hoon Jung
    • Journal of Korea Trade
    • /
    • 제26권5호
    • /
    • pp.23-38
    • /
    • 2022
  • Purpose - This research intends to find out whether R&D cost stickiness shows differentiated aspects depending on exports in Korea. A cost behavior that indicates a lower rate of costs decrease when sales decrease than the rate of costs increase when sales increase is called cost stickiness. This sticky cost behavior is caused by considering the adjusting cost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verify that R&D cost stickiness is greater in export firms than in non-export firms. We also investigate the effect of exports on R&D cost stickiness is nonlinear. Design/methodology - We obtain data for the analysis from Kis-Value and TS2000 from 2012 to 2020. This study tests for R&D cost stickiness of exports using the cost stickiness model developed by Anderson et al. (2003) that is used in a lot of prior literature. To explore the nonlinear behavior of R&D cost stickiness we include a quadratic term of exports in our model. Findings - The results of our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we observed that R&D costs of export firms are more sticky than that of non-export firms. Our result indicated that export firms are less likely to reduce R&D costs in decreasing sales periods in preparation for future sales recovery. Second, our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export firms view R&D costs much favorably. However, we hypothesize that the effect of export intensity on R&D costs may not necessarily be linear. Our result shows the effect of exports intensity on R&D stickiness is thus nonlinear, forming a reverse U-shaped curve. When export intensity exceeds a certain threshold, the growth rate of R&D costs appears to be viewed negatively. Firms with relatively high export intensity do not support R&D costs, viewing them as taking away firms' resources from other more productive costs. On the contrary, those with export intensity under the threshold view R&D costs as beneficial and therefore promote further R&D costs when revenue decreases. Originality/value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contribute academically to the expansion of empirical research on R&D cost stickiness. R&D cost stickiness varies by industry. As a result of our research, the managers of export firm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D to lead innovation. We expected that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further studies on R&D costs and cost stickiness. Second, this research has implications from a business perspectives. Our findings of export firms' R&D stickiness suggest that export firms' managers should consider keeping the stickiness of R&D when revenue decreases because it is essential for exporting firms to maintain their R&D stickiness to secure long-term competitiveness. R&D stickiness can be used on a practical basis to emphasize the need for continuous investment in exporting firms' R&D activities.

정부 해외 마케팅 지원 프로그램의 인지도 및 이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관계 분석 (Factors Affecting Awareness and Usage of Government Export Marketing Assistance Programs and Their Relationships)

  • 이철;김상용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42
    • /
    • 2009
  •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government export marketing assistance programs and future improvements of the programs. 500 Korean exporting firms were used as a sample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7.0. The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xporting firms' awareness of export marketing assistance programs showed a positive impact on their use of the programs. Second, small exporters showed higher awareness and use of the programs than large ones. Third, the firms with low export intensity showed higher awareness and use of the programs than those with high export intensity. Fourth, exporters having high orientations for overseas market showed higher awareness and use of the programs than those with low international orientations. Fifth, exporters having high proportion of direct exports showed higher awareness and use of the programs than those with low proportion of direct exports. Also, the effects of these firm-specific characteristics on the use of the programs were found to be done indirectly, in other words, through the awareness of the programs.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export marketing assistance program would be differentiated and specialized to fit in with exporters' different exporting stages and needs. Also,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the programs, exporters' awareness and knowledge of the programs have to be increased in advance.

매출액영업이익률, 매출액성장률, 부채비율 및 기업규모를 고려하여 살펴본 광고선전활동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 한국 제조업 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개발집약도 및 수출비중의 조절효과 분석 (The Value Relevance of Advertising Activity based on R&D Intensity and Export Ratio)

  • 김진수;권기정
    • 국제지역연구
    • /
    • 제14권3호
    • /
    • pp.312-338
    • /
    • 2010
  • 기업의 광고선전활동은 매출의 상승, 충성고객의 확보, 진입장벽 구축 등의 효익을 제공한다. 그러나 광고선전활동과 기업가치 간의 관련성에 대한 많은 실증연구들은 일관된 결과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1년 1월 1일부터 2009년 12월 31일까지 한국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에 계속 상장된 제조업 영위 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광고선전활동과 기업가치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들 간의 관계에 있어 연구개발집약도 및 수출비중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선전활동의 대용변수인 광고선전집약도의 계수는 1% 수준에서 양(+)으로 유의하였다. 광고선전활동이 증가할수록 기업가치가 상승하였다. 둘째, 전체표본을 고 및 저 연구개발집약도 표본(고 및 저 수출비중 표본)으로 각각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광고선전집약도의 계수값은 저 연구개발집약도 표본(고 수출비중 표본)이 고 연구개발집약도 표본(저 수출비중 표본)에 비해 컸다. 연구개발집약도(수출비중)에 의해 광고선전활동과 기업가치 간의 관계가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수출제조기업의 생산성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혁신활동을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Productivity Change in Export Manufacturing Firms : Focusing on Innovation)

  • 황경연;구종순;황정현
    • 무역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61-90
    • /
    • 2016
  • 본 연구는 수출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기업의 생산성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 실증연구에 기초하여 수출제조기업의 생산성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선정하고, 이러한 변수들과 수출제조기업의 생산성변화간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출제조기업 355개 대상으로 생산성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에서 수출제조기업의 혁신활동과 총자산은 생산성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인건비비율, 자기자본비율 및 유동비율은 생산성변화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출제조대기업에서 혁신활동과 무형자산은 생산성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인건비비율, 판매비비율 및 자기자본비율은 생산성변화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출제조중소기업에서 혁신활동은 생산성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인건비비율 및 자기자본비율은 생산성변화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KOSIP 상장 수출제조기업에서 무형자산은 생산성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인건비비율, 판매비비율 및 유동비율은 생산성변화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KOSDAQ 상장 수출제조기업에서 혁신활동 및 총자산은 생산성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인건비비율 및 자기자본비율은 생산성변화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의 벤처기업은 태생적 글로벌기업인가: 벤처기업의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 분석 (An Analysis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Level of Globalization of Korean Venture Business)

  • 김종운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3호
    • /
    • pp.37-48
    • /
    • 2016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벤처기업들의 국제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국제화 수준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기 위하여 "벤처기업실태조사" 자료 중 1,970개 벤처기업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경영자의 특성 중 연령은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경영자의 학력과 과거 업무 경험은 매우 유의하게 벤처기업의 국제화 수준에 영향을 주었는데, 박사학위를 보유한 경우와 과거 마케팅 분야의 업무 경험을 보유한 경우에 다른 경우보다 수출집중도가 높게 나타났다. 기업 특성의 경우, 기업의 기술수준은 기업 국제화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았지만, 외주생산을 하는 경우에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수출집중도가 유의하게 높았고, 업력이 증가할수록 기업의 국제화 수준이 유의하게 낮았다. 또한, 국내시장의 경쟁 수준은 벤처기업의 국제화 수준에 영향을 주지 않은 반면, 수출지역 및 직접진출지역의 수가 늘어날수록 국제화수준은 높아지고, 그 수출지역의 수가 더욱 큰 영향을 미쳤다. 한편, 국제화 수준은 일반적으로 벤처 기업의 영업이익율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못하였지만, 창업후 10년 이후의 기업군에서는 매우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화에 있어 벤처기업 경영자의 교육과 업무경험 뿐만 아니라, 해외시장에 진출하는 기업들의 전략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기업규모, 기업성장, 그리고 수출성과 : 우리나라 제조업에 대한 실증적 연구 (Exports, Firm Size, and Firm Dynamics : An Empirical Study o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 성태경;박광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2권
    • /
    • pp.1-23
    • /
    • 2007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xports, firm size, and firm dynamics. It is based on a longitudinal data covering listed firms i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We found the stylized fact that the probability that a firm is exporter increases with firm size. A regression model for the determinant of export/sales ratio including dynamic adjustment process is tested on a cross-section sample for the year 2001. Empirical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positive and inversely U-shaped relationship between firm size and export/sales ratio, just for basic material and capital good industry. Except for firm size, the hypotheses concerning human capital intensity, physical capital intensity, R&D intensity, and patent are rejected. Using Granger causality test, we found that the rate of growth of total sales influences the change of the export/sales ratio with time lag for medium-sized firms. Finally,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presen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