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mental education

검색결과 4,642건 처리시간 0.036초

식당 비디오 테이핑 및 직무 의사소통 그림판 제작활동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조리직무기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Restaurant Video Taping and Job Communication Drawing Board Production Activities on Cooking Job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김영준;김화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1호
    • /
    • pp.19-29
    • /
    • 2022
  • 본 연구는 식당 비디오 테이핑 및 직무 의사소통 그림판 제작활동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조리직무기술에 대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특수학교 고등학교 과정에 재학 중인 세 명의 지적장애학생으로 구성되었으며, 실험 환경은 식당 내 주방과 특수학교 내 교실로 구성되었다. 연구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에 따른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 기법을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으로 구성된 중재 프로그램은 연구 참여자들이 식당 사업체의 주방의 환경적 시설과 도구 및 재료, 직원들의 조리직무에 대한 수행 장면을 비디오 테이핑한 후 교실의 장면에서 테이핑한 자료를 직무 의사소통 그림판으로 제작하는 연계 절차로 적용되었다. 종속변인으로 구성된 조리직무기술은 연구 참여자들이 식당의 주방에서 김밥을 직접 조리하는 수행으로 정의된다. 연구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중재 프로그램을 통해 조리직무기술을 효과적으로 습득, 유지, 일반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기반 과학 탐구 프로그램을 활용한 화학 수업이 과학 긍정경험, 과학과 핵심역량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emistry Class Using Computer-Based Science Inquiry Program on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Science Core Competency, and Academic Achievement)

  • 김성기;김현정
    • 대한화학회지
    • /
    • 제66권2호
    • /
    • pp.107-123
    • /
    • 2022
  • 이 연구는 컴퓨터 기반 과학 탐구 프로그램을 활용한 화학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물질의 특성 영역에서 3차시의 컴퓨터 기반 과학 탐구를 중심으로 하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서울에 위치한 K 중학교에 투입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집단은 혼합물의 분리와 관련된 3차시의 컴퓨터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이 도입되었으며, 비교집단은 교과서에서 제시한 내용을 교사 중심의 강의법으로 도입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과학 긍정경험과 과학과 핵심역량은 이원공분산분석(2-way ANCOVA)을, 학업성취도는 이원분산분석(2-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긍정경험, 과학과 핵심역량, 학업성취도에서 모두 두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였으며(p<.05), 학업성취도에서만 집단*성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였다(p<.05). 이 연구 결과로부터 지속적인 과학 탐구가 가능한 화학 수업 방법으로 컴퓨터 기반 과학 탐구 프로그램의 활용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요가치료 문헌 고찰을 통해 본 현황과 발전 방향 (Current Status and Development Direction Through a Review of Yoga Therapy Literature)

  • 정연희;이거룡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8-78
    • /
    • 2022
  • 배경: 통합의학의 관점에서 새로운 요가치료의 발전 방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목적: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요가치료 임상연구의 현황을 과학적 범주로 분석하고, 요가치료의 내용과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방법: 자료수집은 RISS, NDSL, DBpia, e-article, KISS 등 전자데이터베이스를 통해 2010년부터 2018년까지 출판된 KCI 등재후보 이상 국내 학술 논문 530편을 선정하였고, PRISMA 가이드라인을 참조하여 최종 28편을 추출하였다. 결과: 질적인 측면에서는 CEBM 근거수준의 3b에 머물렀고, 양적인 측면에서도 전체 임상연구의 실험군이 288명이라는 점에서 요가치료의 국내 임상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요가치료의 내용은 80%가 아사나 동작에 중점으로 두는 운동치료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요가치료에 있어서 통합의학적 관점의 8지요가 및 판차코샤 이론에 대한 이해와 실천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려준다. 즉, 요가치료는 개인의 정신적, 신체적 체질을 바탕으로 한 전인치유 요가와 아유르베다를 기반으로 하는 명상치료와 운동치료가 통합된 심신통합치료 프로그램으로의 발전이 요구된다.

호흡응급환자의 적절한 헬스케어를 위한 마스크 유형별 환기효과 비교 (Comparison of Ventilation Effects by Mask Type for Proper Health Care of Respiratory Emergency Patients)

  • 김태현;박시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477-485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도관리의 중요한 장비 중 하나인 bag-mask ventilation (BMV)의 환기 적절성이 상업화된 마스크의 종류에 따라 그리고 처치자의 손의 특성에 따른 영향요인을 분석해 가장 적확한 bag-mask의 종류를 제언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전남지역 D 대학의 기본인명 소생술 교육센터(대한심폐소생협회 등록기관)에 응급의료종사자를 위한 기본소생술 과정 및 한국형 전문심장구조술 과정을 수료한 학생을 39명을 모집하여, 손의 신체적 특성을 측정함은 물론, bag-mask를 이용한 분당 평균환기량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손의 특성에 가장 영향을 받지 않고 적절한 환기량이 제공되는 마스크 유형은 Soft type(tube, silicon)의 마스크였다. 반면 Hard type(tube, silicon)의 마스크는 처치자의 손의 특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받아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에 부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현재 COVID-19로 인해 구급대원과 환자들에게 감염의 위험도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들을 고려했을 때 감염방지는 물론, 적절한 환기량에도 불리한 반영구 Hard type 마스크의 보편적 사용은 지양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이에 환자 및 처치자의 감염 방지(1회 용) 용이성은 물론 적절한 환기량에서도 안정적인 환기량을 제공 가능한 Soft type 마스크의 '장점 인식'과 공급을 통해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돼야 할 것이다.

그림책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Papers Related to Picture Books: Focusing on papers 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 김종성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89-214
    • /
    • 2022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그림책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연구의 현황과 경향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21년까지 국내에서 생산된 그림책 관련 학술논문 1,660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 논문을 일일이 확인하고 분석하여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그림책 관련 학술 논문은 1990년대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2010년을 전후로 크게 증가하였다. 둘째, 그림책 관련 논문이 가장 많이 게재된 학술지는 『어린이문학교육연구』로 전체의 17.7%가 게재되었다. 셋째, 우리나라 그림책 연구를 주도한 대표적인 연구자는 현은자, 조희숙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연구 유형별로는 개인연구 논문이 39%, 공동연구 논문이 61%이다. 다섯째, 연구주제 분석 결과 그림책 내용(분석) 연구(33.4%) 그림책의 효과 연구(29.6%), 그림책에 대한 인식·반응·경험 연구(18.0%)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방법 분석 결과 실험연구(35.7%), 내용분석(33.7%), 문헌연구(13.3%), 질적연구(9.3%)순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 논문의 생산 경로 다양화, 대학과 현장의 협업 관행 확대, 연구주제의 다양화, 연구방법의 타당성 제고와 다양성 확대 등 4가지 과제를 제안하였다.

카드 데이터 기반 심층 관광 추천 연구 (Card Transaction Data-based Deep Tourism Recommendation Study)

  • 홍민성;김태경;정남호
    • 지식경영연구
    • /
    • 제23권2호
    • /
    • pp.277-299
    • /
    • 2022
  • 관광산업에서 발생하는 방대한 카드 거래 데이터는 관광객의 소비 행태와 패턴을 암시하는 중요한 자원이 되었다. 거래 데이터에 기반을 둔 스마트 서비스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은 관광산업과 지식관리시스템 개발자들의 주요한 목표들 중 하나이다. 그러나 기존 추천 기법의 근간이 되어 온 평점을 활용하기 어렵다는 점은 시스템 설계자들이 학습 과정을 평가하기 어렵게 한다. 또한 시간적, 공간적,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같이 추천 성과를 높일 수 있는 보조 요소들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법도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들에 대하여 본 논문은 카드 거래 데이터를 기반으로 관광 서비스를 추천하는 새로운 방식인 CTDDTR을 제안한다. 먼저 Doc2Vec를 이용하여 시간성 선호도를 임베딩하여 관광객 그룹과 서비스 벡터로 데이터를 표현하였다. 다음 단계로 딥러닝 기술 중 하나인 다중 계층 퍼셉트론을 도입하여 얻어진 벡터와 관광 RDF로부터 도출한 보조 요소를 통합하여 심층 추천 모듈을 구성하였다. 추가로, 지식경영 분야의 RFM 분석 기법을 심층 추천 모듈에 도입하여 심층 신경망을 학습하는데 사용되는 평점을 생성함으로써 평점 부재 문제에 대응하였다. 제안한 CTDDTR의 추천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 제주도에서 8년 동안 발생한 카드 거래 데이터를 사용하였고, 제안된 방법의 우수한 추천 성능과 보조 요소의 효과를 증명하였다.

발달성협응장애 아동의 인지기반 작업수행(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CO-OP)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 최연우;김경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72-85
    • /
    • 2022
  • 목적 : 본 연구는 발달성협응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인지기반 작업수행 중재의 목표 활동, 중재 방법 및 중재 효과, 평가도구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중재 효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2년 1월부터 2022년 10월까지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PubMed, Embase, ScienceDirect, Cochrance Library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OR 'DCD') AND ('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OR 'Cognitive Orientation to Occupational Performance' OR 'CO-OP')이었다. 검색된 211편 중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에 따라 총 7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대상 문헌은 무작위 대조군 연구가 2편, 비무작위 두 집단 연구가 1편, 비무작위 한 집단 연구가 3편, 단일 대상 연구가 1편으로 전반적으로 근거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중재의 목표 활동은 놀이, 교육, 일상생활활동 영역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인지기반 작업수행 중재는 대부분 한 회기에 1시간씩, 10회기로 진행하였으며, 작업수행과 운동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의 효과는 주로 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COPM)과 Performance Quality Rating Scale(PQRS)을 이용하여 작업수행 향상을, Movement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MABC)를 이용하여 운동 기술 향상을 평가하였다. 결론 : 본 연구는 발달성협응장애 아동의 인지기반 작업수행 중재 적용에 있어 임상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숲 체험 프로그램이 뇌파와 맥파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rest Experience Program on Brain Waves & Pulse Waves)

  • 김진국;최경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85-194
    • /
    • 2019
  • 본 연구는 단기간 숲 체험자들의 뇌파와 맥파의 변화를 측정하여 정신적인 효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청평에 위치한 자연휴양림에 방문한 484명의 체험자를 대상으로 숲 체험 전·후 뇌파와 맥파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숲 체험자들은 집중도, 두뇌활동정도 및 두뇌스트레스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숲 체험자들은 심장건강도 및 자율신경건강도 모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산림에서 방출되는 여러 가지 물질들이 우리 신체에 호흡기를 통해 들어오게 되면 먼저 심장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이는 곧 정서적인 측면인 두뇌에도 작용하여 다양한 호전을 기대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숲 체험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에 기인한 효능을 바탕으로 많은 사람들이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건강한 삶을 위한 하나의 지침으로 숲 체험이 널리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아울러 호흡과 심박 그리고 두뇌의 상호작용에 대한 기전 역시 이를 통해 가능할 것으로 보여 향후 숲 체험에 대한 다양한 실험 연구가 중요하다 하겠다.

브레히트 연기론의 영화적 변용 양상 (Cinematic Adaptation of Brecht's Gestus)

  • 김종국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59-67
    • /
    • 2019
  • 이 글은 브레히트의 게스투스가 영화에 어떻게 차용되고 변용되는가를 고찰하였다. 영화의 브레히트 차용에 따른 비판적 논의들을 살펴보았고, 구체적인 사례로 급진실험영화 및 할리우드영화에서 채택된 브레히트 연기의 양식을 고찰하였다. 덧붙여, 한국영화배우의 사례를 통해 브레히트 연기론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첫째, 영화의 브레히트 수용이 지나치게 형식적이고 기계적이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영화이론과 실제는 브레히트 사상을 환기시키고 새롭게 반영한다. 브레히트 당대의 사회정치적 상황에 관계없이, 그의 게스투스는 영화연기에 적합하며 유용하다는 것이다. 브레히트의 사유는 영화의 몽타주와 컴퓨터특수효과와 같은 기술혁신으로 실현되었고, 무엇보다 배우의 사회적 태도는 관객 교육을 통한 대중화에 성공한 사례이다. 둘째, 퍼포먼스에 관한 브레히트 전략은 더 이상 낯설지 않으며, 모순에 찬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넘어 대중영화의 즐거움으로 자리한다. 연기예술의 자연주의와 반자연주의가 의도는 다를지라도, 그 과정과 효과는 동일한 지점을 바라본다. 셋째, 브레히트 전략에 관한 대중적 이해의 시도로서 한국영화배우의 사례를 통해, 국내 배우론 및 연기론에 관한 정체성 탐색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학습의 효과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을 중심으로- (Effect of Learning Korean Vocabulary with the Use of Mobile Applications -focused on Korean beginner learners-)

  • 이바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37-47
    • /
    • 2022
  • 본 연구는 초급 한국어 학습자들의 어휘 학습에 대한 인식과 애플리케이션 클래스카드를 활용한 어휘 학습을 일반적으로 쓰면서 외우는 어휘 학습 방법과 비교하여 효과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교 한국어교육원 1, 2급 초급 한국어 학습자 24명을 대상으로 통제 집단 12명, 실험 집단 12명으로 나눈 후 어휘 평가지를 통하여 두 집단의 학습 전, 후 성취도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클래스카드를 활용하여 어휘 학습을 한 학습자들의 어휘 점수가 크게 향상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클래스카드를 활용한 어휘 학습의 효과성을 입증하였다. 또한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들이 애플리케이션 클래스카드를 활용한 어휘 학습에 대한 거부감을 느끼지 않으며 쉽게 어휘를 공부할 수 있는 어휘 학습 방안 중 하나로 생각하고 있어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어휘 학습이 학습자들의 학습 성취도와 정의적인 측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어휘 학습의 효과를 입증함으로써 학습자들의 흥미도와 어휘력을 높일 수 있는 어휘 학습 방안을 제안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