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perienced therapist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4초

직업적 음성사용자의 음성증상 및 '음성건강' 관련 서비스 인지도 조사 (A Survey on the voice symptoms and vocal-health service related experience of occupational voice users)

  • 이은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호
    • /
    • pp.397-405
    • /
    • 2015
  • 본 연구는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의 음성증상 및 음성건강 관련 서비스 인지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교사, 텔레마케터, 치료사들을 대상으로 음성증상의 유무 및 유형, 음성건강 관련 서비스 인지도를 알아본 결과 교사(91.8%), 텔레마케터(97.9%), 치료사(86%)들은 한 가지 이상의 음성증상을 보고하였다. 증상 유형은 '열감, 마름, 마른기침, 통증, 가래생김, 따끔거림, 쉼, 목소리 갈라짐, 부어오름'의 9가지로 분류되었고, 세 집단 모두에서 '마름' 증상이 가장 많았다. 교사의 85.7%, 텔레마케터의 87.8%, 치료사의 66%는 음성사용 관련 전문가의 도움을 받은 경험이 없었으며, '음성언어치료사'와 '언어치료사' 모두를 아는 경우는 각각 19.6%, 19.9%, 72%였다. 음성의 효율적 사용법에 대해 교사의 36.8%, 텔레마케터의 43.6%가 잘 알지 못한다고 하였으며, 교사의 45.3%, 텔레마케터의 43.6%, 치료사의 28%는 음성전문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조사 결과, 직업적 음성사용자들의 상당수가 음성증상을 경험하지만 음성건강 관련 전문적 서비스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임상실습 경험에 대한 포커스그룹 인터뷰 (A Focus Group Interview(FGI) on Experience During Clinical Fieldwork of Students in Occupational Therapy)

  • 강진호;남영옥;오명화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299-309
    • /
    • 2019
  • 본 연구는 작업치료과 학생들이 임상실습 동안 경험한 것을 알아보기 위해 10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 결과 5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으며, 구성요소는 심리적 경험, 전문적 경험, 환경적 경험, 가치관의 변화, 행동적 변화이었다. 심리적 경험으로 참여자들은 부정적 측면에서 부담감과 불안을 경험하였으며 긍정적 측면에서는 기대감과 설렘을 경험하였다. 전문적 경험으로는 이론과 임상을 연계에 대해 경험하였으며, 작업치료에 대한 전문적 지식 및 환자를 접해보는 경험을 하였다. 환경적 경험으로는 다양한 치료 접근을 경험하였고, 임상실습 지도 관리 체계 등을 경험하였다. 또한 임상실습을 통해 가치관의 변화를 경험하였으며, 행동적 변화를 경험하여 임상실습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학교에서는 전공에 대해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론적 지식의 적용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도 필요할 것이다. 또한 임상기관에서는 효율적 임상실습을 위해 학생중심의 실습교육과정을 마련하고 최적의 실습환경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20대 성인 흡연자의 조깅운동이 심장호흡기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mokers's Jogging Exercises on Cardiopulmonary Function of Normal Adults in Their Twenties)

  • 이삼철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9-17
    • /
    • 2016
  • Background and Purpose : Effects of smokers's jogging exercises on oxygen uptake, ventilation, heart rate, and vital-capacity of normal adults have not been studied in details on. In this study, people that had completed the established jogging exercises was selected for the study. We could examine the effects of imposed jogging in smokers who might be considered by an experienced physical therapist to be well practiced and proficient in this exercises. Subjects and Methods : A total number of 24 young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a randomized crossover controlled study and completed the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jogging and controlled groups which were composed 14 people respectively. The members of exercise group had jogging exercises 50 minutes a day, five times a week, for 5 weeks in same conditions, otherwise controlled group did not. Results :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jogging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ncreases in cardiopulmonary function, vital-capacity and exercise capacity, compared with control group, which demonstrated no change in baseline measurements of 5 weeks. Conclusion : Jogging exercises can increase cardiopulmonary function in people after they have undergone successful PA.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t was improved o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lung capacity, since jogging exercise had.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pplied for valuable criterion cardiopulmonary function. It is necessary to selects in various groups of the purpose of enhancing confidence in of this research.

  • PDF

Influence of Rehabilitation Therapists Six Personality Factors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 Wang, Joong San;Park, Hyun Ju
    • 국제물리치료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528-1532
    • /
    • 2018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ix personality factors of rehabilitation therapists an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their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is study involved physical therapists and occupational therapists as rehabilitation therapists.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rehabilitation therapists, and 186 answered copi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urvey were as follows: Among the six personality factors, the rehabilitation therapis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honesty-humility and the lowest level of openness to experience. In terms of job stress, the subjects experienced the highest level of stress from job autonomy and the lowest level of stress from relationship conflict. In terms of turnover intention and work motivation reduction, the subjects scored above the median points, showing their high levels of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higher levels of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in the rehabilitation therapists l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most of their job stress factors. Based on these results, organizational management aimed at increasing the personality factors of extraversion and agreeableness is necessary as a measure to effectively manage rehabilitation therapists'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통합예술치료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Integrated Art Therapy to Improve the Self-Esteem of the Children who Experienced Domestic Violence)

  • 유선숙;배성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163-17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통합예술치료가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성을 검증해 보는 것이며, 효과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양적연구로는 비모수 통계를 사용하여 자아존중감(Self-esteem)의 차이 검증을 하였다. 질적연구로는 동적가족화, 문장완성검사, 프로그램 보고서, 피드백 일지, 연구자와 보조치료사의 관찰일지를 이용하여 내면을 이해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내 I시에 소재한 I초등학생 4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프로그램 실시 후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적 자아존중감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통합예술치료는 자신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구체적 인식을 증진시켜 총체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교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폭력을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고, 또래관계와 대인 관계 개선을 위해 통합예술치료를 향후 학교나 기관에서 실시한다면 사회적 비용절감과 거리감을 좁혀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운전재활에 대한 부산 경남지방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인식도 및 요구도 조사 (Study on the Degree of Perceptions and Needs regarding the Driving Rehabilitation of the Students of Occupational Therapy in Busan and Gyeongnam)

  • 송민옥;장철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85-95
    • /
    • 201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운전재활에 대한 인식도 및 요구도를 파악함으로써 차후 운전 재활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 알아보고, 차후 운전 재활에 대한 연구를 하는데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연구 대상자는 경남, 부산 지역의 전문대학 작업치료과 학생 317명이었다. 설문지는 운전재활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15개 문항과, 운전재활에 대한 요구도 관련 9개 문항 그리고 대상자 특성에 관한 4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설문지 배부 및 회수 기간은 2013년 5월 12일부터 6월 20일었다. 결과 : 운전재활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학생은 73명(23.1%)였으며, 직접 경험한 적이 있는 학생은 47명(14.8%)였다. 운전재활을 알게 된 경로 및 경험한 경로는 모두 학교가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운전재활에 대해 알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에 비해 운전재활 전문가 및 운전재활 프로그램 및 정책에 대한 인식은 아주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의 운전재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며, 운전재활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인식도와 요구도에 대한 학년별 차이에서는 3학년이 1,2학년보다 인식도와 요구도가 높고, 학교별로 A학교가 C, D학교보다 유의하게 높은 인식도를 보였다. 결론 : 운전재활분야에서 작업치료사들의 영역을 확고히 하기 위해서는 작업치료를 담당하게 될 학생들에 대한 교육이 정규교육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

  • PDF

요양병원 치료사의 코로나19 대응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s of Responding to COVID-19 of Therapis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배원진;박주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37-347
    • /
    • 2021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치료사의 코로나19 대응 전략 및 치료실 감염관리 시스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치료사의 감염관리 업무 이해를 돕고자 실시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요양병원에서 근무 중인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 9명을 대상으로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연구대상자의 동의하에 녹음하였으며, 추가적인 내용 확인은 이메일로 받았다. 녹음된 내용은 전사 뒤 분석하여, 코로나19에 대처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기술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6개의 주제와 17개의 중심의미, 49개의 의미단위로 정리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요양병원 내 감염관리 교육 강화, 감염관리 실천, 업무시간 외 감염관리 감독으로 감염관리 시스템이 강화되었으며, 치료실 내 거리두기 실천, 업무시간 내 휴식 및 식사시간 조정, 감염관리 강화로 치료활동 제약으로 치료 환경이 변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치료사의 역할이 확대되고 언택트 중재방법에 대한 고려하는 등 치료의 패러다임이 변화되었으며, 코호트 격리, 코로나19 사전검사, 백신접종과 부작용 경험으로 코로나19에 따른 새로운 경험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감염업무로 인해 치료사의 업무 부담이 가중되고,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두려움과 우울감, 업무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백신접종 후 휴식 보장, 감염관리 도구 및 장비 지원 등 요양병원 치료인력 지원의 필요성도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요양병원 치료실 내 감염병 대응 전략 프로그램 개발 및 요양병원 감염관리를 위한 인적, 물적 지원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물리치료사의 직무관련 근골격계 통증과 직무 스트레스 (Work-Related Musculoskeletal Pain and Job Stress in Physical Therapists)

  • 용준형;이충휘;권오윤;전혜선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53-61
    • /
    • 201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WMSDs), contributing factors, and the occupational stress of physical therapists.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180 physical therapists in Gangwon Province. Variables examined included the prevalence of pain sites related to WMSDs; pain intensity; pain pattern; and job stress, which is thought to involve the physical environment; job demand; insufficient job control;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system; reward system; and occupational culture. Among physical therapist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pain commonly affected the low back (30.1%), shoulder (29.3%), and wrist (12.2%). The site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pain treated medically were the low back (22.8%), shoulder (19.8%), neck (12.7%), and wrist (12.1%). "Repeating the same work constantly" was suggested to be the major cause of the pain. The younger therapists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feel high job stress due to the physical environment (p<.05), job demand (p<.05), and organizational system (p<.01). Women were more likely to feel greater job stress related to job demand, insufficient job control, the organization system, and job rewards. Men were more likely to feel greater job stress related to job insecurity. Weak positive relationships were observed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pain and job stress, which is thought to involve the physical environment; job demand; insufficient job control; interpersonal conflict; job insecurity; organizational system; reward system; and occupational culture. Physical therapists appear to be at higher risk of WMSDs because 80.1% of the physical therapists studied experience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pain. To reduce the risk, we need intervention strategies such as preventive education, ergonomically designed medical equipment, a psychosocial approach to work conditions, improved mechanical conditions related to therapeutic patterns, and an institutional infrastructure with sufficient personnel and scheduling.

작업치료과 학생들의 임상 실습 만족도 조사 (A Survey for Satisfaction Degree on Clinical Practice for Student in the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

  • 이인실;이윤미;장철
    • 대한통합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45-59
    • /
    • 2013
  •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for in the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 an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improvement the curriculum of clinical practice. Method : This research period was from May 10. 2012 to May 31. 2012. And the subject of was were belonging to occupational therapy department who finished clinical practice. Results :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ing. As for the satisfaction of the clinical practice, the average point was 3.16 for 5, which was regular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of clinical practice content point was 3.47 for 5. In detail, the item of 'clinical practice made us a new experience in relation to curriculum at college' scored 4.01, the highest. By contrast, the internal conflict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scored 2.63. In detail, the answer "I didn't feel sorry for failing this training" scored 2.4, which scored lowest. Conclusions :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tudents have feel the clinical training is the significant process for being a occupational therapist, and they also have satisfy what they experienced. And we can also tell that some of them have trouble because of the gap between the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To improve these problems, students should have confidences by preparing their clinical practice and external voluntary. Furthermore, for better clinical practice, we hope that the study on preparations for clinical practice will continue.

Influence of Visual Feedback Training on the Balance and Walking in Stroke Patients

  • Lee, Kwan-Sub;Choe, Han-Seong;Lee, Jae-Hong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27권6호
    • /
    • pp.407-412
    • /
    • 2015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changes in the balance ability of patients whose head positions were altered due to strok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training on dynamic balance and gait. Methods: Forty-two stroke patients were enrolled. The Visual Feedback Training (VFT) group performed four sets of exercises per training session using a Sensoneck device, while the Active Range of Motion (ART) group performed eight sets per training session after receiving education from an experienced therapist. The Visual Feedback with Active Range of Motion (VAT) group performed four sets of active range of motion and two sets of visual-feedback training per session using a Sensoneck device. The training sessions were conducted three days a week for eight weeks. Results: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dynamic balance ability showed tha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distance of the body center was found in the VFT group (p<0.05) a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ccording to the training period (p<0.05). The comparison of the 10 m walk test showed that the main effect test, treatment period and interactions between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hree groups (p<0.05). Conclusion: Head-adjustment training using visual feedback can improve the balance ability and gait of stroke patients. These results show that coordination training between the eyes and head with visual feedback exercises can be used as a treatment approach to affect postural control through various activities involving the central nervous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