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istential

검색결과 291건 처리시간 0.027초

광화문과 주변지역의 영화적 공간성 변화 : 1950-2010년대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Changes in Cinematic Spatiality of Gwanghwamun and its Surrounding Areas : Focusing on Korean Films of the 1950s-2010s)

  • 서곡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713-727
    • /
    • 2021
  • 본고는 1950-2010년대 한국영화를 대상으로 광화문과 주변지역이 영화적 공간에서 어떤 의미작용을 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첫째, 1950-1960년대 한국영화에서 명동(남촌)과 북촌·서촌·동촌은 강렬한 욕망과 치명적 좌절, 근대화의 그림자와 갈등을 통해서, 화려한 도시의 지하세계와 비극적 파토스를 보여주는 원초적·지각·실존 공간이다. 둘째, 1970-1990년대 한국영화에서 명동·종로(남촌·북촌)와 서촌·동촌은 자유/악의 이분법과 부/빈곤의 이분법을 통해서 공적 복수와 사적 소외를 보여주는 지각·실존 공간이다. 셋째, 2000-2010년대 한국영화에서 광화문(서촌)과 북촌·남촌·동촌은 국민의제와 저항운동, 욕망과 상실, 비참한 현실과 죽음을 통해 시민사회 에토스와 암울한 진혼곡을 보여주는 지각·실존 공간이다.

암 환자가 지각한 가족 지지와 영적 안녕에 관한 조사 연구 (Study on Spiritual Well-being and Family Support of Cancer Patients)

  • 김정순;전성숙;황보선;김은영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7-80
    • /
    • 199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the basic data of nursing intervention for alleviation of effective adjustment of cancer patients by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iritual well-being and family support.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69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cancer and were admitted to a university hospital in Pusan.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period between December 1, 1998 and January 20, 1999 by interviewing with questionnaires. Family support questionnaire consisted of 11 questions answerable on a 5 point Likert scale developed by Kang Hyun Suk(1985). Spiritual well-being questionnaire consisted of 20 questions answerable on a 4 point Likert scale modified by Kang Jeong Ho(1996). The data were analyzed by in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d ANOVA using SPSS/WIN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for family support in cancer patients was 49.48, which indicated that cancer patients perceived their state of family support as high level. The mean score for spiritual well-being in cancer patients was 55.87, which indicated that cancer patients perceived their state of spiritual well-being as moderate level. Among the components of spiritual well-being, the mean score for religious well-being was 26.94 and for existential well-being 28.93. From the above, the mean score for existential well-being was higher than that of religious well-being.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support according to the types of primary caregivers(F=3.48, p=0.008). The spouse caregiver showed the highest family support among the caregiver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iritu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job(F=2.20, p=0.046) and the level of perceived health status(F=2.71, p=0.0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ligious well-being according to the religion(F=2.42, p=0.004) and the number of family members(F=3.38, p=0.040).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istential well-being according to the job(F=2.48, p=0.026) and the level of perceived health status(F=2.74, p=0.048). 3.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the family support(r=0.481, p=0.000), between religious well-being and family support(r=0.336, p=0.008) and existential well-being and family support(r=0.519, p=0.000).

  • PDF

한 중년여성의 진로구성 과정 (A Study of Career-constitution Process of a Middle-aged Woman)

  • 김소연;정희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65-282
    • /
    • 2015
  • 본 연구는 한 중년여성이 자신의 진로를 찾고 만들어가는 과정을 질적연구방법으로 탐구하였다. 그 결과, 연구참여자의 진로구성과정은 생존을 위하여 업(業)을 선택하고, 주어진 일을 잘 수행함으로써 직업세계에서 적응하는 직업적응과정 이상의 것으로 밝혀졌다. 진로구성과정은 진정한 '나(Self)'를 찾아가는 여정이었고, 지속적인 선택과 '행함'을 통하여 자신의 '있음'을 이해해가는 실존의 과정이었다. 연구참여자는 진로를 찾고 만들어가는 생의 여정에서 고유한 자신의 삶으로의 복귀를 실행하였고, 가능성을 향한 자기실현을 실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일'을 '업(業)'과 다르게 실존적 관점에서 이해하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일'은 실존적 '행함'으로써 삶의 의미를 만들어가는 통로이고, 자기실현으로 지향된 실존방식이다. 뿐만 아니라 생의 진로는 한 번의 선택으로 분명해지는 것이 아니라 지금-여기에서 결단과 실행이 축적됨으로써 만들어지는 잠재성과 가능성 사이의 요동으로 펼쳐지는 과정인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진로상담이 개인의 적성과 직업세계의 특성을 파악하여 연결시키는 선형적 작업을 넘어서 진정한 '나(Self)'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일'의 의미를 만들어가는 방향으로 전환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성인여성의 가족기능, 의사소통 및 영적 건강과의 관계 연구 (Relationships among Study on Family Functioning, Communic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in Adult Women)

  • 원정숙;장미희;이명희;박영미;신성희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0권1호
    • /
    • pp.86-94
    • /
    • 2004
  • This study has verified Family Functioning, Communic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to increase the family functioning in Adult Women. 236 adult women were chosen as the samples for the study, they are now currently registered in the church adult women in Seoul.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Family functioning scale by Olson, the communication scale by David H. Olson and Howard L. Barnes and spiritual wellbing Scale by Palautzian and Ellison Folkman. Data collection were form March to April, 2003. To get the descriptive statistics, SPSS Program,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analyzing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1. Represents the degree of family functioning, communic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on subjects. Means scores of this study are following: spiritual wellbeing 67.92, lower level of cohesive(5.19) and adaptive(3.93), communication 58.14, lower level of open(5.15) and closed(4.71) and family functioning 95.58, lower level of religious(7.70) and existential(7.63). All each lower level of family functioning, communication and spiritual wellbeing, on subjects were derived significantly different(p.05).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the variables of subjects. The cohesive family functioning score was significant related to the adapted(r=.588). Especially, the closed communication score showed inverse correlations open family functioning(r=-.424) and open communication score(r=-.680). The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score also was significant related to the cohesive(p<.001) and adaptive(p<.05) family functioning, open communication(p<.05). Especially, the closed communication score showed inverse correlations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r=-.202). The existential spiritual wellbeing score also was significant related to the religious(r=.815, p<.001). These results will not only emphasis the need of family functioning to elevate and decrease the Closed family communication but suggest the important points of gathering various data and analysis about economic, education and marital status. Finally, related to mental health nursing, a community can get the utmost out of these results to keep offering education and practice of family mental health for adult women.

  • PDF

롤로 메이의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철학적 기초 - 키에르케고어의 불안개념과 연관하여 - (A Study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Rollo May's existential psychotherapy - in connection with Kierkegaard's concept of anxiety -)

  • 오신택
    • 철학연구
    • /
    • 제130권
    • /
    • pp.135-159
    • /
    • 2014
  • 이 논문의 목적은 롤로 메이의 실존주의 심리치료가 키에르케고어의 불안개념에 철학적 기초를 두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메이는 자신의 실존주의 심리치료를 정립하는 데 키에르케고어의 불안개념을 사용한다. 키에르케고어의 불안개념과 달리 프로이트의 불안개념은 지나치게 기술적이라고 메이는 비판한다. 억압의 원인이 불안이라는 후기 프로이트 이론은 억압을 야기하는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간과한다는 것이다. 주체가 타인과의 관계에 부여하는 가치의 중요성이 주체에게 생성되는 불안의 강도에 결정적이라는 것이다. 메이는 공포와 불안을 구별하는 데서 대상성의 유무를 들고 있다. 이는 키에르케고어나 프로이트에게도 공통적인데 대상이 있는 것은 공포이고 그렇지 않은 것은 불안이다. 메이는 불안을 존재론적으로 해석한다. 무/비존재에 대한 키에르케고어의 언급을 발전시켜서 불안은 비존재에 대항하여 자신을 긍정하는 존재의 경험이라고 주장한다. 메이는 키에르케고어의 자유를 가능성, 잠재성과 유사한 의미로 해석한다. 인간이 잠재성을 성취하는 문제에 직면할 때의 상황이 불안이라는 것이다. 키에르케고어에게 자유는 불안과 관련되면서 동시에 죄와도 관련된다. 메이는 이를 계승하여 죄의식과 불안을 동전의 양면으로 취급한다. 그는 죄의식을 어떤 병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의 가능성의 증거로 본다. 키에르케고어는 :불안의 개념"의 부제를 '원죄라는 교의학적 문제에 관한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단순한 연구'라고 적고 있다. 그가 불안과 죄의 관계를 분리할 수 없는 문제로 보았음을 드러낸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메이의 실존주의 심리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불안개념은 키에르케고어에게서 연유함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노인의 기능적 능력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영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unctional Capacity and Depres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pirituality)

  • 박선애;허준수
    • 한국노년학
    • /
    • 제37권1호
    • /
    • pp.125-14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삶의 만족도에 대한 통합이론(Brief, Butcher, George, & Link, 1993)을 기반으로, 노인의 기능적 능력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영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인천 및 경기도에서 노인복지관, 경로당, 종교기관의 노인대학을 이용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들이다. 편의표본추출방법으로 2015년 4월부터 5월까지 면접조사에 의한 자료수집이 이루어졌으며, 총 413부의 설문지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IADL과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영성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대한 실존적 영성의 영향력이 종교적 영성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종교적 영성과 실존적 영성 사이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는데 종교적 영성이 실존적 영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복지실천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노인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종교적 영성과 실존적 영성을 함양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천이 요구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노인복지실천현장에 영성관련 제도를 마련하고 전문 인력을 양성함으로 영성적 실천의 토대를 구축해야 할 것이다.

간호사를 위한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 최수경;김진;김세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67-77
    • /
    • 2019
  • 본 연구는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실존적 안녕 및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G 광역시 C대학의 간호학 학사학위과정 중에 있는 간호사 63명(실험군 30명, 대조군 33명)이었다. 실험군은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에 7회기 동안 참석하였으며, 회기는 회당 90분, 주 1회, 7주에 걸쳐 실시되었다. 실험군의 자료 수집과 실험 처치는 2017년 10월 10일부터 12월 5일까지 시행되었고 대조군은 2018년 4월 24일에 사전조사, 6월 5일에 사후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1.0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chi}^2-test$, Fisher's exact test,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실존적 안녕(p<.025)과 영적간호역량(p<.001)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실존적 안녕과 영적간호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이데거의 눈으로 '간호'를 바라보기: 실존하는 존재에 대한 성찰 (Looking into the Nursing from the Viewpoint of Heidegger: Reflections on the Existence of Being)

  • 김수미;최희승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1권2호
    • /
    • pp.94-100
    • /
    • 2014
  • Purpose: This article is aimed at broadening the perspectives of nursing by applying Heidegger's philosophical reasoning and views to nursing beliefs. Methods: Heidegger's main concepts on a human's way of being were the source for examining the encounter between care-receiver and care-giver in nursing. In addition, the paper illustrates the attitudes that nurses must present to their care-receiver in existential nursing. Results: As nurses and care-receivers experience existential crises due to anxiety about death and fear over uncontrollable situations, they both raise questions about the significance of their existences. By putting their deep reflections on these questions into nursing practice, nurses can exist as "Mitdasein" and be open to a number of possibilities in nursing. Conclusion: Nurses must be open to a number of possibilities in nursing by embracing various experiences of life and individuality without criticism, and pursuing the existing lives of their counterparts as well as their owns. They are able to take this attitude by raising fundamental questions about life and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through ceaseless reflections on their experiences, then implementing the result of these reflections in their lives and nursing practices.

응급실 간호사의 죽음에 대한 인식, 영적안녕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rception of Death and Spiritual Well-Being on Quality of Life among Nurses in Emergency Room)

  • 배선주;성미혜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2권2호
    • /
    • pp.129-137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in nurses in emergency rooms. Methods: Subjects were 131 nurses working in emergency rooms in B metropolitan city, Y and J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5 to July 10, 2015 using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SPSS/WIN 21.0 program. Results: Existential well-being (${\beta}$=.59) of nurses in emergency rooms and gender (${\beta}$=.19)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nurses in emergency room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eded to improve existential well-being of nurses in emergency rooms. Ultimately, holistic spiritual program for nurses should be developed the quality of life in nurses in emergency rooms.

노인의 생의 의미에 대한 조사연구 (A Survey on the Meaning in Life of Elderly People)

  • 정유진;신경일;최순옥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01-509
    • /
    • 200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meaning in life of elderly and to delineate basic data for developing nursing strategies for improving the meaning in life of elderly. Method: Subjects were 240 elderly above 65 years old staying in Busan and Kyungnam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y to Jun 2004. The instrument was utilizing Elderly Meaning In Life(EMIL) scale developed by Choi et al.(2003). Results: The mean for elderly was 100.4, the range was from 37 to 148. 63.3% of subjects were in existential vacuum. The mean of 1 phase 'acceptance and awareness of self and life' was 36.9, 2 phase 'creative value realization' was 17.8, 3 phase 'experiential value realization' was 2.8, 4 phase 'contentedness of past and present' was 43.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gender, religion, educational level, spouse, spending money, living arrangement and disease. Conclusion: On the viewpoint of above results, 63.3% of subjects were in level of existential vacuum, which required logotherapy. Therefore it shows that developing nursing-logotherapy to improve the meaning in life for elderly is deman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