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1.21.12.713

Changes in Cinematic Spatiality of Gwanghwamun and its Surrounding Areas : Focusing on Korean Films of the 1950s-2010s  

Seo, Kok-Suk (세종대학교 영화예술과)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his paper want to examine how Gwanghwamun and its surrounding areas work in the cinematic spaces for Korean films of the 1950s-2010s. First, in Korean films of the 1950s-1960s, Myeong-dong(Namchon), Bukchon, Seochon, and Dongchon are the primitive, perceptual, existential spaces that show the underground world and tragic pathos in the splendid city through intense desires and fatal frustration, the shadows and conflicts of modernization. Second, in Korean films of the 1970s-1990s, Myeongdong·Jongno(Namchon·Bukchon), Seochon and Dongchon are the perceptual, existential spaces that show public revenge and private alienation through the dichotomy of freedom/evil and the dichotomy of wealth/poverty. Third, in Korean films of the 2000-2010s, Gwanghwamun(Seochon), Bukchon, Namchon, and Dongchon are the perceptual, existential spaces that show civil society ethos and gloomy requiem through national agendas, resistance movements, desires and losses, miserable reality and death.
Keywords
Gwanghwamun; Bukchon/Namchon/Seochon/Dongchon; Cinematic Space; Place; Korean Film of the 1950s-2010s; City Center of Seoul/Gangbuk;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모리스 메를로-퐁티, 박현모,유영산,이병택(공역), 휴머니즘과 폭력-공산주의 문제에 대한 에세이, 문학과지성사, p.146, 2004.
2 다음한국어사전, https://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019965&supid=kku000027777/2021.03.23.
3 송효정, "반지성주의와 유신의 반영웅-1970년대 전기영화 '김두한 시리즈- 연구-," 우리어문연구, 제62권, pp.461-502, 2018.
4 서형범, "두 가지 오발탄(誤發彈)-소설과 영화가 마주세운 삶의 현실-," 겨레어문학, 제58권, pp.215-242, 2017.
5 백로라, "홍상수 영화에 재현된 '서울-의 공간적 의미-<극장전>과 <북촌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56권, pp.225-243, 2012.
6 다음백과 영화사전,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99XX32200064/2021.03.23.
7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김현주,심승희,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pp.5-22, 2005.
8 김윤미, "영화와 연극에 나타난 '북촌- 문화콘텐츠화연구-영화 <북촌방향>과 연극 <3월의 눈>을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제10권, 제3호, pp.113-131, 2011.
9 안인향, "영화 <자유의 언덕> 대도시 서울 속 아날로그 감성이 묻어나는 일상 여행, 북촌," 국토, 제447권, pp.44-49, 2019.
10 송효정, "식민지 배경 종로액션영화 <장군의 아들>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60권, pp.77-102, 2013.
11 문선영, "한국문학과 서울의 토포필리아; 1960년대 초 방송극에 나타난 서울 풍경의 한 양상-와룡선생 상경기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제41권, pp.95-116, 2013.   DOI
12 마르쿠스 슈뢰르, 배정희,정인모(역), 공간, 장소, 경계 - 공간의 사회학 이론 정립을 위하여, 에코리브르, pp.53-178, 2010.
13 이-푸 투안, 윤영호,김미선(역), 공간과 장소, 사이, pp.55-78, 2020.
14 권은선, "유신정권기의 생체정치와 젠더화된 주체 만들기 -호스티스 멜로드라마와 하이틴 영화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29권, pp.417-444, 2013.
15 송효정, "광장과 법정-블랙리스트 시대 한국영화의 사회적 상상력," 대중서사연구, 제25권, 제4호, pp.159-190, 2019.   DOI
16 유수연, "고립된 장소의 서사적 기능에 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4권, 제5호, pp.74-84, 2014.   DOI
17 한국영상자료원, KMDb(한국영화 데이터베이스). https://www.kmdb.or.kr/main/2021.03.23.
18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김현주,심승희(역),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pp.9-73, 2005.
19 서곡숙b, 코미디와 가면: 1960년대 후반기 한국 변장 코미디영화의 내러티브 전략, 홍경, p.37, 2016.
20 이-푸 투안, 윤영호.김미선(역), 공간과 장소, 사이, pp.25-52, 2020.
21 송효정d, "명동액션영화: 식민-해방-냉전기 기억의 소급적 상상," 비교한국학, 제21권, 제3호, pp.257-286, 2013.
22 마르쿠스 슈뢰르, 배정희,정인모(역), 공간, 장소, 경계 - 공간의 사회학 이론 정립을 위하여, 에코리브르, pp.255-284.
23 에드워드 렐프, 김덕현.김현주.심승희(역), 장소와 장소상실, 논형, pp.107-141, 2005.
24 이-푸 투안, 윤영호,김미선(역), 공간과 장소, 사이, pp.8-21, 2020.
25 백로라, "'홍상수 영화에 재현된 '서울-의 공간적 의미-극장전과 북촌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56권, pp.225-243, 2012.
26 김성은,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과 진정성 담론의 역설," 기억과 전망, 제37호, pp.101-139, 2017.
27 송효정b, "식민지 배경 종로액션영화 장군의 아들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60권, pp.77-102, 2013.
28 송효정, "명동액션영화: 식민-해방-냉전기 기억의 소급적 상상," 비교한국학, 제21권, 제3호, pp.257-286, 2013.
29 강익모, "공간이 주는 기억의 재생 = 건축학 개론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제6권, 제3호, pp.20-31, 2012.
30 이나라, "김기덕의 "피에타" 속 기독교적 수난과 파토스 이미지 읽기-조르주 디디 위베르만의 이론을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제27호, pp.1-32, 2016.
31 로도스로, "수도: 서울은 수도이고, 수도는 서울이다," 2020. https://brunch.co.kr/@rhodeslaw/86/202 1.03.23.
32 김시덕, "서울의 근대 민속, 신문명과 식민지 문화의 남촌," 서울민속학, 제2권, pp.71-104, 2015.
33 북촌.남촌.서촌.동촌, 다음백과 서울지명사전, https://100.daum.net/2021.03.23.
34 박명진, "1930년대 경성의 시청각 환경과 극장문화," 한국극예술연구, 제27권, pp.63-93, 2008.
35 김백영, "제국의 스펙터클 효과와 식민지 대중의 도시경험," 사회와 역사, 제75권, pp.77-113, 2007.
36 조명기, "홍상수 영화에 나타난 북촌 장소정체성의 발현 양상과 역동성 = <북촌 방향>과 <자유의 언덕>을 중심으로," 로컬리티 인문학, 제19호, pp.393-423, 2018.
37 송효정, "한중 근대회고적 무협/갱스터 영화 연구-엽문과 김두한 소재 영화를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제23권, 제2호, pp.391-422, 2015.
38 한국영화100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편), 한국영화 100년 100경, 돌베개, 2019.
39 마르쿠스 슈뢰르, 배정희,정인모(역), 공간, 장소, 경계 - 공간의 사회학 이론 정립을 위하여, 에코리브르, 2010.
40 서곡숙a, 코미디와 웃음: 1960년대 후반기 한국 코미디영화의 희극전략, 홍경, pp.63-64, 2016.
41 노지승, "1970년대 호스티스 멜로드라마 혹은 이주, 성노동, 저항의 여성 생애사", 여성문학연구, 41권, pp.73-108, 2017.
42 마르쿠스 슈뢰르, 배정희,정인모(역), 공간, 장소, 경계 - 공간의 사회학 이론 정립을 위하여, 에코리브르, pp.207-254, 2010.
43 송효정, "광장과 법정-블랙리스트 시대 한국영화의 사회적 상상력," 대중서사연구, 제25권, 제4호, pp.159-190, 2019.   DOI
44 조명기, "홍상수 영화에 나타난 북촌 장소정체성의 발현 양상과 역동성 - 북촌 방향과 자유의 언덕을 중심으로," 로컬리티인문학, 제19권, pp.393-423, 2018.
45 김윤미, "영화와 연극에 나타난 '북촌- 문화콘텐츠화연구-영화 북촌방향과 연극 3월의 눈을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제10권, 제3호, pp.113-131,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