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Rollo May's existential psychotherapy - in connection with Kierkegaard's concept of anxiety -

롤로 메이의 실존주의 심리치료의 철학적 기초 - 키에르케고어의 불안개념과 연관하여 -

  • Received : 2014.04.05
  • Accepted : 2014.05.16
  • Published : 2014.06.30

Abstract

This article has the purpose of clarifying that Rollo May's existential psychotherapy is based on Kierkegaard's concept of anxiety in philosophical aspects. May makes use of Kierkegaard's concept of anxiety to establish his own existential psychotherapy. May points out that Freud's concept of anxiety is too technical in comparison with Kierkegaard's concept of anxiety. Freudian theory accepting anxiety as the cause of repression overlooks the importance of human relationship which brings about repression. May mentions the presence or absence of object to distinguish fear and anxiety. Kierkegaard and Freud also mention that the presence of object is called fear and the absence of object is anxiety. May interprets anxiety ontologically. Succeeding Kierkegaard's comment on nothing/non-being, May insists that anxiety is the experience of Being affirming itself against Nonbeing. May interprets Kierkegaard's concept of freedom as the possibility or potentiality in terms of similar meaning. May argues that Anxiety is the situation when faced with the problem which human being will achieve his potentiality. Kierkegaard's concept of freedom is also associated with sin at the same time as the freedom associated with anxiety. Succeeding this, May discusses the relation of guilt feeling and anxiety is the flipside of the coin. He understands that guilt feeling is not a pathological symptom but an evidence of the human being's possibility. Kierkegaard's The Concept of Anxiety has a sub-title which is 'a simple psychologically orienting deliberation on the dogmatic issue of hereditary sin'. This shows that he understood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guilt as dilemma that can not be separated. Through this study, I want to clarify that May's concept of anxiety which is the most important concept in his existential psychotherapy, is derived from Kierkegaard's concept of anxiety.

이 논문의 목적은 롤로 메이의 실존주의 심리치료가 키에르케고어의 불안개념에 철학적 기초를 두고 있음을 밝히는 것이다. 메이는 자신의 실존주의 심리치료를 정립하는 데 키에르케고어의 불안개념을 사용한다. 키에르케고어의 불안개념과 달리 프로이트의 불안개념은 지나치게 기술적이라고 메이는 비판한다. 억압의 원인이 불안이라는 후기 프로이트 이론은 억압을 야기하는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간과한다는 것이다. 주체가 타인과의 관계에 부여하는 가치의 중요성이 주체에게 생성되는 불안의 강도에 결정적이라는 것이다. 메이는 공포와 불안을 구별하는 데서 대상성의 유무를 들고 있다. 이는 키에르케고어나 프로이트에게도 공통적인데 대상이 있는 것은 공포이고 그렇지 않은 것은 불안이다. 메이는 불안을 존재론적으로 해석한다. 무/비존재에 대한 키에르케고어의 언급을 발전시켜서 불안은 비존재에 대항하여 자신을 긍정하는 존재의 경험이라고 주장한다. 메이는 키에르케고어의 자유를 가능성, 잠재성과 유사한 의미로 해석한다. 인간이 잠재성을 성취하는 문제에 직면할 때의 상황이 불안이라는 것이다. 키에르케고어에게 자유는 불안과 관련되면서 동시에 죄와도 관련된다. 메이는 이를 계승하여 죄의식과 불안을 동전의 양면으로 취급한다. 그는 죄의식을 어떤 병적인 것이 아니라 인간의 가능성의 증거로 본다. 키에르케고어는 :불안의 개념"의 부제를 '원죄라는 교의학적 문제에 관한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단순한 연구'라고 적고 있다. 그가 불안과 죄의 관계를 분리할 수 없는 문제로 보았음을 드러낸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메이의 실존주의 심리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불안개념은 키에르케고어에게서 연유함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