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hibition field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3초

매치무빙 기법을 활용한 모션그래픽 영상제작에 관한 연구 (Video Production Method using Match Moving Technique)

  • 이준상;박준홍;이임건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755-762
    • /
    • 2016
  • 모션그래픽이라는 분야는 그 역사가 오래되지 않았다. 최근 영상디자인이 부각되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이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은 영화, 광고, 전시장 영상, 웹, 모바일, 게임영상 및 뉴미디어까지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컴퓨터의 새로운 기술이 발달하면서 영상콘테츠의 VFX 분야가 급격하게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제작기술은 실사와 C.G의 합성기법으로 가상과 허구의 개념을 초월함과 동시에 매치무빙 기술을 이용하여 그래픽과 현실공간에 사실적인 표현방법을 극대화하고 있다. 매치무빙 기술은 실사와 그래픽이 공존하기 위하서 실사카메라와 가상카메라의 합성을 정교하게 매칭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은 입체적 공간에서 매치무빙 기법을 활용하여 실사카메라의 움직임을 3D Layer 방법으로 이어받아 새로운 디자인과 결합된 모션그래픽 영상제작방법을 제안한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물레나물 잿빛곰팡이병 발생 (Occurrence of Gray Mold on Hypericum ascyron Caused by Botrytis cinerea in Korea)

  • 권진혁;손경애
    • 한국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9-91
    • /
    • 2005
  • 2003년에서 2004년까지 4월 경남농업기술원 함양약초 시험포장 노지재배 중인 물레나물에서 이상증상이 심하게 발생하였다. 병징은 지제부위의 줄기 부분이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병반부위에 회색의 곰팡이가 많이 생기고, 심한 경우 감염된 부위는 시들어 말라 죽는다. 분생 포자는 무색, 단포자이며 난형 또는 타원형으로 크기는 $4{\sim}16{\times}3{\sim}8\;{\mu}m$였고, 분생포자경 위에 분생포자가 아주 많이 형성되었다. 분생포자경은 갈색으로 격막이 있고, 폭은 $12{\sim}26\;{\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20^{\circ}C$였다. 병원성 검정결과 코호가설을 충족시켰다. 병반에서 분리한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 Botrytis cinerea Persoon: Fries로 동정되었다. Botrytis cinerea에 의한 물레나물 잿빛곰팡이병을 국내에서 처음 보고한다.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동부 흰비단병 (Sclerotium Rot of Cowpea (Vigna sinensis King)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강동완;한인영;최용조;이상대;손대영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61-63
    • /
    • 2016
  • 2015년 9월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시험연구 포장에서 재배 중인 동부에 흰비단병 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동부의 줄기 지제부위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부패되어 서서히 시들면서 포기 전체가 말라 죽었다. 줄기의 병반부와 토양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며 갈색의 둥글고 작은 균핵이 많이 형성되었다.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으로 잘 자라며 배양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갈색의 둥글고 작은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sim}9{\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담자균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동부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DNA 염기서열을 비교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동부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증강현실 기술을 결합한 문화유산콘텐츠의 전시활용 (Application method of cultural heritage contents exhibition combining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 강재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137-143
    • /
    • 2017
  • 증강현실은 역사적 건조물이나 유물의 과거 시점의 모습, 환경, 혹은 관련 정보를 현재 실제 환경에 더하여 보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문화유산 전시부분에서 증강현실 기술의 도입은 관람객에게 현실과 같은 현전감을 제공하고, 문화유산과 실제로 접촉하면서 생길 수 있는 훼손 요소를 줄여준다는 점에서 더욱 활발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장점과 가치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에 가상현실 기반 문화유산콘텐츠 전시환경은 문화유산 콘텐츠를 단순히 증강해서 보여주거나 가이드 정도로 사용하는 등 매우 소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국외의 다양한 성공적인 사례를 분석한 결과 완성도 높은 증강현실을 결합한 문화유산콘텐츠의 전시 시스템을 갖추기 위해서는 문화재에 스토리텔링을 더하는 아이디어와 함께 디스플레이, 센서 등의 기술 여건 개선, 와이파이 구축 등의 제반 시설이 동반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의 증강현실 기반의 문화유산콘텐츠 개발 역사가 짧고, 전시사례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가지나 추후 후속 연구를 통해 우리의 훌륭한 문화유산에 증강현실이 결합된 문화유산콘텐츠 전시사례들이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트리즈(TRIZ)이론에 의한 패션디자인의 적용 - 레이 가와쿠보의 패션디자인을 중심으로 - (Applying TRIZ Theory to Fashion Design - Focused on Rei Kawakubo's Fashion Design -)

  • 김승현;김민자
    • 복식
    • /
    • 제62권7호
    • /
    • pp.79-96
    • /
    • 2012
  • Creativity is a rising topic in the current society. The emphasis on creativity is valued as a key factor for success in all area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politics, economy, culture, arts and design. The field of Fashion design is probably one of the few areas that talk about creativity as a necessary quality to surv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RIZ(Teoriya Reshniya Izobretatelsskikh Sadatch) as a theoretical tool to generate creativity in fashion design. TRIZ is a creative method of problem solving based on data analysis of outcomes invented by engineering. The fundamental concept of TRIZ has been researched through documentary studies, and practical case studies of product designs are used. Fashion design cases from Comme des Garcons by Rei Kawakubo are used to apply TRIZ in fashion design. Rei Kawakubo's design philosophy has been studied through fashion writings and visual sources in books, exhibition catalog, www. style. com and online shopping mall sites. This study has selected four principles among forty inventive theories of TRIZ: segmentation; asymmetry; consolidation; and preliminary action to apply to Rei Kawakubo's fashion design. As a result, TRIZ can be applicable to fashion design as a creative thinking methodology. By using the four principles of TRIZ, this study shows how Rei Kawakubo's design enhanced its efficiency and aesthetics of the products and was distinguished from existing items. It is meaningful to demonstrate a possibility of adopting engineering based creative methodology in fashion design to widen the perspective and to raise a question for the need of interdisciplinary creative methodology with traditional aesthetic approach in fashion design.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골등골나물 흰비단병 (Stem Rot of Eupatorium lindleyanum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 권진혁;강동완;김민근;최시림;송원두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24-126
    • /
    • 2012
  • 경상남도농업기술원 함양군 약용자원 시험포장에서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골등골나물 흰비단병 증상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서서히 시들어 말라 죽었다. 병반부와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며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형성하였다. 감자한천배지에서 균총은 흰색이고 잘 자라며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9 ${\mu}m$였다. 균사생육과 균핵 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골등골나물에서 발생한 병징,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과 병원성을 검정한 결과, 이 병을 S. rolfsii Saccardo에 의한 골등골나물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

Colletotrichum acutatum에 의한 배암차즈기 탄저병 (Anthracnose of Salvia plebeia Caused by Colletotrichum acutatum in Korea)

  • 권진혁;남명현;박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119-121
    • /
    • 2007
  • 2004년부터 2005년까지 2년간 경남농업기술원 약초재배 포장에 재배중인 배암차즈기에서 이상증상이 발생하였다. 병징은 잎, 잎자루, 줄기 등 식물체 전부위에서 발생하였다. 식물체가 서서히 시들기 시작하면서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썩으면서 갈색 또는 암갈색으로 변색되어 결국 말라 죽는다. 균총의 색깔은 감자한천배지에서 회색이며 배지표면에 분홍색의 분생포자퇴를 형성하였다. 분생포자의 모양은 단세포, 방추형이며, 크기는 $8{\sim}17{\times}3{\sim}4\;{\mu}m$이었다. 부착기는 연한 암갈색이고 곤봉상이며 크기는 $8{\sim}11{\times}4{\sim}6\;{\mu}m$이었다. 균사생육 적온은 $25^{\circ}C$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이 병원균을 Colletotrichum acutatum J. H. Simmonds에 의한 배암차즈기 탄저병으로 명명할 것을 제안한다.

타피스트리 제작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개발 연구 (A Study on the simulation software of tapestry in textile design)

  • 손은하;김성곤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1호
    • /
    • pp.359-368
    • /
    • 2002
  • 섬유예술은 현대 미술운동의 하나로 부각되었고, 그 중에서도 타피스트리는 인간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어 지금가지 전시회와 다양한 형태를 통해 선보이고 있고 점점 깊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 작업과정은 광대한 크기로 인해 시간적 육체적 노력이 엄청나게 요구된다. 현 상황은 샘플작업을 한 뒤 본 작업에 들어가는데 마무리 작업을 할 때까지 그 느낌을 잘 알 수 없기 때문에 완성단계에서도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다시 작업을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미리 컴퓨터를 통하여 확인 후 수정을 거쳐 결과물을 볼 수 있도록 하여 창작의 시간을 늘이고 불필요한 시간을 없애고자 시뮬레이션이 연구되었 다. 이 시뮬레이션의 주된 내용은 스캔, 드로잉, 라인 클린 업, 필업, 렌더링, 내역 조회의 과정을 거쳐 프린트 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내용은 스캔과 드로잉에서 아이디어 창출을 하고 라인 클린 업에서 벡터 이미지로 만든 다음 실의 느낌을 주고 수정을 한다. 이 이미지를 렌더링하고 실의 길이와 무게 가격 조회를 한 후 프린트하는 전과정을 시뮬레이션 하는 패키지 소프트웨어를 프로토타입으로 제작한 것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타피스트리를 하는 여러 작가들과 학생들에게 보다 쉽게 접하고 미연에 불필요한 노력과 시간들을 줄일 수 있도록 연구 개발되었다.

  • PDF

선전과 소통 : 루치아노 발데사리의 브레다 전시관 계획에 관한 고찰 1951-1963 (A study on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Luciano Baldessari's Pavilion Architecture for Breda)

  • 김일현
    • 건축역사연구
    • /
    • 제17권6호
    • /
    • pp.67-86
    • /
    • 2008
  • Main theme of this paper is the evaluation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Luciano Baldessari's exhibition works mainly during the Fifti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rmal and logical basis of those project, his relationship with the historical Avant-gardes and the consequences expressed in his pavilion projects for the Breda Industrial Company are analyzed. The first part focuses on the influence of Italian Futurism, German Expressionism and Italian Rationalism on the formation and experience of Baldessari during the interwar years. The encounter with these movements determine the interest but also the principles along which Baldessari represents his idea of object, space and place. Specially his professional activities during Fascism would determine his attitude toward political power and the necessity of autonomy in artistic sphere. In the second part, different themes that Baldessari affronted in each project of Breda Pavilions is analyzed. Another important issue regard the historiography of the contemporary architecture. Often, many important works that lies in the threshold of the disciplines such as painting and sculpture and media art were excluded in the history of architecture just because they do not deal with the architectural object. Recently, many elements such as theatrical project and temporary objects are considered as part of urban reality and architecture with acknowledgment of their capacity to create event and situations. Along this thought, not just the reconfiguration on the territory of architecture in present but also the criterion to evaluate the past history of architecture is changing drastically. This study on the pavilions of Baldessari intends to contribute indirectly on the current issue of dominion of architecture, but also to evaluate objectively recent architecture. Consequently, architectural protagonists such as Baldessari and their ephemeral projects would be evaluated compressively in their multiplicity of significance.

  • PDF

Sclerotium rolfsii에 의한 들깨 흰비단병 (Stem Rot of Perilla Caused by Sclerotium rolfsii in Korea)

  • 권진혁;최시림;이흥수;심홍식
    • 한국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77-178
    • /
    • 2012
  • 경상남도농업기술원 시험포장에 재배중인 들깨에서 S. rolfsii에 의한 흰비단병이 발생되었다. 병징은 줄기가 수침상으로 물러지고 갈색으로 썩으면서 서서히 시들어 말라 죽었다. 병반부와 지제부의 토양 표면에 흰색의 곰팡이가 발생하고 갈색의 작은 둥근 균핵을 많이 형성하였다. 균핵의 크기는 1-3 mm이며 균사의 폭은 4-9 ${\mu}m$였다. 균사특유의 clamp connection이 관찰되었다. 균사생육과 균핵형성 적온은 $30^{\circ}C$이었다. 이와 같이 들깨에서 발생한 병징과 병원균의 균학적 특징을 근거로 이 병을 Sclerotium rolfsii Saccardo에 의한 들깨 흰비단병으로 명명하고자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