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foliative Dermatiti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박탈성피부염(剝脫性皮膚炎) 증례(證例) 보고(報告) 1례(例) (A Case Report on Exfoliative Dermatitis)

  • 안찬근;심은기;윤인환;조준기;황충연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304-312
    • /
    • 2006
  • Exfoliative Dermatitis is a name of a group of symptoms which is characterized by red rash, itching and scale in almost whole body. The patients are suffered from hypoalbuminemia, general weakness and fever sign in addition to characteristic skin lesions. So in the treatment of this disease, adequate symptomatic treatment is important with adequate topical skin management. We experienced a 69 year old Korean male patient diagnosed as Exfoliative Dermatitis based on clinical symptoms and a medical certificate. We concluded that the symptoms of this patient are Sun-symptoms(癬症) and gave him Bangpungtongsung-san(剝脫性皮膚炎) and Geunsun-bang(乾癬方). After taking Oriental Medicine(the hebal medicine of internal use), clinical improvement was noticed. Based on this experience, internal use of Oriental Medicine have a good effect in Exfoliative Dermatitis.

  • PDF

박탈성피부염 치험 1례 (A Case Report on Exfoliative Dermatitis)

  • 김성배;이동민;윤승미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02-408
    • /
    • 2003
  • Exfoliative dermatitis is a name of a group of symptoms which is characterized by red rash, itching and scale in almost whole body. The patients are suffered from hypoalbuminemia, general weakness and fever sign in addition to characteristic skin lesions. So in the treatment of this disease, adequate symptomatic treatment is important with adequate topical skin management. We experienced a 67 year old Korean male patient diagnosed as exfoliative dermatitis based on clinical symptoms. We concluded that the symptoms of this patient are Sun-symptoms(癬症) and gave him Sunpunghwangi-san(宣風換肌散) and Chungdae-san(靑黛散). After taking herbal medicine, clinical improvement was noticed. Based on this experience, both internal and external use of oriental medicine have a good effect on exfoliative dermatitis.

  • PDF

Severe dapsone hypersensitivity syndrome in a child

  • Choi, So Yoon;Hwang, Ho Yeon;Lee, Jung Hyun;Park, Jae Sun;Jang, Min Soo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6호
    • /
    • pp.260-264
    • /
    • 2013
  • Dapsone (4,4'-diaminodiphenylsulfone, DDS), a potent anti-inflammatory agent, is widely used in the treatment of leprosy and several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s. Dapsone therapy rarely results in development of dapsone hypersensitivity syndrome, which is characterized by fever, hepatitis, generalized exfoliative dermatitis, and lymphadenopathy. Here, we describe the case of an 11-year-old Korean boy who initially presented with high fever, a morbilliform skin rash, generalized lymphadenopathy, hepatosplenomegaly, and leukopenia after 6 weeks of dapsone intake. Subsequently, he exhibited cholecystitis, gingivitis, colitis, sepsis, aseptic meningitis,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syndrome of inappropriate antidiuretic hormone secretion, pneumonia, pleural effusions, peritonitis, bronchiectatic changes, exfoliative dermatitis, and acute renal failure. After 2 months of supportive therapy, and prednisolone and antibiotic administration, most of the systemic symptoms resolved, with the exception of exfoliative dermatitis and erythema, which ameliorated over the following 4 months. Agranulocytosis, atypical lymphocytosis, aseptic meningitis, and bronchiectatic changes along with prolonged systemic symptoms with exfoliative dermatitis were the most peculiar features of the present case.

Dapson 증후군 1례 (A case of dapsone syndrome)

  • 원유종;김옥란;유승택;윤영욱;최두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5호
    • /
    • pp.493-496
    • /
    • 2007
  • Dapsone은 나병과 여러 수포성 피부 질환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투여 용량의 dapsone은 부작용이 드물지만, 피부, 신경계, 위장관, 간, 신장과 혈액학적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다. 이들 부작용 중 하나인 dapsone 증후군은 약물 투여 수주 후에 발생하여, 예측 불가능하게 진행하며 치명적인 경과를 취할 수 있는 중증 약물 과민 반응이다. 저자들은 dapsone 투여 4주 후에 열, 박탈성 피부염, 황달, 용혈성 빈혈, 늑막 삼출 등의 특징적인 임상 소견을 보인 dapsone 증후군 1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포도알구균의 외독소 유전자 분석과 그 외독소가 개 아토피 피부염에 미치는 영향 (Profile of the Staphylococcal Exotoxin Gene and its Relation with Canine Atopic Dermatitis)

  • 남의화;정태호;김지현;박설희;김효은;윤화영;채준석;박용호;황철용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6-203
    • /
    • 2011
  • 포도알구균은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병변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세균으로, 이들 균집락의 정도는 사람 아토피 피부염의 임상증상 악화요인으로 알려져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피부에서 포도알구균의 존재를 확인하고, 이들 균주가 생산하는 외독소 유형을 분석하여 개 아토피 피부염 환자의 임상증상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79마리의 개 아토피 피부염 환자 중 91.1%인 72마리에서 포도알구균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 62마리에서 Staphylococcus pseudintermedius가 가장 높은 빈도로 확인되었다. 외독소 유전자 분석에서는 69.4%인 50마리에서 1가지 이상의 외독소 유전자를 포함하였고, 이들 중 56%인 28마리에서 2가지 이상의 다른 외독소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 아토피 피부염 환자를 포도알구균의 존재 유무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임상증상 점수의 차이에 통계적인 의미는 없었지만 (P=0.598), 외독소 유무에 따라 임상증상 점수를 비교하였을 때는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28). 또한 외독소 유형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 외독소 중 SED와 exfoliative toxins에서 임상증상에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P<0.05), 외독소 유무에 따라 분류하였을 때는 임상증상 점수 중 특히 발적과 구진/농포에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P<0.05).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개 아토피 피부염에서 포도얄구균이 생산하는 외독소가 개 아토피 피부염의 증상악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사회 획득 메치실린 내성 포도알균에 의한 포도알균 열상 피부 증후군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review of community acquired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

  • 허순영;송윤정;김성준;박선영;강두철;마상혁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1호
    • /
    • pp.83-90
    • /
    • 2007
  • 목 적 : 포도알균 열상 피부 증후군(Staphylococcal Scalded Skin Syndrome)은 포도알균의 피부박탈성 독소에 의하여 전신성 수포와 낙설을 일으키는 포도알균의 피부 감염증의 한 형태이다. 환자들의 임상양상과 치료의 결과, 합병증 등을 알고 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2년 2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특징적인 피부병변을 보여 포도알균 열상 피부 증후군으로 진단된 53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고 임상형을 전신형, 중간형, 부전형 등으로 분류하고 2003년 9월이후 부터 발생한 환자의 비강 내 검체를 이용하여 원인 균 및 독소를 규명하였다. 결 과 : 1) 연구기간 동안 4S로 진단되어 치료한 환자는 총 53명이었다. 발병연령은 생후 20일부터 7세까지 분포하였으며, 평균연령은 2.8세였다. 성별은 남자가 35명이었고 여자는 18명으로 남여 성비는 1.9:1이었다. 2) 임상적인 유형은 전신형이 6례(11%), 중간형이 29례(55%), 부전형이 18례(34%)로 중간형이 가장 많았다. 대부분의 환자에서 혈액 검사 상 백혈구 증다증이나 C반응단백의 증가는 없었다. 3) 2003년 9월 이후에 15명 환자의 비강에서 얻은 검체 중 14명의 환자에서 얻은 검체에서 포도알균을 분리하였고 피부박탈성 독소는 독소 B의 유전자를 확인하였고 Panton-Valentine leukocidin의 유전자는 음성으로 나왔다. 4) 입원하여 치료받은 환자의 경우 평균 입원 기간은 7.3일이었으며 사용한 항생제는 amoxacillin/clavulanate, ampicillin/sulbactam, cefuroxime, vancomycin 등이었다. 모든 환자에서 전신적인 낙설이 나타났으며 임상형이나 사용한 항생제 종류에 관계없이 모든 환자가 특별한 합병증이 없이 회복이 되었다. 결 론 : 창원과 인근 지역에서 단기간 내에 지역사회 획득 메치실린 내성 포도알균감염으로 인한 다수의 4S 환자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였으며 원인은 피부박탈성 독소 B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