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ening Primrose Oil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34초

달맞이꽃 종자유의 섭취가 흰쥐의 혈장 콜레스테롤과 적혈구막 및 대동맥의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vening Primrose Oil on Plasma Cholesterol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Erythrocyte Membrane and Aorta in Rats)

  • 최임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84-889
    • /
    • 1989
  • 이유한 수컷 흰쥐를 혈장 콜레스테롤의 수준에 따라 미리 4군으로 분류한 다음 옥수수배아유, 돈지 및 달맞이꽃 종자유를 15% 함유하고 콜레스테롤이 0.5%씩 첨가된 실험식이로 사육하였다. 콜레스테롤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의 식이유지 급원으로는 옥수수배아유를 사용하였다. 4주간의 사육실험 후 혈장 콜레스테롤과 적혈구막 및 대동맥의 지방산조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달맞이꽃 종자유를 급여한 흰쥐는 다른 실험군에 비하여 혈장 콜레스테롤이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옥수수배아유 섭취군에서 식이 콜레스테롤의 첨가 유무가 혈장 콜레스테롤의 수준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였다. 그리고 상기 조직에서 달맞이꽃 종유의 섭취군에서 GLA의 대사산물인 DGLA와 AA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 PDF

한국산 달맞이꽃 종자유의 산화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xidative Stability of Korean Evening Primrose Oil)

  • 표영희;김인숙;안명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34
    • /
    • 1989
  • In the present study, the oxidative stability of Korean evening primrose oil (EPO) stored in various conditions, i.e., dark, cool, fluorescent light and daylight irradiation were investigated. Furthermore difference between the compositional content of gamma-linolenic acid (GLA) of EPO and that of alpha-linolenic acid of soybean oil (SOY) undergoing various modes of oxidation was observe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More rapid autoxidative reations of EPO than that of SOY in vairous conditions increased in order of daylight, fluorescent light, cool and dark. Espectially, autoxidative rates of EPO increased rapidly on exposure to daylight and fluorescent light. This probably was due to chlorophyll functioned as a photosensitizer resulting in rapid oxidation of the EPO during irrdadiation of light.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ompositional content of GLA in EPO and alpha-linolenic acid in SOY undergoing various modes of oxidation. Therefore, theripid oxidative rate of EPO could be due to the catalytic effect of the chlorophyll on the photoxidation and the free radical reaction of PUFA.

  • PDF

달맞이꽃 종자유와 미강유로부터 효소적 합성한 재구성 지질의 이화학적 특성 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tructured Lipids from Evening Primrose Seeds Oil and Rice Bran Oil)

  • 김효진;이경수;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8호
    • /
    • pp.1156-1164
    • /
    • 2010
  • 미강유(RBO)와 달맞이꽃 종자유(EPO)를 기질로 한 다양한 몰비율(1:3, 1:4, 1:5)을 가지고 효소촉매를 이용한 재구성 지질을 합성하였다. 달맞이꽃 종자유의 주요 지방산은 필수 지방산인 linoleic acid(C18:2)와 $\gamma$-linolenic acid(C18:3n-6)가 각각 74.9%와 8.1%를 차지하였다. 비율별로 합성된 재구성 지질의 주요 지방산을 살펴보면 oleic acid, linoleic acid, $\gamma$-linolenic acid가 전체 지방산 조성의 88% 이상을 차지하였다. 합성한 재구성 지질은 $\gamma$-linolenic acid를 각각 7.2%(1:3)와 7.9%(1:4), 8.3%(1:5)로 함유하였다. 반응에 사용된 기질 및 합성된 재구성 지질의 TAG 조성을 reversed-phase HPLC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미강유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달맞이꽃 종자유의 주요한 peak인 LLL(trilinolein) peak는 감소하였고, 새로운 peak의 형성은 점차 증가하였다. 재구성 지질 및 반응에 사용된 미강유와 달맞이꽃 종자유의 $\alpha$-, $\gamma$-, $\delta$-tocopherol 함량을 분석한 결과, 미강유는 $\alpha$-tocopherol과 $\gamma$-tocopherol이 각각 7.60, 2.11(mg/100 g)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delta$-tocopherol은 검출되지 않았다. 달맞이꽃 종자유는 $\alpha$-tocopherol 및 $\gamma$-tocopherol은 각각 13.36과 10.82(mg/100 g)를 나타내었다. Phytosterol 함량은 달맞이꽃 종자유가 744.49 mg/100 g으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고, 미강유는 606.64 mg/100 g이었다. 한편, scale-up한 재구성 지질의 phytosterol 함량을 분석해 본 결과, 반응하기 전 campesterol, stigmasterol 및 $\beta$-sitosterol 함량이 3시간 반응 후 감소하였다. 이로써 필수지방산인 $\gamma$-linolenic acid를 함유한 재구성지질을 효소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The Effect of Evening Primrose Oil on Chemical and Blood Cholesterol Lowering Properties of Cheddar Cheese

  • Kim, J.J.;Yu, S.H.;Jeon, W.M.;Kwak, H.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3호
    • /
    • pp.450-458
    • /
    • 2006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and cholesterol lowering effect of evening primrose oil (EPO) addition in cholesterol-reduced Cheddar cheese. The cholesterol removal rate reached 92.07% by ${\beta}$-cyclodextrin in the cheese before EPO addition. The thiobarbituric acid (TBA) value of cholesterol-reduced and EPO-added cheese increased with both ripening time and amount of EPO addition. Addition of 5% EPO resulted i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BA value after 4-week ripening, compared with no addition of EPO. The production of short-chain free fatty acids (FFAs) increased with ripening period in all treatments. From 4 week of ripening, the amounts of short-chain FFA in 3 and 5% EPO-added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other groups. Among sensory characteristics, rancidity was mostly affected by EPO addition, however, the rancidity value of 1% EPO-added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EPO-free and cholesterol-reduced cheese. Also, Cheddar cheese flavor was not profoundly affected by 1% EPO addition in all ripening periods. Total blood cholesterol dramatically decreased from 184.0 to 137.1 mg/dL with 5% EPO-added and cholesterol-reduced cheese following 8 weeks of feeding. The present results indicated that 5% EPO addition resulted in a profound lowering effect on blood total cholesterol with some adverse effects on 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달맞이꽃 종자유의 산화안정성에 대한 토코페롤첨가 효과 (Effects of Tocopherols on the Oxidation Stability of Evening Primrose Oil)

  • 표영희;안명수;임웅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55-260
    • /
    • 1990
  • 달맞이꽃 종자유의 산화안정성에 대한 0.02%(w/w), 0.05%(w/w) 및 0.10%의 알파와 델타토코페롤의 첨가효과를 과산화물가, 공액이중산가 및 지방산조성의 측정치로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알파토코페롤은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모든 측정치에서 무첨가군에 비해 가속적인 산화촉진작용을 나타냈으며 델타토코페롤은 무첨가군에 비해 약간의 항산화효과가 저장초기에 첨가농도에 비례하여 나타났으나 저장일이 경과됨에 따라 그 효과는 저하되는 경향이었다. 따라서 자체내 분자구조 및 높은 함량의 고도 불포화지방산으로 인해 저장성이 취약할 것으로 예측된 달맞이꽃 종자유의 산화안정성에 대한 토코페롤의 첨가는 기름제조 단계에서부터 이화학적 변화에 대한 각별한 주의와 함께 첨가전의 토코페롤의 함량 등이 신중하게 고려되어 결정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달맞이꽃오일에서 얻은 Ceramide를 함유한 보습크림의 피부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Effect of Moisturizing Cream containing Ceramide from Evening Primrose Oil on the Moisturization and Transepidermal Water Loss in Human Skin)

  • 박상현;이건국;이광식;박현지;이병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1243-1249
    • /
    • 2018
  • 세라마이드는 일반적으로 화장품 산업에서 피부의 보습 및 피부장벽강화에 도움을 주는 성분으로 많은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합성 세라마이드가 아닌 달맞이꽃오일에서 얻은 천연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크림이 피부의 보습 및 경피수분손실량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보습크림이 세라마이드들 함유하지 않은 보습크림과 비교하여 피부보습력과 경피수분손실량에서 우수한 결과 값을 나타내었음을 확인하였다.

어유 및 식물 종자유의 급이가 흰쥐가 간장, 뇌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ish Oil and Some Seed Oils on Fatty Acid Compositions of Liver and Brain Tissue in Rats)

  • 정승용;김성희;김한수;최운정;김희숙;정효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18-425
    • /
    • 1991
  • S-D계 흰쥐에 중성지방 혈증 유발을 위해 12% 야자종실유와, 시험유지로서 올리브유, 돈지(豚脂), 어유, 들깨유,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를 각각 3%씩 급여하여 4주간 사육한 후 간장 및 뇌지질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 검토한 바, 간장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SFA의 함량이 많고 MUFA는 적었으며, 중성지질에서는 MUFA의 함량이 SFA보다 약간 많은 편이었고 콜레스테롤 에스테르는 SFA 함량은 적고 MUFA는 월등히 많았다. 각 획분 모두 PUFA의 함량은 적었으며 PUFA중 $C_{18:2}(n-6)$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n-3계 PUFA는 어유 및 들깨유 급여군에 비교적 많은 반면 n-6계 PUFA는 옥수수유, 고추종자유 및 달맞이꽃종자유 급여군에 많았다. 뇌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에서 SFA의 함량은 적은 반면 PUFA의 함량이 현저히 많았으며, n-3계 PUFA로서는 $C_{20:5}와\;C_{22:6}$이 n-6계 PUFA로서는 $C_{18:2}$가 주요 지방산을 이루고 있었다.

  • PDF

닭고기의 감마지방산 강화에 관한 달맞이꽃종자유의 급여효과 (Effect of Dietary Evening Primrose Oil on γ-Fatty Acid Enrichment of Broiler Meat)

  • 강환구;박병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45-752
    • /
    • 2007
  • 본 연구는 닭고기의 감마지방산 축적에 관한 서로 다른 수준의 달맞이꽃 종자유 급여효과를 조사하였다. 로스(Ross)종 1일령 broiler 수컷 600수를 6처리구${\times}$4반복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다. 브로일러는 포화지방산 급원으로서 우지를 함유하는 대조구, 감마지방산 급원으로서 달맞이꽃 종자유(EPO, evening primrose oil) 0.5%, EPO 혼합유(EPO 70:대두유 30) 0.7%, EPO 1.5%, EPO 3.0% 및 EPO 4.0% 첨가사료를 브로일러 후기 2주 동안 섭취하였다. 체중은 0.5% EPO 첨가구를 제외하고는 대조구와 처리구간 통계적유의차가 있었다(p<0.05). 도체중에 대한 다리살과 가슴살의 무게비율은 다리살에서 0.5% EPO 첨가구 및 가슴살에서 0.5% EPO 첨가구와 4.0% EPO 첨가구를 제외하고는 대조구와 처리구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p<0.05). EPO 첨가사료를 섭취한 닭고기 피부와 가슴살 지질의 포화지방산 조성은 대조구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아졌으나 불포화지방산 조성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EPO 첨가구가 높았다(p<0.05). 특히, 닭고기 부위별 지질의 감마지방산(GLA, gamma-linolenicacid, 18:3n-6) 조성은 대조구와 비교할 때 EPO 첨가구에서 높았다(p<0.05). 이 결과는 육계사료 내 달맞이꽃 종자유를 첨가.급여함으로써 감마지방산이 강화된 새로운 기능성 닭고기를 생산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감마지방산의 급여가 돼지의 혈액지질 및 고기부위별 지방산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γ-Fatty Acids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ork and Plasma Lipids in Swine)

  • 강환구;박병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563-568
    • /
    • 2007
  • 본 연구는 우지를 대조구로 하는 사료와 대두유와 함께 삼씨유, 달맞이꽃 종자유 및 서양자초유를 혼합한 시험사료를 섭취한 비육말기 돼지에서 혈액지질 및 돈육의 부위별 감마지방산 함량을 조사하였다. 생체 중 80 kg의 3원 교잡종($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비육말기 돼지 36마리를 이용해서 시판체중인 110 kg 도달 시까지 35일 동안 시험사료를 급여하였다. 실험설계는 4처리$\times$3반복(반복당 3두)으로 완전임의 배치하였고, 4개의 실험처리구는 대조구(우지), T1(삼씨유 40:대두유 60), T2(달맞이꽃 종자유40:대두유 60) 그리고 T3(서양자초유 40:대두유 60)로 구분하였다. 돼지의 혈액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사료 급여 일수가 지남에 따라서 우지를 섭취한 대조구가 증가한 반면에 감마지방산 급원을 섭취한 처리구는 유의적인 감소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혈액 내 감마리놀렌산 함량은 대조구의 경우 검출되지 않았으나 감마지방산 처리구의 경우 실험사료 급여일수가 지남에 따라서 T3, T2, T1순으로 증가경향을 나타냈으며 각 일자별로 측정된 각 처리구별 값은 처리구간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p<0.05). 돈육의 포화지방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 함량은 각 처리구별 그리고 부위별 차이가 있었으며, 돈육의 부위별 n-3지방산 함량은 삼씨유를 섭취한 T1이 가장 높았고 T3, T2 순으로 유의적인 증가경향을 나타냈다(p<0.05). 감마리놀렌산의 함량은 모든 부위에서 서양자초유를 섭취한 T3가 가장 높았으며 T2, T1 순으로 유의적인 증가경향을 나타내었다(p<0.05). 특히, 돈육의 부위별로 축적된 감마리놀렌산의 함량은 등지방, 삼겹살, 햄, 등심 순서로 높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감마 리놀렌산의 분리에 대한 연구 (A Study of Separation of γ-linolenic acid with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 조인호;상희선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
    • /
    • pp.97-104
    • /
    • 2007
  • In different approaches were extracted from evening primrose seed by supercritical fluids carbon dioxide and for comparison with hexane as solvent. The extracts have been analyz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o evaluate yield and selectivity of ${\gamma}$-linolenic acid. The yields extracts with supercritical fluids carbon dioxide were higher than those with hexane. When this process produces commercially, will get a many economic profi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