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on of lecture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29초

대학생 대상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강의 콘텐츠 운영 실태 연구 (A Study on the Operating Conditions of Lecture Contents in Contactless Online Classes for University Students)

  • 이종문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5-24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강의 콘텐츠 운영 실태를 조사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93명의 응답지를 분석한 결과, 첫째 응답자의 93.3%가 실시간 화상 강의(47.7%) 또는 녹화 강의(45.6%)의 형태의 온라인 강의를 수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재로 사용한 콘텐츠를 분석한 결과, 교양(47.3%)과 전공(39.8%) 모두에서 전자책(자료)과 종이 책(자료)을 혼용하거나 전자 책 또는 자료(각각 36.6%, 37.6%)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재 이외에 외부자료는 전공과 교양 모두 웹자료(각각 47.6%, 40.5%)와 유튜브 자료(각각 33.3%, 48.0%) 활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의 내용 공유를 위한 콘텐츠는 교양 전공 모두에서 교수자가 정리, 저술한 PT 또는 텍스트 형태의 전자파일(각각 62.9%, 58.1%), 인터넷 자료(각각 16.7%, 19%), 종이 책 또는 자료(각각 10.4%, 12.3%) 순으로 나타났다. 전공과목에서는 93.5%가, 교양과목에서는 90.2%가 화면 현시 강의 콘텐츠에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첫째 멀티미디어 기반의 강의 콘텐츠를 개발할 것과 실시간 시험 감독 등이 가능한 평가 솔루션을 개발할 것을 제언하였다. 둘째 과제물에 대한 AI 기반의 표절검색, 과제지도, 과제평가 등이 가능한 과제물관리시스템을 개발할 것을 제언하였다. 셋째 유비쿼터스 개념에서 수업이 가능하도록 강의 교재 전자화를 위한 저작권문제 해결 방안을 제도화할 것을 제언하였다.

간호학교수의 교수능력과 강의평가에 대한 태도조사 (Nursing Faculty Competence and Nursing Faculty's Attitude for Lecture Evaluation)

  • 서문자;도복늠;박춘자;김금순;임난영;최경숙;이선옥;김순례;최스미;박영임;최상순;정은순;조남옥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320-328
    • /
    • 2003
  • Nurse educators' competence is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nursing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nursing faculty competence and attitude for lecture evalutaion, evlauated by nursing faculty. This article presented results focusing on South Korean nursing faculty's attutude for lecture evalutaion done by students and their opinion of the importance of nurse educator competence domains. Th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October, 2002 to August, 2003 and 151 subjec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Ideal Nursing Teacher Questionnaire was used to assess nurse faculty competence. The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e lecture were evaluated and 59.6% of clinical practice was evaluated by nursing studuents. Nursing faculty thought that lecture evaluation by students was resonable, even though it was stressful. The most important among 5 domains of nurse educators' competence assessed by nursing faculty was nursing competence. Moreover nursing faculty responed that teaching skills domain and evaluation skills domain were more important than relationship with students domain and personality factors domain. Compared to young nursing faculty, nursing faculty who was old aged reported that nurse educators' competences in 4 domains of nursing competence, teaching skills, evaluation skills and relationship with students were more important.

  • PDF

전산 및 실험적 실무기반의 응용재료역학 교과목 적용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Hands-on Computational and Experimental Practices in Applied Mechanics of Materials)

  • 박선희;서영성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6호
    • /
    • pp.62-68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provide systematic lecture materials for instructers who search for the effective teaching of applied mechanics of materials course with respect to lecture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itemized course evaluations according to each class learning objective. For this. the evolution of teaching contents since 2010 until 2014 are briefly depicted and then most recent course learning objectives, lecture contents, and evaluation schemes are presented in detail.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used as base line data for the lecturers who teach similar courses and for the evaluation of program outcomes in ABEEK scheme through course-embedded assessment.

대학 강의평가 수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omplishment of Lecture Evaluation in University)

  • 정진식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93-115
    • /
    • 1999
  • 본 연구는 1990년 초부터 현재까지 대학에서 개설되고 있는 모든 교과목을 대상으로 강의 평가를 수행하여 오고있는 H대학을 중심으로 이 대학에서 수행된바 있는 강의평가 분석 내용가운데 1998학년도 평가 결과만을 발췌하여 요약한 것이다. 강의평가 결과는 전체적으로 어떠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개별강의 평가결과는 어떠한가? 또 영역별 평가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는가? 등을 구명하기 위하여 7개 영역 10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 내용을 OMR용 카드를 통하여 작성하게 하였다. 강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분석하고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변량분석, 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 기법을 적용하였다.

  • PDF

예비영유아교사의 창의·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 개발을 위한 인식 및 요구도 조사 (The Survey of Perception and Needs on Development of Lecture to Promote Creativity·Personality of Pre-service Teachers)

  • 김래은;안미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05-21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영유아교사의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 개발에 대한 인식 및 요구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4학년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에 대한 인식' 3문항과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 개발에 대한 요구도' 7문항에 대한 설문지를 구성하였고, 자료분석은 기술통계를 통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였고, '창의 인성 강좌의 개발과 적용'의 지원을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가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였다. 둘째, 절반 이상의 예비교사들은 창의 인성 함양을 위한 강좌를 수강하겠다고 하였고, 2과목, '1학기 3시간 10주'가 가장 적절하며, '창의성 교육요소 중 성향적 요소'를 많이 요구하였다. 또한, 그들은 '다양한 분야의 융합형 수업'을 많이 요구하였으며, '영화와 음악'의 교수매체가 가장 적절하며, '포트폴리오 평가'를 많이 요구하였다.

강의녹화를 기반으로한 MSC 교수법 개발 (A Development of Teaching Skill based on Recording Lecture in MSC)

  • 백란
    • 공학교육연구
    • /
    • 제14권6호
    • /
    • pp.67-72
    • /
    • 2011
  • This method is a new experimental model for a mathematical education in Engineering students. We compare two different classes; one was recorded the lecture with scenario and the other was not. Also we set up the detailed structures in every lecture for mathematical modeling and solving parts. The purpose for a new model is 1) to improve the students's ability to solve the mathematical problem, 2) how to approach to getting a solution for each problem by system and 3) to provide the lectures anytime to students who want to study more mathematics.

수업 유형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 비교 연구 -동일 교수자의 동일 강좌 강의평가 사례 분석 (A Comparative Study on Learner Satisfaction according to Instructional Mode -Case Analysis of Lecture Evaluation of the Same Course by the Same Instructor)

  • 최임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0호
    • /
    • pp.778-787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설계 및 교수전략 수립을 위한 기반 자료를 얻기 위하여 동일 교수자의 동일 강좌에 대한 서로 다른 수업 유형의 강의 평가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콘텐츠 수업, 온라인 실시간 수업, 온라인과 대면 혼합 수업, 대면 수업 등 4가지 수업 유형으로 나누어, 이에 따른 학습자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 각 유형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강의 진행 적절성에 대한 강의 평가 영역에서 수업 유형별 만족도 차이가 나타났다. 즉, 온라인 실시간 수업 유형에서의 강의 진행에 대한 만족도가 콘텐츠 수업, 혼합 수업, 대면 수업의 만족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서술형 강의 평가 분석 결과, 학습자들은 콘텐츠 수업에서는 쉽게 이해 가능하고 재미있는 설명에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온라인 실시간 수업의 경우, 학생들은 철저한 준비와 원활한 소통에 만족한다고 평가하였다. 혼합 수업에서는 체계적 수업과 열정적 강의에 만족한다고 하였으며, 대면수업에서는 상호작용의 즐거움과 교수자의 열정을 만족도의 주된 이유로 표현하였다. 네 가지 수업 형태에서 공통적으로 도출된 만족도 특성은 교수자의 열정이라고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각각의 수업 유형에 따른 수업 설계와 교수 전략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온라인 동영상 수업 사례 : 전문대학 '전기자기학' 교과목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Online Video Lecture : Focusing on 'Electromagnetism' Course at Junior College)

  • 김미라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94-103
    • /
    • 2022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cases of online video classes conducted under the COVID-19 situation for 46 first-year students majoring in electrical engineering at a 3-year college in Gyeongnam.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ccording to the course development process so that classes could be conducted efficiently, focusing on electromagnetism(1) course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first year. The online class consisted of uploading PPT recorded videos and lecture materials to the LMS and giving assignments.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in the scope of examining learners' perceptions through online learning contents, assignment submission, mutual feedback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university-level lecture evaluation, and free opinions on online video-based electromagnetism(1) class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nline lecture review and problem-solving are particularl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lecture materials, and also given the nature of engineering subjects that require plenty of mathematical expressions, the detailed and immediate feedback provided by instructor enhances learners' class satisfaction and understanding. Based on these, the direction of online classes to be develope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discussed.

에너지 소비 원단위를 기초로 한 벽면부착형 BIPV 시스템의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 대학교 강의동 건축물을 대상으로 -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Wall-Type BIPV System Based on the Energy Consumption Unit - A Study for University Lecture Building -)

  • 이강국;서원덕;홍원화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5-32
    • /
    • 2011
  • The building integrated photovoltaic(BIPV) system has a double advantage that it reduces costs for exterior materials and PV panels. It allows the construction of a low-energy building without the need for the additional installation space. At the construction planning stage, however, it requires sufficient evaluation on the efficiency and performanc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mote the distribution of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ystem by estimating the potential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capacity of the BIPV system installed on the university lecture building and by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s of window, spandrel and combined attachment types via the simulation of generation capacity per unit area.

  • PDF

강의평가에 대한 균등화방법의 비교 (Comparison on equating methods for course evaluation)

  • 조장식;강창완;최승배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0권1호
    • /
    • pp.65-75
    • /
    • 2009
  • 대부분의 대학에서는 개설된 강좌에 대한 학생들의 강의만족도를 통하여 교수들의 업적평가에 적용하기 위해 강의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강의평가점수는 강좌규모, 강의형태, 개설학년 등과 같은 많은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결과로 강의평가결과는 심각한 편의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강의평가결과의 사후조정을 위한 균등화방법과 그 효율성을 비교하고, 가장 좋은 효율성을 갖는 균등화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