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valu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9초

Preliminary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radiation safety evaluation methodology for industrial kV-rated radiation generator facilities

  • Hye Sung Park ;Na Hye Kwon ;Sang Rok Kim ;Hwidong Yoo;Jin Sung Kim ;Sang Hyoun Choi;Dong Wook Kim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5권10호
    • /
    • pp.3854-3859
    • /
    • 2023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evaluator that can quickly and accurately evaluate the shielding of low-energy industrial radiation generators. Methods: We used PyQt to develop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based program and employed the calculation methodology reported in the National Council on Radiation Protection and Measurements (NCRP)-49 for shielding calculations. We gathered the necessary factors for shielding evaluation using two libraries designed for Python, pandas and NumPy, and processed them into a database. We verifi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program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ose from safety reports of six domestic facilities. Results: After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using the NCRP-49 example, we obtained an average error rate of 1.73%. When comparing the facility safety report and results obtained using the program, we found that the error rate was between 1.09% and 6.51%. However, facilities that did not use a defined shielding methodology were underestimated by 31.82% compared with the program (the final barrier thickness satisfied the shielding standard). Conclusion: The developed program provides a fast and accurate shielding evaluation that can assist personnel that work in radiation generator facilities and government officials in reviewing safety.

유용성의 관점에서 본 도서관목록의 품질 (Quality Evaluation of Library Catalogs: with an Emphasis on 'Utility')

  • 노지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07-134
    • /
    • 2003
  •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 도서관이 생산해 내고 있는 목록의 가치를 '유용성'의 관점에서 논의하는데 있다. 특히, 도서관 이용자의 관점에서 도서관목록이 그들의 정보요구를 충족시키는데 얼마나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목록이용자들의 견해를 중시하면서 도서관목록의 유용성을 측정해 낼 수 있는 체계적인 기준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기준에 근거하여 현 단계 도서관목록의 유용성을 직접 측정하였다. 유용성에 대한 측정 결과는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제시하였으며, 유용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전자기록의 장기보존 전략을 위한 의사결정 프로세스 구현 (Implementation of Decision Making Process for Long-Term Preservation Strategy of Electronic Records)

  • 차현철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1201-1209
    • /
    • 2020
  • Based on the risk factor evaluation for the file format, this paper defines the procedures for presenting the long-term preservation plan for that format and the technical information registry necessary for building the system. This is a procedure to perform a risk assessment for the format, evaluate the risk, and select a long-term preservation strategy based on the information registered in the registry and information on the external signature and internal signature of the electronic record. We also reviewed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long-term preservation strategies in the process and provided the criteria for adopting each detailed strategy of migration and emulation, which are long-term preservation strategies. And we implemented this process as a long-term preservation decision support system. This system can be used to provide guidelines for the maintenance, management, service and long-term preservation of information resources of electronic records in public institutions such as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Libraries.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에서의 GUI 구현을 위한 그래픽 플랫폼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Graphic Platforms for GUI Implementation in Embedded Linux System)

  • 김영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31-834
    • /
    • 2009
  •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은 하드웨어 성능 측면에서 기존 리눅스에서 지원하는 X-window 기반의 GUI 플랫폼을 그대로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GUI를 지원하기 위해서 적은 자원을 사용하면서 단순화된 동작 방식을 지원하는 그래픽 라이브러리가 요구되며, 이에 오픈소스 그래픽 라이브러리들의 성능을 평가하여 멀티미디어 임베디드 시스템을 위한 효과적인 그래픽 플랫폼을 선정하고 개선점을 제안한다.

  • PDF

Develop and Deliver Essential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 Eisenderg, Michael B.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5-21
    • /
    • 2011
  • There is an explosion of talk about crucial, new literacies for the 21st Century, for example critical thinking, problem-solving, media literacy, technology literacy, digital literacy, visual literacy. The other day, there was even an article about "gaming literacy!" How does one make sense of it all? The common factor in all these literacies is "information" - information seeking, information use, information processing, information presentation, and information evaluation. And, these "information" elements come together in information literacy: the ability to engage in effective and efficient information problem-solving. Information literacy is the overarching and unifying literacy, and all libraries have a unique and essential role to play in delivering meaningful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to people of all ages. In this keynote paper and address, Professor and Dean Emeritus Mike Eisenberg will define the concept and structure of library-based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and offer strategie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information literacy programs that are comprehensive(reaching all users), predictable (consistent over time), and accountable(measured and reported).

도서관 이용자 코멘트 데이터 분석도구 리뷰 및 적용: LibQUAL+ 설문 데이터를 중심으로 (A Review and Application of Library User Comments Data Analysis Tool: Focused on the LibQUAL+ Survey Comments)

  • 변제연;심원식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157-181
    • /
    • 2013
  • 최근 도서관에서 실시하는 이용자 만족도 조사, LibQUAL+ 평가 등을 통해 계량적 데이터뿐만 아니라 이용자의 직접적 견해를 담은 이용자 코멘트 데이터가 점점 더 많이 수집되고 있다. 이러한 질적 데이터는 이용자의 입장을 이해하고, 도서관 서비스의 환경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확인하며, 이용자 니즈의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등 도서관 서비스 개선을 위한 전략 수립에 유용한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용자 코멘트 데이터는 그 내용이 분석되고, 분석 결과를 서비스 및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용자 코멘트 데이터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자, LibQUAL+ 설문의 이용자 코멘트 분석을 중심으로 하여 실제 외국 도서관의 LibQUAL+ 설문 이용자 코멘트 분석 방법을 알아보고, 분석을 위해 사용된 질적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및 분류표 등 분석도구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대표적 질적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와 외국에서 LibQUAL+ 이용자 코멘트 분석을 위해 개발된 분류표를 최근 국내 대학도서관에서 시행된 LibQUAL+ 설문의 이용자 코멘트 일부에 적용하여 분석해봄으로써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SNS 데이터를 이용한 공공시설 매력도지수에 따른 접근성 분석기법 (Accessibility Analysis Method based on Public Facility Attraction Index Using SNS Data)

  • 이지원;유기윤;김지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9-42
    • /
    • 2019
  • 본 연구는 공공시설의 질적인 측면의 확대를 위해 SNS (Social Network Service) 데이터를 활용하여 이용자 중심의 공공시설 선호요인을 도출하고, 이를 공급측면과 수요측면에서 정량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선호요인 도출을 위해 토픽모델링 중 하나인 LDA (Latent Dirichlet Allocation)를 활용하였으며, 공급요인인 개별시설별로 매력도지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수요자 입장에서 서비스체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공간접근성을 분석하였는데, 2SFCA (2-Step Floating Catchment Area) 방법을 활용하여 앞서 제안한 공공시설 매력도지수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은 서울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공공도서관에 대한 선호요인으로 주변 환경, 시설 및 이용규모, 문화 프로그램, 육아, 장서 및 자료현황의 5가지 주제가 추출되었으며, 주변 환경이나 육아관련 주제는 새롭게 도출된 선호요인으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각 도서관별로 매력도지수를 산출한 결과 송파도서관, 정독도서관, 남산도서관의 매력도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송파도서관은 육아요인에서 정독도서관과 남산도서관은 주변 환경요인에서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동별 공간접근성은 공공도서관이 많이 몰려있는 서울 중심부의 접근성이 좋은 편이며, 외곽지역으로 갈수록 줄어드는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에 제안한 기법을 통해 이용자 중심의 공공시설 평가 및 정책의사 결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품질 평가 (An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in University Librar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윤기찬;이순철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37-365
    • /
    • 2009
  • 본 연구는 대학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 측정을 통한 이용자 만족과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대학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의 향상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LibQUAL+에서 사용된 척도를 대상으로 대학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에 대해 측정해 보고, 측정된 결과를 토대로 이용자 만족과 재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구조방정식(SEM)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정보통제, 도서관 장소, 서비스 영향력 순으로 대학 도서관의 서비스 품질에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 도서관이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보통제, 도서관 장소, 서비스 영향력 순으로 우선순위를 두어 서비스 품질을 개선시켜야 할 것이다.

  • PDF

홈페이지를 통한 대학도서관 서비스 접근성 평가 분석 (An Evaluative Analysis of Service Accessibility on University Library Homepage)

  • 최은주;유종덕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45-261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홈페이지상의 도서관서비스 항목의 접근성을 평가 분석해 봄으로써 이용자에게 어떻게 하면 효율적인 서비스를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대상은 전국적으로 4년제 국$\cdot$공립 및 사립대학교도서관 가운데 69개관을 계층적 표집방법에 의해 선정하여 홈페이지의 접근성을 평가하였으며, 평가항목은 네 개의 평가영역과 23개의 평가질문으로 구성하였고 이의 분석은 SPSS 12.0을 통하여 통계처리하였다. 평가영역에 대한 가설검증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도서관에서의 홈페이지를 통한 보다 효율적인 도서관서비스를 위한 제안을 하였다.

대학도서관 팀제의 유효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valuation of Team Effectiveness in University Libraries)

  • 정재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99-430
    • /
    • 2007
  • 이용자와 서비스환경의 변화에 대한 대응방안의 하나로 대학도서관에 점차 팀제 도입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에 도입된 팀제의 유효성 평가를 통해 효율적인 팀제적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팀제의 유효성 평가에 있어 직급과 근무기간별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와 팀제 수용능력이 유효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팀제 도입에 따른 유효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목표설정과 갈등해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팀내 및 팀간 커뮤니케이션 활성화 방안의 마련과 팀제 수용능력의 향상을 통해 대학도서관의 특성과 목적에 적합한 팀제 모델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