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Evacuation direction

Search Result 65, Processing Time 0.258 seconds

인공신경망 기반 상업용 건축물의 화재 피난허용시간 평가 (Evaluation on Fire Available Safe Egress Time of Commercial Buildings 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

  • 할리오나;허인욱;최승호;김재현;김강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5권6호
    • /
    • pp.111-120
    • /
    • 2021
  • 상업용 건축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피난경로가 복잡하고 연기 및 화염의 진행방향이 재실자의 피난방향과 비슷하기 때문에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건축물에 대한 성능기반 피난설계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성능기반 피난설계를 건축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건축물에 대한 복잡한 화재 시뮬레이션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지 않고도 합리적으로 피난허용시간을 도출할 수 있는 피난허용시간 예측 모델을 개발한다면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상업용 건축물에 대한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온도와 가시거리, 온도와 유독가스 농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피난허용시간을 예측할 수 있는 인공신경망(ANN)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인공신경망 모델이 다른 상업용 건축물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하여 다른 상업용 건축물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으며, 제안모델은 이 상업용 건축물의 화재 시 피난허용시간을 매우 우수한 정확도로 추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터널내 화재 발생시 매연 제거를 위한 모델 해석 (A Model-Analysis for Removal of Fire Fumes in a Road Tunnel during a Fire Disaster)

  • 윤성욱;이희근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7권2호
    • /
    • pp.100-107
    • /
    • 1997
  • In case of a fire outbreak in a uni-directional road tunnel, the flow of traffic immediately behind the fire disaster will be stalled all the way back to the entrance of the tunnel. Furthermore, when the vehicle passengers try to flee away from the fire toward the entrance of the tunnel, the extremely hot fume that propagates in the same direction will be fatal to the multitudes evacuating, but may also cause damage to the ventilation equipments and the vehicles, compounding the evacuation process. This paper will present the 3-dimensional modelling analysis of the preventive measures of such a fume propagation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evacuating passengers. For the analysis, the fire hazard was assumed to be a perfect combustion of methane gas injected through the 1 m X 2 m nozzle in the middle of the tunnel, and the product of $CO_2$ as the indicator of the fume propagation. From the research results, when the fire hazard occurred in middle of the 400 m road tunnel, the air density decreased around the fire point, and the maximum temperatures were 996 K and 499 K at 210 m and 350 m locations, respectively, 60 seconds after fire disaster occurred, when the fumes were driven out only towards the exit-direction of the tunnel. By tracing the increase of $CO_2$ level over 1% mole fraction, the minimum longitudinal ventilation velocity was found to be 2.40 m/sec. Furthermore, through Analysis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graphs, and observation of the cross-sectional distribution of $CO_2$ over 1% mole fraction, it was found that the fume did not mix with the air, but rather moved far in a laminar flow towards exit of the tunnel.

  • PDF

소방분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소방안전 발전방향 (Direction of Fire Safety Development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Firefighting-Related Research)

  • 정무헌;이선재;박인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3권5호
    • /
    • pp.103-108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소방 전문학술지에 게재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소방분야 연구편중 정도를 분석하고, 화재 인명피해 저감 정책 이슈 및 4차 산업혁명시대 기술 환경 변화를 반영한 소방안전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화재소방학회지 연구분류체계, 국가화재안전기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연구개발사업 분류체계, 4차 산업혁명 핵심분야, 인간행동과학 응용 분야 등을 기준으로 소방연구분야 체계를 정립한 후,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에 게재된 최근 10년간의 논문 929건을 소방연구분야 체계별로 분류하고 빈도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화재화학·물리, 감지 및 소화시스템, 화재안전설계 및 관리, 피난 및 인간행동분야 순으로 많이 연구가 된 것을 확인하였다. 감지 및 소화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주로 소화설비, 경보설비, 제연설비가 많이 연구되었으며, 화재의 주요 원인이 되는 인간의 행동부주의를 줄일 수 있는 소방교육, 훈련에 대한 연구가 매우 미흡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최근 진행되고 있는 4차 산업기술과의 융합연구도 매우 드물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결론에서는 사람의 행동부주의를 개선할 수 있는 교육과 훈련분야의 연구필요성 등을 논의하고, 향후 연구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유도등 제어시스템의 개발 (The development of the escape light control system)

  • 김동욱;문현욱;이기연;김동우;길형준;김향곤;정영식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6호
    • /
    • pp.52-58
    • /
    • 2009
  • 최근 건축구조물의 복잡화, 다양화로 인하여 화재발생시 유독가스의 심각성과 공간의 특수성으로 대형 참사가 발생될 위험이 더욱 커짐에 따라 인명피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피난탈출에 있어서 조속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기존 방식의 고정식 단방향을 표시하는 피난유도등은 효율적인 인명 대피 및 구조가 이루어지지 못하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 빠른 피난이 가능하도록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위험에 처한 피난자들을 탈출시키고 화재의 발생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여 초기 진압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ID를 가지는 화재 감지기 및 수신반과 연동하여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가 발생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모든 유도등의 방향을 제어하여 안전한 비상출입구로 사람들을 유도시키고 화염 및 연기의 방향과 속도를 계산하여 포기진압 및 최적 대피로로 방향을 표시하는 인공지능형 방향성 유도등 개발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비상대피시설의 거주 공간 활용을 위한 제도 개선 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rection of System Improvement for the Utilization of Residential Spaces of the Emergency Evacuation Facilities in Responding to War)

  • 김유진;황은경;함은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9권1호
    • /
    • pp.78-86
    • /
    • 2013
  • 몇 년전 발생 한 천안함 피격 및 연평도 포격사건부터 최근 북한의 핵실험까지 남북한 전쟁에 대한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전쟁이 발발하였을 경우 국민들이 일정기간 동안 안전하게 거주할 수 있는 임시거주 공간 확보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러나 소방방재청의 재해구호계획 수립지침에서는 자연재해에 대비한 임시거주 공간에 대한 기준은 있으나, 전쟁에 대응한 임시거주 공간에 대한 기준은 없는 상황이다. 특히, 대규모 이재민을 수용할 수 있는 지하 임시거주 공간에 대한 기준 마련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쟁 이재민 설문조사를 통한 요구도 분석 및 재해 관련 법령 간 비교 분석을 통해 전쟁 대응 임시거주 시설 활용을 위한 관현 제도 개선 방향에 대해 설정하고자 한다.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한 국내 성능위주설계 개선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stablishment of Performance-Based Design Direction through Analysis of Expert Survey)

  • 정혜민;홍원화;손종영;전규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2호
    • /
    • pp.23-31
    • /
    • 2018
  • In recent years, as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population increase, buildings are becoming more complex and high-rise. These large scale buildings are difficult to secure fire and evacuation safety when fire occurs.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specific measures. According to this situation, in 2011, Republic of Korea officially launched Performance-based Design in "Fire-fighting system Installation business Act". But even 6 years passed since the enforcement, there are still faces manifold problems in the course of implementation. In order to examine the necessary improvements, in this study, I conducted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ith experts,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items under current laws. And draw up a measures for that items.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fire-fighting officer, professional engineer fire fighting, fire protection planner and professor in Daegu. As a result of twice surveys, a total of 19 items are derived. And then compared and analyzed the criteria of overseas countries, and suggested improvement directions for final items. In addition, conducted a third questionnaire survey on the proposed improvement direction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alterna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deal with the general problems of performance-based design in future, and further study on each item will be needed.

제연경계벽으로 구획된 대형공간의 효과적인 제연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Smoke Control Method of Large Volume Space Comparted by Smoke Reservoir Screen)

  • 김태훈;권인규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34-4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제연방식 중 대형공간에서 주로 사용하는 거실급배기 방식에서 급기방식 및 방향에 따른 연기의 이동현상에 대해 CFD 도구인 FDS(Fire Dynamics Simulato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해 보았다. 거실급배기 방식에서는 Sequence 설계의 어려움으로 주로 한쪽 방향에서만 급기가 이루어지는데, 한 방향에서만 급기를 실시할 경우 연기의 팽창압력에 급기되는 공기의 압력이 가중되어 원하지 않는 인접구역으로의 연기확산 속도가 빨라진다. 연기가 인접구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최소화 하고 재실자의 피난시간을 최대한 보장하기 위해 급기를 한 방향이 아닌 화재실 인접구역에서 나누어 시행해 보았으며, 결론적으로 화재실 주변의 가시거리 감소시간은 인접구역이 비슷한 수준으로 조정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협소거주공간 진화를 위한 EO/IR카메라 구현 (Implementation of EO/IR Camera for Fire-fighting of Narrow Space)

  • 박현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28-629
    • /
    • 2018
  • 최근 도심지내 주거공간은 다세대 거주공간으로 변화하여 화재 발생시 연기 충전이 발생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피난경로와 연기의 유출 방향이 동일하여 피난자의 연기 흡입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도심지 주거공간과 같은 협소거주공간에서 화재를 진압할 때는 화점 탐색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해 소방관 헬멧에 장착하여 화점 탐색에 활용할 수 있는 EO/IR센서를 구현하고 이에 대한 동작시험을 함으로서 향후 화점탐색센서 연구 및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PDF

도시 대피시설 기능을 고려한 지하철역 지하 출입구의 파사드 디자인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지하철역 1호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acade Design of the Underground Entrance at Subway Station Considering the City Shelters' Functions - Focused on the Subway Station Line 1 in Busan -)

  • 허레이;김동식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6호
    • /
    • pp.180-190
    • /
    • 2017
  • The subway station is not only an effective means to solve urban traffic problems, but also a kind of representative city shelters with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urban beauty and disaster prevention. At the same time, the subway station as public facilities need activate the urban functions and through the effective design schemes for a variety of the facade of underground entrance to improve users' awareness and reliability for the subway station as a city shelters. This study is conducted to purpose the design direction considering design and disaster preventing characteristics of the underground subway station entrance. In addition, it will provide a basic reference for the subway station in the renovation and construction. The study is composed of literature reviews and field survey. The literature reviews through papers and documents related to the city shelters, the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city shelters, and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facade design of underground entrance at subway station. Before the field survey through the online surveys with evacuation capabilities and screening only the subway station. And field survey is conducted on the site with careful observation and confirmation. Last cluster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finally selected samples by the SPSS Win18.0

피각부 자발성 뇌내출혈의 혈종흡입술을 위한 지표 (Guidelines for Free-Hand Aspiration(FHA) of Putaminal Hemorrhage)

  • 임신길;오민석;임준섭;강명기;곽연상;박승규;송경배;김한웅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sup2호
    • /
    • pp.294-299
    • /
    • 2001
  • Objectives : CT-guided stereotactic evacuation for spontaneous intracerebral hemorrhage can minimize the brain damage and can be performed safely and simply under local anesthesia. But that procedure is time consuming and has a risk of rebleeding because of the stress during head pin fixation. So authors describe easy and precise guidelines for FHA of putaminal hemorrhage without stereotactic instrument. Methods and Materials : We analyzed the data of 298 patients who underwent CT-guided stereotactic aspiration of putaminal hematoma in our hospital between January 1990 and December 2000.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hematoma : anterior portion, middle portion and posterior portion of putamen. Total number of catheters inserted into the hematoma were 345 and there were with regard to the direction and depth of catheters. Results : Proposed guidelines of catheter insertion to putaminal hemorrhage in our institution. 1) hematoma at the anterior portion of putamen ; Direction of catheter was the midpupillary line of the eye and the point intersecting a line drawn from the burr hole to a point between external auditory meatus(EOM) and 1cm posterior to EOM. Depth of catheter was 6-6.5cm. 2) hematoma at the middle portion of putamen ; Direction of catheter was the midpupillary line of the the eye and the point intersecting a line drawn from the burr hole to a point between 1cm and 2cm posterior to EOM. Depth of catheter was 6.5-7cm. 3) hematoma at the posterior portion of putamen ; Direction of catheter was 15 degree laterally from the midpupillary line of the eye and the point intersecting a line drawn from the burr hole to a point between 2cm and 3cm posterior to EOM. Depth of catheter was 7-7.5cm. We have performed FHA of putaminal hemorrhage in 48 cases according to this guideline. All catheter were inserted exactly at the center of hematoma and average operation time was about 30 minutes. Conclusion : Our proposed guidelines for putaminal hemorrhage are considered to be safe and simple method with similar accuracy and rapid decompression compared with traditional stereotactic method. Main advantages of this technique were unnecessity of stereotactic frame application and less time requirement for hematoma remova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