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rocode 2

검색결과 149건 처리시간 0.051초

Codes and standards on computational wind engineering for structural design: State of art and recent trends

  • Luca Bruno;Nicolas Coste;Claudio Mannini;Alessandro Mariotti;Luca Patruno;Paolo Schito;Giuseppe Vairo
    • Wind and Structures
    • /
    • 제37권2호
    • /
    • pp.133-151
    • /
    • 2023
  • This paper first provides a wide overview about the design codes and standards covering the use of Computational Wind Engineering /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WE/CFD) for wind-sensitive structures and built environment. Second, the paper sets out the basic assumptions and underlying concepts of the new Annex T "Simulations by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CWE)" of the revised version "Guide for the assessment of wind actions and effects on structures" issued by the Advisory Committee on Technical Recommendations for Constructions of the Italian National Research Council in February 2019 and drafted by the members of the Special Interest Group on Computational Wind Engineering of the Italian Association for Wind Engineering (ANIV-CWE). The same group is currently advising UNI CT021/SC1 in supporting the drafting of the new Annex K - "Derivation of design parameters from wind tunnel tests and numerical simulations" of the revised Eurocode 1: Actions on structures - Part 1-4: General actions - Wind actions. Finally, the paper outlines the subjects most open to development at the technical and applicative level.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 및 지반 증폭계수의 검증 (I) - 국외 내진설계기준 및 부지응답특성과의 비교 (Verification of 2-Parameters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Site Coefficients (I) - Comparisons with Well-known Seismic Code and Site Response Characteristics)

  • 이세현;선창국;하정곤;김동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8권3호
    • /
    • pp.25-34
    • /
    • 2012
  • 최근 제안된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 및 지반 증폭계수가 국내 지반조건 및 지반증폭특성에 적합함을 검증하기 위하여 내진설계기준연구II, Eurocode-8, 현재 개정중인 미국 동부지역 NYC DOT 내진설계기준과 비교를 수행하였다. 유사한 조건의 지반 조건에 대하여 각 기준의 설계응답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2-매개변수 지반분류, Eurocode-8, NYC DOT 내진설계기준은 일반적인 국내 지반특성인 단주기 영역의 증폭을 크게 고려하고 있는 반면, 내진설계기준 연구II는 장주기 영역의 증폭을 크게 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경주시 $10km{\times}10km$ 지역내 50개 부지에 대한 지반응답해석 결과를 확보하고, 이를 내진설계기준연구II 및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에서 제안하는 지반 증폭계수와 2차원 공간적인 비교를 수행하였다. 단주기 및 장주기 증폭계수 모두에 대하여 내진설계기준연구II가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에 비하여 부지응답해석 결과와의 오차값이 월등히 큰 것으로 평가되어,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에서 제안하는 지반 증폭계수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각형 강관의 축방향 압축강도에 관한 연구 (Axial Compressive Strength of Rectangular Hollow Section Members)

  • 조재병;임정순;한충성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0권2호통권35호
    • /
    • pp.153-160
    • /
    • 1998
  • 각형 강관(${\boxe}-75{\times}75{\times}3.2,\;{\boxe}-100{\times}100{\times}4.2,\;{\boxe}-125{\times}125{\times}6.0$) 기둥의 단면 치수와 초기 변형을 측정하였다. 인장시험, 단주 압축강도 실험, 그리고 세장비 $46{\sim}84$ 사이의 기둥에 대한 압축강도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한요소법에 의한 기둥의 압축 강도를 산출하였다. 단면의 공칭 치수에 대한 측정값의 오차는 무시할 정도이며, 초기변형은 각 단면별로 세장비 100에 해당하는 기둥길이에 대해 초과 확률 2.5% 값이 각각 1/490, 1/1121, 1/1395로 나타났다. 인장시험 결과 강재의 항복강도는 최소 규정 강도보다 30% 이상 높다. 기둥 실험 결과 얻은 각형 강관 기둥의 압축강도는 단주 압축강도를 강재의 항복강도로 간주하고 비교하면 유한요소 해석 결과나 AISC, Eurocode의 강도 곡선과 거의 같거나 약간 높은 값이나, 강재의 최소 규정강도를 기준으로 비교하면 실험 결과가 훨씬 높은 강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처짐과 균열폭에 대한 인장증강효과의 영향 (Influence of Tension Stiffening Effect on Deflection and Crack Width in RC Members)

  • 최승원;양준호;김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761-768
    • /
    • 2010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 균열이 발생하면 균열과 균열 사이 단면의 콘크리트는 부착에 의해 인장력을 전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철근의 변형은 줄어든다. 이러한 현상을 인장증강효과라 하고, 처짐 및 균열폭과 같은 사용한계상태의 검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균열 사이의 복잡한 변형률 분포 때문에 사용성한계상태의 검증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일반적으로 평균 변형률을 사용하여 처짐과 균열폭을 산정하고 있다. EC2에서는 1차식 및 2차식 형태의 인장 증강효과를 사용하여 평균 곡률을 산정하고 이로부터 처짐량을 산정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휨부재에 대하여 인장증강효과에 대한 다양한 모델을 적용하여 처짐과 균열폭을 산정하고 EC2와 콘크리트구조설계기준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해석 결과 2차식 형태의 인장증강효과를 일관되게 적용함으로써 실험 결과에 더 부합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해석의 일관성도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콘크리트 도로교 설계를 위한 저항계수 체계별 신뢰도 분석 (Reliability Analysis of Concrete Road Bridge Designed with Different Resistance Factor Format)

  • 백인열;상희정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147-157
    • /
    • 2011
  • 본 연구는 국내 콘크리트교량설계기준에 신뢰도기반 저항계수를 적용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구조물의 설계강도를 산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저항계수체계에 따른 설계결과와 신뢰도지수를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현재 국내에서 적용하는 단면저항계수 및 유럽에서 사용하는 재료저항계수를 적용하여 콘크리트 빔 교량들에 대하여 동일한 설계를 수행한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콘크리트 구조의 강도를 산정하는데 관련된 재료, 치수 및 해석의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설계의 안전율인 신뢰도지수를 산정하고, 신뢰도지수에 큰 영향을 미치는 설계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휨강도와 전단강도에 대하여 설계를 수행하였으며, 현행 국내 도로교설계기준, 미국 AASHTO LRFD, 유럽 Eurocode의 저항계수를 적용한 결과 국내 기준의 저항계수에 따른 설계의 신뢰도지수가 가장 컸으며, 활하중의 통계분포 형식에 따라 신뢰도지수에 차이가 있음을 보였다. 콘크리트 보의 휨과 전단에 대한 신뢰도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철근의 항복강도와 활하중이 가장 큼을 민감도 분석결과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Moment redistribution of RC continuous beams: Re-examination of code provisions

  • Da Luo;Zhongwen Zhang;Bing Li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5권5호
    • /
    • pp.679-691
    • /
    • 2023
  • Many codes allow designers to use the bending moment diagram computed by elastic analysis and modify it by a certain amount of moment redistribution (MR) to account for plastic behaviour of continuous beams. However, several researchers indicated that the MR at the ultimate limit state (𝛽u) for some beams deviate significantly from the specified values of various codes. This paper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the provisions on 𝛽u in ACI 318-19 and Eurocode 2 through numerical investigations and comprehensively explores the influencing factors. The results show that some parameters not considered in those codes influence 𝛽u to a certain extent, where the ratio of tensile reinforcement ratio at intermediate support to tensile reinforcement ratio at midspan (𝜌s1/𝜌s2) and load type are crucial parameters to consider. The specific combination of these two parameters may make the codes overestimate or significantly underestimate the 𝛽u. On the other hand, the yield state of both critical sections is found to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influence degree of each parameter on 𝛽u. The yield conditions are investigated, and an empirical judgment equation is proposed. In addition, the influence laws of the critical parameters on 𝛽u have been further proved by theoretical derivation. Finally, due to 𝜀t is found to have a better linear correlation with 𝛽u than xu/d, equations as a function of 𝜀t for predicting the 𝛽u of continuous beams under the two loads are proposed, respectively.

비선형 부착 특성에 기반한 철근콘크리트 부재의 인장증강효과 모델 (Modeling of Tension Stiffening Effect Based on Nonlinear Bond Characteristics in Structural Concrete Members)

  • 이기열;하태관;김우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745-754
    • /
    • 2007
  • 이 논문은 철근콘크리트 구조 부재의 인장증강효과에 대한 해석적 모델을 제안한 것이다. 이 모델의 정식화를 위해 철근과 콘크리트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실제와 유사한 형태의 부착응력과 미끌림 특성과 쪼갬균열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균열 안정화 단계에서의 철근 경계면 미끌림 분포를 선형으로 가정하고, 균열이 발생한 부재의 중앙 단면에서 콘크리트의 분담력이 일정하다는 조건을 CEB-FIP Model Code 1990 및 Eurocode 2에서 제시하고 있는 부착응력-미끌림 관계에 적용하였다. 이로부터 균열 안정화단계에서 부착응력에 의해 철근의 매입길이 방향으로 변화하는 철근의 변형률과 콘크리트 분담력을 계산할 수 있는 평형방정식을 유도하고, 변형적합조건을 고려하여 철근의 평균 변형률과 콘크리트 평균 분담력으로 동시에 표현이 가능한 인장강성 계수를 제안하였다. 이로부터 새롭게 정식화된 인장증강효과 모델을 기존 문헌에 발표된 여러 연구자들의 실험 자료에 적용하여 그 정확성을 검증한 결과, 제안식에 의한 예측값은 실험값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량판 슬래브-기둥 내부 접합부에 대한 전단강도모델 (Shear Strength Model for Interior Flat Plate-Column Connections)

  • 최경규;박홍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345-356
    • /
    • 2010
  • 직접전단과 불균형모멘트를 재하받는 슬래브-기둥 내부 접합부에 대한 대체설계방법이 개발되었다. 슬래브-기둥 접합부는 뚫림전단파괴에 앞서서 휨균열에 의해서 손상을 받으므로, 이 연구에서는 위험단면의 압축대에서 대부분의 전단저항이 발휘된다고 가정하였다. 뚫림전단강도의 산정을 위하여, 슬래브 휨모멘트와 불균형모멘트에 의해서 유발되는 압축수직응력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압축수직응력과 전단응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고려하기 위하여, Rankine의 콘크리트 재료파괴기준을 사용하였다. 제안된 강도모델은 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 제안된 설계방법은 ACI 318과 Eurocode 2 보다 우수한 강도추정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직접전단 또는 직접전단-불균형모멘트 복합하중을 재하받는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설계에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부착특성과 균열거동을 고려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폭 계산 (Crack Width Calculation Based on Bond Characteristics and Cracking Behavior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 양준호;김우;이기열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944-952
    • /
    • 2009
  • 이 논문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폭 계산을 위한 해석적 모델을 제안한 것이다. 철근과 콘크리트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실제와 유사한 형태의 부착응력-슬립 특성을 수치적으로 전개하기 위해서 수치해석을 통하여 균열안정화단계에서의 철근과 콘크리트 경계면에서 발생하는 슬립이 선형 분포함을 확인하고, CEB-FIP Model Code 1990과 Eurocode 2에서 제시하고 있는 부착응력-슬립 관계에 적용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균열과 균열 사이에서 철근의 매입길이 방향으로 발생하는 철근과 콘크리트의 변형률 차이가 균열면으로 누적되는 양을 계산할 수 있는 평형방정식을 유도하고, 이로부터 두 재료의 축방향 변형량의 차이로부터 균열폭을 계산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이렇게 정식화된 새로운 균열폭 모델을 기존 문헌에 발표된 여러 연구자들의 실험 자료에 적용하여 그 정확성을 검증한 결과, 제안식에 의한 예측값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여러 설계기준의 균열폭 규정으로 계산한 결과에 비하여 실험값을 비교적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복하중을 받는 TEC-BEAM 철골브라켓 접합부 거동평가 (Structural Behaviour of TEC-BEAM Connection with Steel Column Under Cyclic Loading)

  • 주영규;김지영;김명한;정광량;김상대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14권1호
    • /
    • pp.51-58
    • /
    • 2002
  • 고층 건물의 층고를 줄이기 위해, 역 T형강, PC 콘크리트 그리고 현장타설 콘크리트 슬래브로 이루어진 새로운 합성보로써 TEC-BEAM이 개발되었다. TEC-BEAM은 이전에 단순보 실험이 수행되었고, 우수한 거동을 보였다. 그러나 현장적용을 위해서는 TEC-BEAM의 상주주근을 정착시키기 위해 철골 브라켓을 이용하는 모멘트저항 접합부 상세가 요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TEC-BEAM 접합부에 대한 3개의 실험체를 실험하였고 실험변수는 (1)횡철근 간격. (2)브라켓 길이에 대한 철근의 배근폭비이다. 실험체는 Eurocode 4에 의한 Semi-Rigid Full Strengh 접합부로 분류되었다. 실험결과로부터 제안된 시스템은 우수한 성능을 보이며 현장에서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