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commia ulmoides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38초

Enzymatic Formation of Guaiacylglycerol 8-O-4'-(Coniferyl Alcohol) Ether from Coniferyl Alcohol with Enzyme Preparations of Eucommia ulmoides

  • Alam, Md. Shameul;Katayama, Takeshi;Suzuki, Toshisada;Sultana, Deeder;Sultana, Saima;Hossain, Md. Daud
    • Journal of Crop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45-50
    • /
    • 2008
  • Lignans and neolignans are optically active plant secondary metabolites. Research on biosynthesis of lignans has already been advanced especially for the formation of (+) pinoresinol but information on the biosynthesis of 8-O-4'- neolignans is still limited. Moreover, the chemical structure(position of substituents on aromatic rings) and stereochemistry of 8-O-4' neolignans is not clear. Katayama and Kado discovered that incubation of cell-free extracts from E. ulmoides with coniferyl alcohol in the presence of hydrogen peroxide gave (+)-erythro- and (-)-threo- guaiacylglycerol 8-O-4'-(coniferyl alcohol) ether (GGCE)(diastereomeric ratio, 3:2) which is the first report on enzymatic formation of optically active -8-O-4' neolignans from an achiral monolignol. In this aspect, enzymatic formation of guaiacyl 8-O-4' neolignan is noteworthy to clarify its stereochemistry from incubation of coniferyl alcohol with enzyme prepared from Eucommia ulmoides. In this experiment, soluble and insoluble enzymes prepared from E. ulmoides were incubated with 30 mM coniferyl alcohol(CA) for 60 min. The enzyme catalyzed GGCE, dehydrodiconiferyl alcohol(DHCA), and pinoresinol identified by reversed phase HPLC. Consequently, diastereomeric compositions of GGCE were determined as erythro and threo isomer. Enantiomeric composition was determined by the chiral column HPLC. Both enzyme preparations enantioselectively formed (-)-erythro, (+)-erythro and (+)-threo, (-)-threo-GGCEs respectively.

  • PDF

두충나무의 일반약리활성(一般藥理活性) 연구(硏究) (Studies on the General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Eucommia ulmoides Oliver)

  • 홍남두;노영수;김종우;원도희;김남재;조보선
    • 생약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2-110
    • /
    • 1988
  • The pharmacological activities on water extracts of Cortex, Ramulus and Folium from the Eucommia ulmoides Oliver were studied,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The vasodilative action on the rabbit ear blood vessel was recognized in the Cortex, Ramulus and Folium. The spontaneous motility and the contraction induced by Ach., $BaCl_2$ and histamine in the isolated ileum of mice were suppressed and inhibited in the Ramulus only. On the contrary, the analgesic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were noted in the Cortex and Folium. Furthermore, the hypotensive effect was recognized in the Folium. The diuretic, bile secretory and anti-fatigue effects were shown in the Cortex and Folium.

  • PDF

두충나무(Eucommia ulmoides Oliver) 잎과 껍질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ies of ethanolic extracts of 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er) leaf and bark)

  • 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3권3호
    • /
    • pp.259-265
    • /
    • 2020
  • 두충나무(Du-zhong, Eucommia ulmoides Oliver)의 잎과 껍질로 부터 얻어진 5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두충나무 잎과 껍질 추출물의 수율은 각각 8.1±0.31과 17.4±0.89%,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64.1±3.35와 42.4±2.38 ㎍ GAE/mg,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24.0±3.15와 36.7±3.18 ㎍ QE/mg으로 나타났다. 두충나무 잎과 껍질 추출물은 농도에 비례하여 양이온라디칼, 유리라디칼과 아질산염을 소거하였고, 환원력을 증가시켰으며 지질과산화를 억제하였다. 두충나무 잎과 껍질 추출물의 ABTS 양이온라디칼 소거에 대한 EC50값은 각각 560.6±17.65와 1,357.4±8.45 ㎍/mL이었고, DPPH 유리라디칼 소거에 대한 EC50값은 각각 574.2±14.70과 2,103.1±108.59 ㎍/mL로 나타났다. 또한 두충나무 잎과 껍질 추출물의 환원력에 대한 EC50값은 각각 319.9±13.42와 705.9±26.08 ㎍/mL였고, 아질산염 소거에 대한 EC50값은 각각 2,329.2±35.11과 5,467.6±243.92㎍/mL로 나타났다. 두충나무 잎 추출물은 74.8 ㎍/mL의 농도에서, 껍질 추출물은 177.2 ㎍/mL의 농도에서 linoleic acid의 과산화를 각각 70.0 및 79.1% 억제하였다. 두충나무 잎 추출물은 껍질 추출물에 비해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고 있었다.

두충으로부터 분리한 Iignan glycoside 의 ACE 활성 억제 (ACE Inhibitory Lignan Glycosides Isolated from Eucommia ulmoides Oliver)

  • 주옥수;남상해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698-704
    • /
    • 2009
  • 두충 (Eucommia ulmoides Oliver)으로부터 항고혈압 활성을 가진 유효물질을 분리하였으며, 두충의 잎, 껍질 및 줄기를 건조한 것과, 건조한 후 붉은 것에 대하여 ACE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저해활성을 실험하였다. 두충으로부터 분리 한 유효물질은 pinoresinol-4,4'-di-O-${\beta}$-D-glucoside (PG)와 dehydrodiconiferyl alcohol 4,${\gamma}$'-di-O-${\beta}$-D-glucoside (DAG)였으며, 이들은 각각 껍질과 잎에 많이 함유되 어 있었다. 즉 pinoresinol-4,4'-di-O-${\beta}$-D-glucoside (PG)는 자연 건조한 껍질에 135.12 mg%, 붉은 껍질에 163.94 mg%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dehydrodiconiferyl alcohol 4,${\gamma}$'-di-O-${\beta}$-D-glucoside (DAG)는 자연 건조한 잎에 117.43 mg%, 붉은 잎에 133.93 mg%로 비교적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ACE 억제활성은 볶은 잎, 말린 껍질 및 볶은 껍질을 10 mg/ml씩 처리하였을 때, 각각 77.49, 75.52 및 75.36%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두충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인 pinoresinol-4,4'-di-O-${\beta}$ -D-glucoside (PG)와 dehydrodiconiferyl alcohol 4,${\gamma}$'-di-O-${\beta}$-D-glucoside (DAC)를 1${\sim}$10 mg/ml 처리하였을 때에 는 67.1${\sim}$85.25% 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었으며, $IC_{50}$값은 각각 0.6${\pm}$0.2, 0.5${\pm}$0.2 mg/ml 였다. 이것은 PG와 DAG가 두충에서 분리한 천연물임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볏짚을 두충잎으로 대체급여 시 거세한우의 생산성, 도체특성 및 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Eucommia ulmoides Leaves Substituted for Rice Straw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Tissues of Hanwoo Steers)

  • 김재황;김영민;이문도;신재형;고영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963-974
    • /
    • 2005
  • 본 시험은 두충 급여가 거세한우의 성장, 도체특성, 육질특성 및 육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기초사료로 배합사료와 볏짚을 급여하였으며, 건조 두충 잎을 건물기준으로 조사료의 3, 5 및 10%를 대체․급여하였다. 시험사료의 사료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균체중 321±13kg의 거세한우 72두(4개구$\time$6 두$\time$3 반복)를 공시하여 약 15개월간 실시하였다. 일당 증체량은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0.81-0.86kg으로 유의차는 없었다. 사료요구율도 대조구를 포함한 모든 처리구에서 10.05-10.59로서 개선효과는 없었다. 분변내 NH3 가스 발생량은 두충 잎의 급여비율이 높을수록 감소하였다. 즉 40℃에서 12시간 발효시에는 대조구와 3% 구는 각각 30.6ppm과 29.8ppm이었으나 5% 구와 10% 구는 각각 20.3ppm과 21.6ppm으로 낮았다(p<0.05). 등지방 두께는 대조구는 15.0mm였으며 5-10% 급여시 10.2-10.5mm로 얇은 경향이었다(p<0.05). 육량 A 등급 출현율은 3% 급여시 약 20%가 증가하였으며, 육질 1+와 1 등급 출현율은 두충 잎을 5-10% 급여시 약 10-15%가 증가하였다. 등심의 육색에 대한 CIE L*, a* 및 b* 값은 각 시험구간 차이는 없었으며, 우둔의 CIE L*, a* 및 b* 값에서도 각 시험구간에 차이는 없었다. 지방산 함량에 있어서 등심과 우둔에서 공히 C18:1은 두충 잎을 5-10% 급여구에서 증가하였다(p<0.05). 등심의 cholesterol 함량은 10% 급여한 구가 53.3mg /100g으로 대조구와 3% 구 및 5% 구의 55.7-57.0mg/100g으로 비해 낮았다(p<0.05). 하리의 발생비율은 대조구가 약 20.3%였으며 두충 잎을 5-10% 대체 급여할 경우에는 10.4-12.5%로 크게 감소되었다(p<0.05). 호흡기 발병비율은 두충 잎을 대체함으로 개선되는 경향이지만 유의차는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두충 잎에는 다양한 기능성을 가지는 생리활성 물질이 상당량 함유된 기능성 사료로의 개발 가능성이 매우 높다. 또한 두충 잎을 음건하여 반추동물에 급여할 경우 육질 개선 및 하리 발생비율이 감소되기 때문에 고급육 생산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두충 잎을 거세한우에 급여할 경우 조사료의 5-10%를 대체하는 것이 가장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고지방 식이를 투여한 흰쥐의 지질대사와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두충 에탄올 추출물의 영향 (Effects of Eucommia ulmoides olivon Ethanol Extract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of Rats Fed High Fat Diet)

  • 남상명;강일준;정차권;정명은;함승시;오덕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796-801
    • /
    • 2002
  • 두충 에탄을 추출물이 생체내 지질대사 및 항산화 효소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정상식이에 두충 추출물을 투여(CE)한 결과 총콜레스테롤은 대조군(C)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HDL은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유의 성은 없었다 동맥경화 지수 역시 두충 추출물 투여군(CE)이 대조군 (L)에 비해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HTR은 55%의 증가를 보였다(p<0.05. 고지방식이(CL)를 투여한 결과 혈청 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C)에 비해 유의성있게(p<0.05) 증가하였으나 HDL과 HTR은 크게 감소되어 통계적 유의성 (p<0.05)을 나타내었다. 고지방식이군(CL)의 동맥경화지수(AI)는 대조군(C)에 비해 3.6배의 증가를 보였다(p<0.05). 고지방식이에 두충 추출물(CLE)을 투여했을 때 콜레스테롤 함량과 동맥경화지 수는 고지방식이군(CL)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지방식이군(CL)의 중성 지방 함량과 인지질 함량은 대조군(C)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두충 추출물 투여(CLE)로 중성 지방은 CL군에 비해 크게 감소되었으며 (p<0.05) 인지질 또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간 지질대사에서 두충 추출물 투여군(CE)의 총 지질과 콜레스테롤은 대조군(C)에 비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인지질은 대조군보다 22% 증가하였다. 고지방식이 (CL) 투여 시간의 총지질, 콜레스테롤, HDL, 중성 지방은 대조군(C)에 비해 유의성있게(p<0.05) 증가하였다. 고지방식이 (CL)에 의해 GST활성은 유의 성 있게 감소하였으나 catalase와 SOD활성은 대조군(C)과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충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CE및 CLE군의 GST와cata-lase활성은 각각 C와 CL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의 특성 및 경피 전달 (Characterization and Transdermal Delivery of Ethosomes Loaded with Eucommia ulmoides Extract)

  • 구현아;김해수;김문진;유은령;조기정;장진동;김보현;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4권6호
    • /
    • pp.639-64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 소재로서 항염, 항노화 효능이 있는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을 제조하였고, 이들 에토좀이 안정한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4주 동안 입자크기, 물리적 특성 및 포집효율을 측정하였다. 0.01~0.05%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은 4주 동안 침전이나 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들 에토좀의 평균 입자 크기는 134.6 nm였고, 단분산 형태를 나타내었다. 0.05% 두충 추출물을 함유한 에토좀의 입자 크기는 151.15 nm였으며, 포집 효율은 81.79%로 에토좀 중 가장 큰 포집효율을 나타내었다. 0.05%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을 이용하여 피부 투과 실험을 수행하였다. 두충 추출물의 총 피부 투과량은 에토좀(77.16%) > 리포좀(62.80%) > 에탄올 용액(41.59%)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0.05% 두충 추출물을 담지한 에토좀은 피부 전달에 효과적이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품 제형으로서 사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추출방법에 따른 두충 껍질 추출물의 항산화, 항염증 활성 비교 (Antioxidative, Anti-inflammatory, and DNA Damage Protective Effect in Cortex Extracts of Eucommia ulmoides by Roasting)

  • 이영민;김인숙;김재곤;박서현;임병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259-270
    • /
    • 2019
  • Background: Eucommia ulmoides has long been used as an herbal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hypertension and other diseases in many Asian countries. Methods and Results: This study aimed at evaluating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of its water (EU-DW, and REU-DW) and ethanol (EU-EtOH, and REU-EtOH) extracts, as well as those of non-roasted E. ulmoides (EU) and roasted EU (REU) cortex. The following were assessed in each extract: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and nitrit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reducing power, DNA damage prevention activity, and nitric oxide (NO) inhibition activity. Both EU and REU extracts showed high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dose-dependent DPPH radical scavenging capacity, high reducing activity, and considerable DNA damage prevention activity. EU extracts showed remarkable ABTS free radicals scavenging capacity. REU extracts showed a higher radical scavenging capacity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inhibiting NO produ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of EU and REU possess antioxidant capacities, and prevent oxidative damage to DNA, probably owing to their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 Therefore, EU and REU could be candidates antioxidant supplements.

두충잎의 급여가 면양의 영양소 이용율과 반추위내 발효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Eucommia ulmoides Leaves on Nutrient Digestibility and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Sheep)

  • 김재황;고영두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6호
    • /
    • pp.955-962
    • /
    • 2005
  • 본 시험은 두충 잎을 저질 조사료인 볏짚의 일부로 대체․이용할 목적으로 평균체중 50.2 $\pm$1.6kg의 건강한 숫 면양(Corriedale$\time$Polwarth) 4두로 4$\time$4 라틴 방각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이때 농후사료 : 조사료의 비율은 3:7이었다. 시험구는 두충을 대체하지 않은 대조구와 조사료인 볏짚의 건물을 기준으로 음건 두충 잎을 3, 5 및 10% 대체한 4개 처리구를 공시하였으며, 영양소 이용율, 기호성, 반추위 내 발효 특성 및 미생물체단백질 합성량을 조사․분석하였다. 조지방 소화율은 3% 구와 5% 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12.5-17.5%로 증가하였다(p<0.05). 조섬유 소화율은 두충잎을 대체한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10.6-13.7%로 개선되었다(p<0.05). 건물 섭취량은 10% 구가 844g으로 가장 많았으며 5% 구는 그 다음으로 많이 섭취하였으며, 대조구와 3% 구는 가장 낮았다(p<0.05). 질소 축적량은 3% 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약 97%가 개선되었으며, 5% 구와 10% 구가 약 173-192%가 개선되었다(p<0.05). 유기물 이용율은 3% 구와 5% 구가 대조구에 비해 높았다(p<0.05). PD(purine derivatives) 배설량은 5% 구가 2.90mmol/d로 대조구와 3% 구에 비하여 높았다(p<0.05). 미생물체단백질 합성량은 5% 구가 2.51gN/d로 대조구와 3% 구에 비하여 높았다(p<0.05). 반추위내 total VFA 함량은 두충 잎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RAN 함량은 두충 잎 급여 후 1-4시간에 15-19mg/100ml로 높게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두충 잎을 음건하여 반추동물에게 5-10%를 대체하여 급여할 경우 영양소 소화율, 기호성 및 반추위 내 발효조건 개선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