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ubacterium limosum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초

일산화탄소를 이용하는 혐기성 세균 Eubacterium limosum KIST612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Carbon Monxide Utilzing Anaerobe, Eubacterium limosum KIST612)

  • 장인섭;김도희;김병홍;신평균;윤정훈;이정숙;박용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8
    • /
    • 1997
  • Carbon monoxide (CO)-utilizing acetogens were enriched and KIST612 isolated from anaerobic digester fluid was selected for its abilities to tolerate high CO and acetate concentration. The isolate KIST612 was identified as Eubacterium limosum based on the morph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G+C content of DNA and 16S rRNA sequence analysis. E. limosum KIST612 produced acetate and butyrate from CO.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the growth and acids formations were 37$\cdot $C and 7.0, respectively. The growth rate and acids productivity of E. limosum KIST612 were higher than those of any other known acetogens when CO was used as the sole energy and carbon source.

  • PDF

Genome-Based Reclassification of Strain KIST612, Previously Classified as Eubacterium limosum, into a New Strain of Eubacterium callanderi

  • Ji-Yeon Kim;Byeongchan Kang;Soyoung Oh;Yeji Gil;In-Geol Choi;In Seop Ch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3권8호
    • /
    • pp.1084-1090
    • /
    • 2023
  • The strain KIST612, initially identified as E. limosum, was a suspected member of E. callanderi due to differences in phenotype, genotype, and average nucleotide identity (ANI). Here, we found that E. limosum ATCC 8486T and KIST612 are genetically different in their central metabolic pathways, such as that of carbon metabolism. Although 16S rDNA sequencing of KIST612 revealed high identity with E. limosum ATCC 8486T (99.2%) and E. callanderi DSM 3662T (99.8%), phylogenetic analysis of housekeeping genes and genome metrics clearly indicated that KIST612 belongs to E. callanderi. The phylogenies showed that KIST612 is closer to E. callanderi DSM 3662T than to E. limosum ATCC 8486T. The ANI between KIST612 and E. callanderi DSM 3662T was 99.8%, which was above the species cut-off of 96%, Meanwhile, the ANI value with E. limosum ATCC 8486T was not significant, showing only 94.6%. The digital DNA-DNA hybridization (dDDH) results also supported the ANI values. The dDDH between KIST612 and E. callanderi DSM 3662T was 98.4%, whereas between KIST612 and E. limosum ATCC 8486T , it was 57.8%, which is lower than the species cut-off of 70%. Based on these findings, we propose the reclassification of E. limosum KIST612 as E. callanderi KIST612.

CO Fermentation of Eubacterium limosum KIST612

  • Chang, In-Seop;Kim, Do-Hee;Kim, Byung-Hong;Shin, Pyong-Kyun;Sung, Ha-Chin;Lovitt, Robert W.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8권2호
    • /
    • pp.134-140
    • /
    • 1998
  • Eubacterium limosum KIST612 was cultured on phosphate-buffered basal medium (PBBM) with carbon monoxide (CO) as the sole energy and carbon source. The initial growth rate of this strain was approximately 0.17~0.25 $h^-1$/ and the $K_s$ value for dissolved substrate was 0.14 mM. CO was limiting during the growth of the bacterium when the CO partial pressure was less than 0.6 atm (0.5 mM dissolved CO). The bacterial growth rate was reduced in the presence of acetate. When sufficient CO was supplied using a gas-lift reactor, the acetate concentration went up to 90 mM in 116 h.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a pressurized reactor be used to develop a process to convert CO-rich gases into multi-carbon compounds.

  • PDF

Bifidobacterium과 기타 장내 세균에 의한 두유 배양 비교 (Comparison of Cultured Soymilk by Bifidobacterium and Various Human Intestinal Bacteria)

  • 이세경;손헌수;지근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94-697
    • /
    • 1993
  • Bifidobacterium과 기타 장내 세균을 두유에 배양하여 배양특성을 살펴보았다. 균주들은 다음과 같이 Bifidobacterium longum, Lactobacillus acidophilus, Bacteroides fragilis, Eubacterium limosum, Clostridium perfringens, E. coli.를 사용하였다. 이들중 B. longum만이 높은 활성의 ${\alpha}-galactosidase$를 생산해 두유의 주요 당인 raffinose와 stachyose를 이용하였고 가장 높은 산 생성을 보여주었다. 16시간 배양후에 B. longum은 $1.5{\times}10^{8}\;CFU$에 이르렀다. 또한 B. longum은 ${\alpha}-galactosidase$이외에 ${\alpha}-galactosidase$${\beta}-galactosidase$의 활성도 다른 균주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 PDF

장내 유해세균에 대한 가자(Terminalia chebula Retz.) 추출물의 항균 활성 (Antimicrobial Activity of terminalia chebula Retz. Extract of against Intestinal Pathogens)

  • 이갑상;김성효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59-563
    • /
    • 1997
  • 장내유해세균에 대한 세균성 장내질환치료와 관련된 한약재의 항균활성 검색을 통해 우수한 효과가 인정된 가자를 선정하고 혐기적 broth system에서 각 용매별 분획물의 6종의 장내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항균물질을 column chromatography 법에 의해 부분 정제하였다. 가자 메탄올 추출물은 100-2,000g/ml 농도에서 시험균 Eubacterium limosum ATCC 10825, Escherichia coli ATCC 25922, Bacteroides fragilis KCTC 5013, Clostridium perfringens ATCC 3627, Staphylococcus aureus KFCC 11764 및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4028 모두에 대해 항균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2,000g/ml 농도에서는 Escherichia coli ATCC 25922 및 Staphylococcus aureus KFCC 11764을 제외하고는 거의 생육하지 못하였다. 각 분획물(n-hexane, ethylether, ethylacetate 및 water)들간의 항균활성은 Clostridium perfringens ATCC 3627을 제외하고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가자의 ethylacetate 분획은 Sephadex G-200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30개 분획 중 12에서 21번까지의 분획에서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한 40개 분획 중에서는 22에서 34까지의 분획에서 항균활성을 보였다.

  • PDF

방기(Sinomenium acutum)의 물추출물이 주요 장내 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Water-extract of Sinomeniiacuti Radix(Sinomenium acuturn) on the Growth of Some Intestinal Microorganisms)

  • 신옥호;유시승;이완규;신현경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91-497
    • /
    • 1992
  • 한약재로부터 장내의 대표적 유해균인 Clostridium perfringes의 생육을 억제시키는 소재를 탐색한 결과 방기 물추출물에서 강력한 항균활성을 발견하였다. 방기추출물의 항균활성은 pH1부터 pH13까지의 범위에서 안정하였으며 121'C에서 15분간의 열처리 에서도 활성이 유지되었다. 방기 추출물은 Cl. perfringens, Cl.paraputrificum, Cl.ramosum 및 Cl.butyricum 등 실험에 사용한 모든 Clostridium속균의 생육을 강력하게 억제하였다. 그리고 Clostridium 이외의 주요 장내균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Bif.bifidium, Bacteroides fragilis 및 Eubacterium limosum에 대해서는 역시 그 생육을 억제하였으나, Bif. adolescesnits, Bif.infantis, Bif.longum, E.cloi, Enterococcus faecalis 그리고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해서는 생육억제 효과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Lactobacillus acidophilus와 Bif.animalis에 대해서는 생육촉진효과를 보여주었다.

  • PDF

In vitro 및 In vivo에서 인진쑥 추출물이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Extracts on Intestinal Microflora In vitro and In vivo)

  • 오미현;김광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1호
    • /
    • pp.1587-1594
    • /
    • 2010
  • 본 실험은 인진쑥의 용매 분획물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검색하였다. 이에 따라 가장 항균활성이 좋은 인진쑥의 클로로포름 분획물을 가지고 항균활성실험을 진행하였고, 기능성 물질인 페놀류의 함량 정도에 따라 항균활성을 보여주는 지에 대하여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고, in vivo 실험을 통하여 장내미생물 균총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인진쑥 에탄올 추출물을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로 분획하여 용매 분획물을 가지고 항균활성을 검색한 결과, paper disc agar diffusion법에서 장내유해균인 C. perfringens, C. difficile, E. limosum 및 B. fragilis 모두가 다른 용매 분획물들에 비해 클로로포름 분획물에서 생육 억제환의 크기가 가장 크게 생성되었다. 장내유익균인 B. bifidum, L. acidophilus는 인진쑥의 헥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물에서 억제환이 생성되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동물실험 결과, 인진쑥 추출물은 일반식이군에 비하여 비만식이군에서 장내유해균을 억제하고 장내 유익균을 증진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상기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인진쑥 추출물은 장내 유해균은 억제시키고, 장내 유익균은 증식시키거나 별다른 영향을 주지 않는 결과, 인체 장내 균총 조성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개선시켜 장내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인진쑥 추출물의 장내유해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장내균총 개선을 위한 기능성식품으로 활용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Levanoligosaccharide의 장내미생물의 생육에 미치는 생리효과 (Physiological Effects of Levanoligosaccharide on Growth of Intestinal Microflora)

  • 이태호;강수경;박수제;이재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35-40
    • /
    • 2000
  • The effect of levanheptaose produced by levanase from Streptomyces sp. 366L on principle intestinal microflora was investigated. The reaction product, levanheptaose, was used as a carbon source for various intestinal microflora. As a results, Bifidobacterium adolescentis,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Eubacterium limosum grew effectively in the in vitro experiment, whereas Clostridium perfringens, E.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did not. Therefore levanheptaose seems to promote selectively the growth of B. adolescentis and L. acidophilus. In the in vivo experiment, the effect of levanheptaose on the growth of intestinal microflora, $\beta$-fructosidase activity, pH, and butyrate concentration were examined in rats. Apparently, the number of fecal Bifidobacteria, the amount of butyrate, and $\beta$-fructosidase activity were increased, whereas total aerobes and pH were reduced in rats fed by levanheptaose diets,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diets. We concluded that those effects may be beneficial in improving gastrointestinal health.

  • PDF

선인장 추출물이 인체 장내미생물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ctus Extracts on Human Intestinal Microflora)

  • 라보현;이운종;조윤원;김광엽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3권3호
    • /
    • pp.45-54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인체 내 장내 세균 및 병원성 식중독 세균에 선인장 추출물이 미치는 영향과 항산화, 항고혈압 활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항균활성은 96well-plate법과 paper disc법을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줄기 추출물의 경우 96well-plate 및 paper disc법의 결과, 장내유해균인 Eubacterium limosum 및 Clostridium perfringens, C. butyricum, C. difficile과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하여 높은 억제율을 보였으나 Bacteroides fragilis, Bifidobacterium bifidum, Lactobacillus acidophilis, Streptococcus thermophilus의 경우 억제율을 나타내지 않았다. 열매 추출물의 경우 장내유해균 및 장내유익균에 Bacteroides fragilis, Bifidobacterium bifidum, Lactobacillus acidophili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is에 대하여 억제율을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줄기 추출물의 경우 열 및 pH에서도 장내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에 안정함을 나타내었다. 선인장 추출물의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전자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열처리하지 않은 열매와 줄기 추출물의 폴리페놀은 3.02 mg/g, 5.85 mg/g, 플라보노이드는 1.04 mg/g, 2.1 mg/g, 전자공여능은 87, 88%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선인장 추출물의 항고혈압활성은 줄기 추출물의 경우 88.8% 열매 추출물의 경우 69.2%의 항고혈압활성을 보였으며 상기 결과를 종합할 때, 선인장 줄기추출물은 장내 유해균의 억제 및 유익균의 증진을 통한 장내 균총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