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ical Responsibility

검색결과 230건 처리시간 0.032초

MZ세대의 윤리적 소비성향이 사회적 기업의 패션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Ethical Consumption Tendency of Millennials and Members of Generation Z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ocial Enterprise Fashion Products)

  • 이상권;정인희;조윤진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3호
    • /
    • pp.443-458
    • /
    • 2022
  • Generation MZ, a generic term for millennials and members of Generation Z, is an innovation-leading consumer group in the current marke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ethical consumption tendencies of millennials and Generation Z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social enterprise fashion products. Data were collected from Generation MZ (15-40 years old) by quota sampling based on the demographic variables of gender, age, and region, respectively. Eight hundred response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t-test, and regressions using SPSS software. Three value factors (egoistic, altruistic, and biospheric) and three ethical consumption tendency factors (resource saving tendency, eco-friendly tendency, and consciousness of corporate responsibility) were determined by factor analyses. The results confirmed that women, who showed a higher ethical consumption tendency in all three factors, were more altruistic and biospheric than men. Furthermore, women portrayed a more favorable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owards fashion products of social enterprise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members of Generation Z were more altruistic and biospheric than millennials. Additionally, the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nd willingness to pay premium prices were higher in Generation Z members. It was confirmed that higher biospheric values correlated with greater values for the three ethical consumption tendency factors. The altruistic value affected both the resource saving tendency and eco-friendly trend, while the egoistic value had an effect on the resource saving tendency. Both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ere positively influenced by all three of the ethical consumption tendency factors, and affected the willingness to pay premium prices. This was subsequently influenced by the resource saving tendency and consciousness of corporate responsi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understanding Generation MZ as a consumer group, and the establishment of marketing strategies for fashion companies.

간호사의 윤리적 책임을 주제로 한 사례분석적 연구 -투옥된 정치범을 중심으로- (Analytic Case Study on Ethical Responsibilities of the Nurse)

  • 백훈정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77-287
    • /
    • 1999
  • Respect for human life and respect for human rights are basic values which the organized nursing profession has urged its members to adhere to in their service to human beings. This study was designed and carried out to identify ways to reconcile often conflicting basic values in practice. This study focused on ethical dilema experienced by nurses who were caring for political offenders in prison. Concrete case study was presected to show solutions to the problems.

  • PDF

한국형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 연구: 소비자 인식을 중심으로 (Developing a Scale for Measuring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f Korea Corporation: Focusing on the Consumers' Awareness)

  • 박종철;김경진;이한준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2권2호
    • /
    • pp.27-52
    • /
    • 2010
  • 그동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척도개발이 국·내외적으로 일부 연구자들에서 수행되어져 왔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측정하고 있는 구성개념(측정항목)들에 대한 이론적 배경의 결핍과 기업의 네 가지 사회적 책임활동 차원이 과연 서로 이질적인 차원인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관련된 지난 30년간 발표된 정량적 분석에 의하면, 대부분의 연구들이 측정항목과 방법론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CSR)에 대한 학문적 관심은 오래 지속되고 있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차원 (경제적, 법률적, 윤리적, 자선적 책임)에 대하여 소비자들이 어떻게 바라보는지, 혹은 어떻게 인지하는지에 대해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척도가 서구사회 위주로 개발되어 국내에서 인용되다보니, 국내 특성에 맞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미흡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이해관계들을 대상을 집단면접(FGI)을 실시하여 국내 상황에 맞는 척도를 개발하였고, 본 연구에서 개발된 새로운 척도가 기존 척도에 비하여 더 높은 예측력을 지니는지를 간접적으로 증명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새롭게 개발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척도는 다음과 같다. 우선, 경제적 책임은 '제품의 품질개선 노력', '고객의 불평처리에 대한 체계구축', '이윤창출을 통한 국가 경제발전 이바지', '고용창출 노력', 법률적 책임으로는 '법적기준 준수', '직원들의 복지추구와 고용 관련법 준수', '명시된 계약적 책임이행', '기업경영 관련법 준수', '소비자보호법 준수', 윤리적 책임으로는 '윤리강령 지침마련', '과장광고나 허위광고', '투명경영', '사업파트너와의 공정한 거래', 자선적 책임으로는 '지역사회와의 협력사업', '스포츠 및 문화활동 지원', '지역사회 봉사', '사회환원' 등이다. 연구결과는 국내 기업들에게 경제적 책임활동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지시키고 있으며, 특히 국내 기업들에게 자사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진단하는데 중요한 실무적인 시사점을 제시할 것이다.

  • PDF

한국에서의 윤리적 패션 소비자 행동 - 윤리적 패션 소비에 영향 미치는 요인을 중심으로 - (Ethical Fashion Consumer Behavior in Korea - Factors Influencing Ethical Fashion Consumption -)

  • 고애란;노지연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12호
    • /
    • pp.1956-1964
    • /
    • 2009
  • 국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그들의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였다. 윤리적 패션은 환경을 해치지 않는 소재와 생산과정, 공정무역 등을 기반으로한 의식 있는 패션으로, 최근 들어 세계 패션계의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이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관련 연구도 꾸준히 행해지고 있지만 대부분 서구 사회를 기반으로 한 것으로 한국 사회의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 행동을 이해하는 데는 한계가 따른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윤리적 패션 상품을 한 번 이상 구매한 경험이 있는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와 윤리적 패션 상품 구매 경험이 없는 소비자 간의 차이를 규명하였다. 또한, 소비자 효과성 지각, 가치(Self-direction, Benevolence, Universalism), 사회적 책임감, 지각된 통제 요인, 체면 의식, 집단 동조 의식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의 윤리적 상품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와 향후 일반적인 윤리적 상품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자료수집을 위해 2009년 4월 20일부터 6월 7일까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한 양적 조사를 실시했고, 편의표본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윤리적 소비 혹은 윤리적 상품의 개념에 대해 알고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였고, 총 494명의 응답이 분석에 사용되었다. 구매한 경험이 있는 윤리적 패션 아이템은 액세서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성인의류, 아동의류, 쥬얼리, 신발 순이었다. 윤리적 패션 상품을 구매하게 된 이유는 공정하게 거래된 제품이어서, 디자인, 기부할 수 있어서, 품질, 주변인의 권유로 등이 있었다. 독립표본 t-test를 통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와 아닌 소비자 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윤리적 패션 상품을 구매한 경험이 있는 소비자는 아닌 소비자에 비해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와 향후 구매 의도, 체면 의식, 소비자 효과성 지각 요인, 사회적 책임감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는 아닌 소비자보다 self-direction, universalism 가치를 자신의 삶에 있어 보다 중요한 가치로 인식하고 있었다. 다중회귀 분석을 통해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의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와 향후 일반적인 윤리적 상품 구매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윤리적 패션 상품 소비자의 경우, 윤리적 상품 구매 행동에 대한 태도에 소비자 효과성 지각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그 다음으로 benevolence 가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윤리적 상품의 향후 구매 의도에는 사회적 책임감, benevolence, 태도 순으로 영향을 받고, 집단 동조 의의 경우 오히려 윤리적 상품 구매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기업이미지 및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본 대학생 대상으로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Company Image and Customer Citizenship Behavior: Focused on Japanese Students)

  • 안태혁;박봉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185-19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일본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현황을 알아보고 CSR과 관련한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하여 CSR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기업이미지, 그리고 고객만족과 고객시민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일본 휴대폰 단말기 시장 점유율 Top 4 인 애플, 소니, 샤프, 쿄세라의 휴대폰을 사용하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294부를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서는 네 요인, 경제적 책임, 법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이 도출되었으며 윤리적 책임 요인을 제외한 나머지 세 요인은 기업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기업이미지는 고객만족과 고객시민행동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 일본 기업들은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CSR에 대한 이해를 돕고 소비자들이 공감할 수 있는 CSR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CSR에 대한 체계적인 방안들을 강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공학전공 대학생의 AI 로봇에 대한 윤리적 민감성 (Engineering Students' Ethical Sensitivity on Artificial Intelligence Robots)

  • 이현옥;고연주
    • 공학교육연구
    • /
    • 제25권6호
    • /
    • pp.23-37
    • /
    • 2022
  • This study evaluated the engineering students' ethical sensitivity to an AI emotion recognition robot scenario and explored its characteristics. For data collection, 54 students (27 majoring in Convergence Electronic Engineering and 27 majoring in Computer Software) were asked to list five factors regarding the AI robot scenario. For the analysis of ethical sensitivity, it was checked whether the students acknowledged the AI ethical principles in the AI robot scenario, such as safety, controllability, fairness,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We also categorized students' levels as either informed or naive based on whether or not they infer specific situations and diverse outcomes and feel a responsibility to take action as engineers. As a result, 40.0% of students' responses contained the AI ethical principles. These include safety 57.1%, controllability 10.7%, fairness 20.5%, accountability 11.6%, and transparency 0.0%. More students demonstrated ethical sensitivity at a naive level (76.8%) rather than at the informed level (23.2%). This study has implications for presenting an ethical sensitivity evaluation tool that can be utilized professionally in educational fields and applying it to engineering students to illustrate specific cases with varying levels of ethical sensitivity.

의생활 윤리소비 교육프로그램이 청소년들의 의생활 윤리소비의식과 일반적인 윤리소비지식 및 윤리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Ethical Consumption of Clothing on Adolescents'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of Clothing, General Ethical Consumption Knowledge and Behaviors)

  • 전미연;정혜정;오경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32-941
    • /
    • 201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s on adolescents of the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for ethical consumption related to clothing in terms of their clothing-related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and in terms of their general ethical consumption knowledge and behaviors. Additionally, the effects of clothing-related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and general ethical consumption knowledge on general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were examined. The program for education in ethical consumption related to clothing for adolescents was developed and applied, two surveys for the pre-post test design were conducted with high school female and male students, and a total of 158 respons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test on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for high school students clearly showed factorial structures including Pro-environmentalism, Animal welfare, Social responsibility, and Recycling. 2)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means of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knowledge, and behaviors of respondents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revealed that posttest means of all research variables after application of the education program were higher than pre-test means. 3) The ethical consumption knowledge had important medicating ro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consumption consciousness with regard to clothing and general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Overall, the study provides empirical evidence to support the notion that there is a need for applying an ethical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to lead adolescents to consume ethically.

우리나라 대학생의 공정무역에 대한 인식과 구매의도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Perceptions and Purchase Intention on Fair-Trade Product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 홍성헌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4호
    • /
    • pp.109-130
    • /
    • 2012
  • 공정무역(fair trade)은 국제무역거래에 있어 불평등을 해소하고 생산과정에 있어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새로운 형태의 대안무역으로서 평가받으며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윤리적 소비를 지향하는 소비자들의 공정무역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고 최근 그 거래규모가 급증하여 공정무역제품 시장이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윤리적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 모델을 제시한 Shaw와 Shiu(2003)의 '수정된 계획행동이론'에 기초하여 대학생소비자들이 공정무역제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윤리적 제품의 소비자행동에 관한 요인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소비자 구매태도, 규범적 신념, 공정회복기대, 윤리적 책임의식 등과 공정무역제품 구매의도와의 관계, 그리고 인구통계적 요인, 공정무역인지, 구매경험이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등의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지조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검증결과, 공정무역제품 구매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윤리적 책임의식과 소비자의 구매태도였다. 윤리적 책임의식이 구매의도에 영향력이 더 큰 요인이었다. 소비자들은 공정무역제품 구매를 통해 윤리적 의무를 한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고 판단되므로 공정무역제품 구매촉진을 위해서 구매의 필요성과 소비자 개인으로서의 윤리적 책임을 연계하고 소비자태도가 우호적이고 긍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전략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 PDF

Ethical Concerns and Issues in the Publication Process

  • KANG, Eungoo;HWANG, Hee-Joong
    • 연구윤리
    • /
    • 제2권1호
    • /
    • pp.7-12
    • /
    • 2021
  • Purpose: The current study suggests that any errors and other inaccuracies noted in the research process should be appropriately communicated to the editorial offices. This will try to eliminate the mistakes that may undermine the value of the publication. The present research thus focuses on the ethical issues and concerns in the publica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content analysis applied for this study is suitable because there exists enormous textual data in the realm of ethical concerns and issues in the publication proces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manifest and critical themes regarding ethical concerns and issues for research publication. Results: Researchers should consider ethical principles based on suggestions of this study when carrying out a publication for the work to be acceptable in diverse regions and the journal should be made in account of completeness and ensure that all the relevant factors are considered to promote the research's accuracy. Conclusions: Ethical issues denote considerations and moral elements that should be considered by the authors while making a publication. They include Beneficence, which literacy means, do no harm, respect for confidentiality, and anonymity, which is about respecting the rights and dignity of subjects identified based on personal responsibility.

소비자의 사회적 책임 인식에 따른 사업자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소비자요구 (Consumers' Nee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cording to the Perception of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y)

  • 서정희;전향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993-1008
    • /
    • 2011
  • An increase in interests in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ies, or ethical spending, starts from a recognition that the consumption of an individual does not stop with the individual, but also affects overall society. The recognition of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ies leads to deman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how social responsibility recognition affects consumers' nee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using college students. All data was analyzed with the SPSS Windows 18.0 program in terms of frequency, Crobach's ${\alpha}$, factor analyses, paired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recognition level of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ies in college students was at an average level and the consumer's nee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ere higher than usual. Second, the grade level, military experience, and economic status of the college students changed their views on consumers' nee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Groups with higher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ies had higher consumer deman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consumers' social responsibilities affects the consumer's needs fo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