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hical Perception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37초

IT 지원이 흡수역량을 통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직의 절제 중심으로- (Study on the Impact of IT Suppor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rough Absorption Capacity: Focusing on Organizational Temperance)

  • 권재현;서영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73-81
    • /
    • 2020
  • 본 연구는 통합역량 IT 지원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직의 절제와 흡수역량이 매개했을 때의 영향에 대해서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실증 분석을 위해 사기업과 공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총 126명의 설문을 바탕으로 Smart PLS 3.0으로 연구 모형을 검증하였다. 통계 분석결과 첫째, 통합역량 IT 지원은 조직절제의 하위 요인인 조정과 적응력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흡수역량에도 정(+)의 영향을 주었다. 둘째, 조직의 절제는 흡수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통합역량 IT 지원과 흡수역량의 관계에서 조직의 절제를 매개로 했을 때 정(+)의 영향을 미쳤다. 넷째, 흡수역량은 재무성과와 비재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IT 기술과 조직성과 관계에서 조직 윤리 차원의 요인으로 확장하여 상관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두고 있다. 또한 흡수역량의 선행 요인으로써 조직의 윤리적 요인도 선행 요인으로서 작용함을 규명함에 따라 연구의 의의가 있다. 통합역량 IT 지원은 경영자에게 균형 있고 안정감 있는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며, 이는 구성원들에게 조직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주어 흡수역량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 미친다. 흡수역량이 필수적인 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해서는 적절한 IT 인프라 구축과 조직의 미덕 함양의 중요함을 시사한다.

텍스트 마이닝으로 살펴본 대학생들의 인공지능 윤리 인식 연구 (A Study on Artificial Intelligence Ethics Perce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by Text Mining)

  • 유수진;장윤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947-960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인공지능 윤리 인식을 파악하여 대학 교양 인공지능 윤리 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대학생 83명이 총 5개의 인공지능 윤리 토론 주제에 대한 의견을 작성하고, 작성된 텍스트를 기반으로 텍스트 마이닝 중 언어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인공지능 사회의 미래에 대해서 62.5%의 학생이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둘째, 자율주행 자동차 사고 발생 시 39.2%의 학생이 현재 자율주행 수준으로는 차량 소유자의 책임으로 생각하였다. 셋째, 인공지능 발전의 역기능으로는 사생활 침해와 기술 악용, 정보편식을 꼽았다. 역기능 최소화 방안으로 인공지능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의 윤리 교육이 필요하며 제도적인 준비도 병행되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넷째, 얼굴 인식 기술이 보편화된 사회에 대해 19.2%의 학생만이 긍정적인 의견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데이터 수집 시 개인정보 이용 동의를 얻은 부분만 활용해야 할 뿐 아니라 도덕적인 기준이 없는 인공지능 활용 방안에 대해 사용자와 개발자 모두의 윤리적 소양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교양 수준의 인공지능 윤리 교육을 설계할 때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중국시청자의 간접광고 효과요인과 광고기능 관련성 지각 (Relevant perceptual features on advertising and indirect advertising effectiveness factors of Chinese viewers)

  • 유승엽;강현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9호
    • /
    • pp.271-279
    • /
    • 2012
  • 본 연구는 중국 시청자를 대상으로 간접광고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중국 시청자에 대한 광고기능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간접광고 효과요인과 광고기능 인식 관계성은 어떠한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중국시청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간접광고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7개로 나타났다. 즉, 연예인관여도, 노골적묘사, 협찬사신뢰성, 브랜드차별성, 윤리성 및 정보제공 요인이다. 둘째, 중국 시청자들의 광고기능에 대한 지각은 비교적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시청자들의 간접광고 효과요인과 광고기능 관련성지각에서 연예인관여도와 브랜드차별, 노골적묘사 및 윤리성 요인이 광고기능 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한국과 중국의 간접광고제작 실무자에게 중요한 신념요소가 무엇인가에 대한 자료를 제공할 뿐아니라 중국진출에 관심 있는 한국대행사의 간접광고제작 전략마련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Views on the Orientation of Science in Decision-Making Revealed in Undergraduate Students' Discussion on Socio-Scientific Issues

  • Jho, Hunkoog;Song, Jinwoong;Levinson, Ralph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81-596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udents' views on the orientation of scienc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views and decision-mak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SSI). In this study, 27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a science course were asked to discuss four controversial issues: the Toyota recall, the green car, the global warming and swine influenza (influenza A (H1N1)). The study was comprised of two stages. At the first stage, we examined students'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and on the orientation of science with the open-ended questionnaire based on VNOS and VOSTS. While they held relatively similar views on the nature of science, their views on the orientation of science were distinct as pragmatic, intrinsic, communal and ethical views. At the second stage, to examine the role of their views on the orientation of science in decision-making, we selected four students who had similar views on NOS but different views on the orientation of science. The four students were selected from each group of views on the orientation of science and their decision-making processes were analyzed following grounded theory. Across SSIs, they relied upon their views on the orientation of science as the strategies for decision, though considered different perception, and causal and contextual conditions. This study indicates that understanding students' views on the orientation of science would be helpful for achieving scientific literacy for informed decision.

주얼리 디자인 전공 교육의 비젼과 실무를 통한 문화경영 (Culture Management through Vision and Practical of Jewelry Design Education)

  • 심관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1호
    • /
    • pp.140-149
    • /
    • 2007
  • 주얼리(Jewelry) 관련 산업 사회인식전환은 교육이론과 실무자의 책임의식 변화가 선행 되어야 한다. 이 논문은 주얼리 산업 중 주얼리 디자인에 관한 관심과 증가가 이어져 문화경영으로서 비젼(Vision)과 가능성을 가져 올 것인가에 대한 논의로 주얼리 디자인의 논리적 체계화와 주얼리 디자이너의 윤리적 교육과정이 차세대 주얼리 문화산업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세계의 주얼리 산업 중 이탈리아의 주얼리 교육과 산업을 통해 주얼리 디자인의 존재방식과 최근 트렌드, 소비 형태에 따른 디자인 경영의 새로운 콘텐츠와 사례들을 들어 분석함으로서 국가적 경쟁력을 넘어 선 미래의 문화 산업으로의 발전 가능성과 그에 동반하는 주얼리 교육의 윤리적 철학의 기초를 제공하였다. 디자이너의 지각과 행동이 디자인의 존재방식과 경영에 공감과 감성이라는 주얼리 디자인의 새로운 전통의 기반을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찾고자 한다.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조사 연구 (Study on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of Biotechnology)

  • 송신철;심규철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23권1호
    • /
    • pp.99-111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biotechnolog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9th and 10th grad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The survey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a 26-item questionnaire that was designed to measure students' perceptions regarding biotechnology. The study revealed that students' perceptions were positive toward the use of biotechnology on biological objects such as plant, grain and microbes. However, their perceptions were negative toward the use of biotechnology on humans and animals. Male students' perceptions were more positive than female student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p<.01).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use of biotechnology in the development of beneficial products. However, male students' perceptions were more positive than female students(p<.01). Female students' perceptions were slightly more negative than males and they indicated a measure of caution in the development of beneficial products using biotechnology. Regarding the reliability of biotechnological information acquired from food companies, TV broadcasters, and entertainers, male and female students tended to be highly negative. Students perceived that environmental, religious and ethical issues did not affect the use of biotechnology when asked the effect of these factors on the use of biotechnology. They perceived that food safety and genetic factors of microbes did affect the use of biotechnology. Thus, the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based on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s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of this study be established and the use of media,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and materials be promoted in order to enhance student's performan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 PDF

국가연구개발과제 생명의학윤리 감독체계에 대한 인식조사 및 제언 (Perceptions held by Investigators, IRB Members and IRB Administrators on the Bioethical Oversight System of National R&D Projects)

  • 강영희;이상미;권광일;김은영;허우성
    • 한국임상약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35-143
    • /
    • 2014
  • Purpose: Aim of this study was to gather and evaluate perceptions of investigators, IRB members, and IRB administrators on the appropriateness of IRB review process and bioethical oversight system of national R&D (NR&D) projects. Method: Investigators, IRB members, and IRB administrators at 17 different institutions were survey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and survey questionnaires were partially group-specialized to consider any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Results: Participants included 29 investigators, 37 IRB members, and 17 administrators with response rate of 100% (83 of 83). According to the responses obtained, insufficient preparation time for constructing protocol and gaining IRB approval was one of the main problems in the IRB review process (investigator 79.3%, IRB administrator 88.2%). Also, discrepancy between NR&D and IRB's protocol formats was another major issue (IRB members 96.4%, IRB administrator 100%) and most investigators (89.7%) had to modify the original NR&D protocol to obtain IRB approval. Moreover, it was reported that 13.8% of investigators and 31.3% of IRB administrators did not submit midyear reports to IRB and for bioethical issues of NR&D projects, 17.2% of investigators did not include information on project status and safety issues in the annual reports. Conclusion: In conclusion, for successful and ethical completion of R&D projects, revision of both IRB review process and NR&D project protocol formats as well as implementation of appropriate bioethical oversights are necessary.

BEHAVIORAL CHANGES IN KOREA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LLOWING BASIC EDUCATION IN MEDICAL RADIATION

  • Han, Eun Ok;Kim, Jae Rok;Kye, Suh Youn;Choi, Yoon Seok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0권1호
    • /
    • pp.36-45
    • /
    • 2015
  • by providing objective information regarding medical radiation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who are expected to have a high ripple effect in education, and by analyzing behavioral changes in the selection of medical radiation, this study aimed to deduce the basis for educational intervention. The tools used in the study were a questionnaire, including questions about perception,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toward medical radiation; video and Power-point materials for the lesson; simulated radiation diagnosis selection form; and radiation treatment selection form to find out about behavior. A post-test demonstrated that the objective knowledge about medical radiation of all the students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higher (p<0.000) after the lesson compared to before the lesson. However,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behavioral changes. Rather, for high school students, the behavior of selecting medical radiography and treatment was significantly lower (p<0.000) after the lesson. For the more impressionable children in the lower grades, the lesson must not only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and pay attention to diverse viewpoints, but also encourage them to make ethical decisions based on value. Since it can be predicted that attitude or behavioral changes through education or publicity can be expected from adults older than high school students, issues regarding dangers like radiation exposure must be treated as an issue of value judgment predicated on multifaceted considerations.

인터넷 저작권 침해 보호에 관한 연구 -저작권 침해에 대한 처벌 및 윤리의식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Online Piracy Protection -Focusing on Punishment and Moral Obligation-)

  • 박주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호
    • /
    • pp.145-151
    • /
    • 2013
  • 최근 인터넷의 사용이 일반화되면서 온라인상의 저작물을 무분별하게 다운받거나 재사용하는 사례가 증가하면서 온라인 저작물 침해에 대한 보호정책이 시급해졌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저작권 침해에 대한 보호책으로 강화되고 있는 법적규제 및 처벌과 저작물 침해에 대한 윤리의식 고취가 온라인 사용자의 행동과 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연구를 통해 분석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온라인 침해에 대한 합리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온라인 침해와 올바른 사용에 대한 도덕적, 윤리적인 학습과 제도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처벌과 윤리의식 모두 사용자의 저작권 침해행위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사용자의 윤리의식이 저작물 침해행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 영화가 인물과 역사를 소환하는 한 방식에 대해 - 영화 <황금시대>를 중심으로 (On a Way in which Biographical Film Summons Character and History - Focusing on the Film, The Golden Era -)

  • 진성희
    • 비교문화연구
    • /
    • 제39권
    • /
    • pp.287-308
    • /
    • 2015
  • Biographical film is a genre narrativizing the actual person and history, and reproducing the character and history in a biographical film is in a dimension different from a film focused on a fiction. Discussion between these methods of narrative composition and image reproduction in a biographical film is also, in line with artistic/aesthetic problems and ethical/philosophical theses of the film text. This study discusses the phase of the way of reproduction of the actual person, $Xi{\bar{a}}o$ $H{\acute{o}}ng$ in the biographical film, The Golden Era and the time she lived in a biographical film and how the audience's discussion of the film and socio-cultural discourse differ depending on their attitude towards the cinematic introspection of the text. The narrative structure, the method of image reproduction and cinematic devices of the film, The Golden Era are completely off the point of the general format of the traditional biographical film. In The Golden Era, $Xi{\bar{a}}o$ $H{\acute{o}}ng$ and the history which she lived in did not revive depending on an omniscient subject's selective statement and meta-film structure. Ann Hui removed general, mythic images of $Xi{\bar{a}}o$ $H{\acute{o}}ng$ formed in the field of traditional Chinese culture and reproduced her through multilateral visions of a real, fictional narrator. Each spectator's judgment and interpretation of the film intervene in the multi-layered and sparse descriptions of the actual person's images and the era of the characters.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approach the uniqueness and authenticity a historical character, $Xi{\bar{a}}o$ $H{\acute{o}}ng$ and to have an opportunity of multi-layered reflection on how to secure a critical distance and make a perception in historical judg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