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tOAc soluble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35초

비수리 지상부로부터 분리한 Flavone glycosides (Flavone Glycosides from the Aerial Parts of Lespedeza cuneata G. Don)

  • 권동주;김진규;함연호;배영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344-347
    • /
    • 2007
  • 비수리 지상부를 95% EtOH 용액으로 추출하고, 추출물을 n-hexane, $CH_2Cl_2$, EtOAc 및 $H_2O$로 용매 분획하였다. 이 중 EtOAc와 $H_2O$ 분획을 대상으로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4개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화합물의 구조는 $^{1}H-NMR$, $^{13}C-NMR$, 2D-NMR 및 MS spectrum을 분석하여, quercetin (1), kaempferol (2), desmodin (3) 및 homoadonivernith (4)로 동정하였으며, 그 중 desmodin (3)과 homoadonivernith (4)는 비수리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침향 추출물의 라디칼 및 췌장 지방분해 효소저해 활성 평가 (Evaluation of free radical scavenging and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effects of Aquilaria agallocha extracts)

  • 이하영;이인철;곽재훈;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437-442
    • /
    • 2015
  • 팥꽃나무과 방향성 수지질의 상록성 교목인 침향을 80% MeOH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CH_2Cl_2$, EtOAc 및 n-BuOH로 순차 용매 분획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녹차의 항산화 성분으로서도 잘 알려져 있는 천연 항산화제인 (+)-catechin을 대조군으로 하여 DPPH, $ABTS^+$ 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활성 평가를 실시한 결과, 항산화 활성은 시료의 처리농도에 비례하게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중에서도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CH_2Cl_2$ 가용부에서 $26.1{\pm}4.4{\mu}g/mL$, EtOAc 가용부에서 $24.8{\pm}3.9{\mu}g/mL$의 우수한 $IC_{50}$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CH_2Cl_2$, EtOAc 및 n-BuOH 가용부에서 각각 $5.3{\pm}0.4{\mu}g/mL$, $5.5{\pm}0.4{\mu}g/mL$ 활성이 확인 되었으며, 총 페놀함량과의 강한 상관관계가 시사되었고 페놀성의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또한, 항비만 활성과 관련된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오일의 형태로 얻어진 $CH_2Cl_2$ 가용부의 $IC_{50}$값은 $1.1{\pm}0.3{\mu}g/mL$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대조군인 orlistat에 비해 약하나 추출물 상태임을 고려할 때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우수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향후 이들 식의약품 소재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자료 수립을 위하여 효소활성을 나타내는 성분들에 대해 활성추적탐색법(activity-guided isolation)에 따라 활성물질을 추적, 분리하는 연구를 통한 효능물질의 동정 및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침향의 식물 화학적 성분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마디풀 추출물의 Pancreatic Lipase 저해 및 항산화 활성 평가 (Pancreatic Lipase Inhibitory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gonum aviculare Extract)

  • 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250-255
    • /
    • 2011
  • 마디풀을 80% ethanol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CHCl_3$, EtOAc 및 n-BuOH로 순차 용매 분획 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및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층의 $100{\mu}g/mL$의 시험농도에서는 $58.1{\pm}2.3%$의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마디풀 추출물에 존재하는 페놀성 화합물이 라디칼 소거능과의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EtOAc층이 $IC_{50}=2.8{\pm}0.5{\mu}g/mL$. $CHCl_3$층이 $IC_{50}=9.2{\pm}0.5{\mu}g/mL$의 강한 활성이 확인되었고, 강력한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또한, pancreatic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강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EtOAc층과 $CHCl_3$층의 $IC_{50}=1.9{\pm}0.2$. $5.7{\pm}1.3{\mu}g/mL$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대조군인 orlistat에 비해 다소 약하나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강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 동정을 통한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보다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및 pancreatic lipas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에 자생하는 마디풀의 식물 화학적 성분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오배자 추출물의 Acetylcholinesterase 저해 및 항산화 활성 평가 (Evaluation of Acetylcholinesterase Inhibitory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hus javanica)

  • 배종섭;이현식;이하영;유병혁;김태완;김용한;김태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51-756
    • /
    • 2012
  • 건조 오배자를 80% MeOH로 침지 추출하여 얻어진 추출물에 대해 n-hexane, EtOAc 및n-BuOH로 순차 용매 분획하였고, 얻어진 결과물에 대하여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및 AChE 저해활성을 평가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EtOAc층에서 $IC_{50}$값이 $10.4{\pm}0.3mg/mL$으로 대조군인 (+)-catechin과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하였고, 오배자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과 라디칼 소거능과의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은 EtOAc층이 $IC_{50}$값이 7.8 mg/mL 이하였고, n-BuOH층이 $IC_{50}=8.5{\pm}0.9mg/mL$으로 상대적으로 우수한 활성이 확인 되었으며, 이는 우수한 활성물질의 존재가 시사되었다. 또한, ACh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우수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낸 EtOAc층의 $IC_{50}$은 각각 31.3 mg/mL 이하의 저해율을 나타내었으며 이는 대조군인 tacrine에 비해 다소 낮으나 분획물일 때의 활성임을 감안할 때 단일물질로 정제할 경우 더욱 우수한 효능의 화합물이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향후 이들 활성물질 동정을 통한 활성 기작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결과는 천연물유래의 우수한 라디칼 소거능 및 AChE 저해능을 가지는 새로운 선도화합물 발굴을 위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배자의 식물 화학적 성분연구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가능하리라 사료된다.

수종 한국산 식용식물의 세포독성 연구 (A Study of Cytotoxicity from Some Korean Edible Plants)

  • 정하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08-113
    • /
    • 1999
  • 참마(Dioscorea japonica Thunb.), 달개비(Commelina communis L.) 전초, 하늘타리(Trichosanthes kiri1owii Max.) 및 둥굴레(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um Ohwi) 뿌리의 MeOH 추출물과 petroleum ether/diethyl ether 및 EtOAc 가용성 용매분획물을 인체 폐암 및 난소선암세포주에 적용하여 암세포주 성장율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하늘타리 뿌리의 MeOH 추출물이 인체 폐암 및 난소선암세포주에 대해 모두 강한 성장억제를 보여주었으며 40$\mu\textrm{g}$/ml의 농도에서 30% 이하의 성장율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용매분획물에 대한 세포독성은 하늘타리의 EtOAc 가용성 분획물에서 폐암과 난소선암세포주에 대한 성장억제율이 30% 이하로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으며, 참마의 EtOAc 가용성 용매분획물이 인체 폐암세포주에 대하여 30% 이하의 높은 성장억제를 나타내고 있다. 그밖에 달개비 전초의 EtOAc 가용성 분획물이 인체 폐암세포주에 대해 30%에서 60%의 성장율을 나타내고, 둥굴레 뿌리의 petroleum ether/diethyl ether 및 EtOAc 분획물이 인체 난소선암세포주에 대해 동일한 정도의 성장율을 보여주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한국산 야생식용식물로 부터 세포 독성작용을 갖는 새로운 식품 개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을 뿐 아니라, 이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로서 폐암 및 난소선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작용이 가장 강하게 나타난 하늘타리 및 참마의 EtOAc 용매 세분획물을 이용하여 활성이 높은 순수 물질을 분리하므로 추후 새로운 항암활성 물질 연구를 위한 후보식물로서의 개발가능성을 보여주었다.

  • PDF

신선초에 함유된 항산화활성물질 Psoralen 유도체들의 단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Two Psoralen Derivatives as Antioxidative Compounds from the Aerial Parts of Angelica keiskei)

  • 김소중;조정용;위지향;장미영;임요섭;김철;신수철;문제학;박근형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56-659
    • /
    • 2005
  • 신선초의 기능성 해명과 유용 기능성성분 탐색연구의 일환으로 신선초 지상부로부터 항산화활성물질을 분리하여 구조 해석하였다. 신선초 지상부의 열수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ethyl acetate 가용 중성획분을 얻었다. 이를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와 HPLC로 정제하여 항산화활성물질 2종을 단리하고, 그들 각각의 화합물을 대상으로 FAB-MS와 NMR 분석을 실시한 결과, pseudoisopsoralen과 8-methoxypsoralen(xanthotoxin)으로 동정하였다.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Linnaeus) 잎의 추출성분 (Extractives from the leaves of Thuja orientalis Linnaeus)

  • 이상극;김진규;함연호;배영수
    • 임산에너지
    • /
    • 제21권1호
    • /
    • pp.56-64
    • /
    • 2002
  • 측백나무 잎을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분말로 제조하여 아세톤-물(7:3, v/v)로 추출하고 hexane, CH₂C1₂, EtOAc, 그리고 수용성으로 분획하여 동결건조 시켰다. 그 중에서 EtOAc 분획을 Sephadex LH-20으로 충진한 칼럼에서 메탄올과 에탄올-헥산 혼합액을 용리용매로 사용하여 칼럼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하였다. 단리된 화합물들은 TLC로 확인한 후 NMR스펙트럼을 사용하여 정확한 구조규명을 하였고 FAB-MS로써 분자량을 측정하였다. 주로 quercetin-3-O-a-L-rhamnopyranoside와 myricetin-3-O-α-L-rhamnopyranoside 같은 flavononol 유도체들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었으며 비교적 적은 양의 (+)-catechin과 (+)-gallocatechin 같은 flavan 화합물들도 함께 단리 되었다. 각 분획물들과 단리된 화합물들은 DPPH 라디칼 소거법을 이용하여 항산화실험을 실시하였으며, 모두 우수한 항산화 효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산 겨우살이 전초의 Methanol 추출물로부터 암세포증식 저해성분의 분리 (Active Principles of the Methanol Extract of Korean Mistletoe Responsible for the Inhibitory Effect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Tumor Cell Lines)

  • 서지희;최연희;김정숙;김성기;최상운;김영섭;김영균;김성훈;유시용
    • 생약학회지
    • /
    • 제35권2호통권137호
    • /
    • pp.134-138
    • /
    • 2004
  • A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of the whole extract of Viscum album var. coloratum Ohwi (Loranthaceae) led to the isolation of two triterpenoidal components; oleanolic acid (1) and ${\beta}-amyrin$ acetate (2), and a flavonoid, homoflavoyadorinin B (3) as well as large quantity of free fatty acid mixtures as active ingredients of the extract responsible for the antitumoral property. The EtOAc soluble fraction and BuOH soluble fraction of the extract demonstrated a significant inhibition on the proliferation of cultured human tumor cells such as A549 (non small cell lung), SK-OV-3 (ovary), SK-MEL-2 (melanoma), XF498 (central nerve system), and HCT-15 (colon) in vitro, whereas the remaining water soluble fraction exhibited a poor inhibition. The intensive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EtOAc soluble fraction and BuOH soluble fraction of the extract indicated that the oleanolic acid (1) and large amounts of free fatty acid mixtures might be attributed to the in vitro antitumoral property of the whole extract of Viscum album var. coloratum.

두충(杜沖) 추출물의 암세포증식 저해효과 (Inhibitory Effects of the Stem Bark Extract of Eucommia ulmoides on the Proliferation of Human Tumor Cell Lines)

  • 최연희;서지희;김정숙;허정희;김성기;최상운;김영섭;김영균;유시용
    • 생약학회지
    • /
    • 제34권4호통권135호
    • /
    • pp.308-313
    • /
    • 2003
  • A bioassay-guided fractionation of the stem bark extract of Eucommia ulmoides Oliver (Eucommiaceae) led to the isolation of three iridoid constituents, genipin (1), geniposide (3), geniposidic acid (4) as well as $({\pm})-guaiacylglycerol$ (2) and fatty acid mixtures as active ingredients of the extract responsible for the antitumoral property. The EtOAc soluble part and BuOH soluble part of the extract demonstrated a potent inhibition on the proliferation of cultured human tumor cells such as A549 (non small cell lung), SK-OV-3 (ovary), SK-MEL-2 (melanoma), XF498 (central nerve system) and HCT-15 (colon) in vitro, whereas the remaining water soluble part exhibited a poor inhibition. The intensive investigation of the EtOAc soluble part and BuOH soluble part of the extract yielded genipin, guaiacylglycerol, geniposide, geniposidic acid and large amounts of fatty acid mixtures as active compon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