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cherichia coli O157:H7

검색결과 373건 처리시간 0.038초

농산물 접촉 표면 재질에 따른 Escherichia coli O157:H7의 생존 및 상추로의 교차오염도 조사 (Survival and Cross-contamin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on Various Agricultural Product-Contact Surfaces)

  • 김세리;최송이;서민경;김원일;정덕화;류경열;윤종철;김병석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2-278
    • /
    • 2013
  • 본 연구는 polyvinyl chroride (PVC)와 stainless steel 표면에서 E. coli O157:H7의 부착, 바이오필름형성, 온 습도에 따른 생존율을 조사하고, E. coli O157:H7이 오염된 작업대 표면에서 상추로의 교차오염도 조사를 통하여 E. coli O157:H7에 오염된 작업대가 상추의 미생물학적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작업대 표면 재질인 PVC와 stainless steel에 E. coli O157:H7 배양액을 1시간 노출시켰을 때, PVC의 경우, stainless steel 보다 10배 정도 부착력이 높았으나, 6시간째는 두 재질간의 차이가 없었다. 또한, E. coli O157:H7의 바이오필름 형성은 TSB > 10% 상추추출액 > 1% 상추추출액 > phosphate buffer 순이었으며, 재질별로는 PVC에서 바이오필름형성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도 $20^{\circ}C$, $30^{\circ}C$, 습도 43%, 69%, 100%에서 각각 노출 시켰을 때, E. coli O157:H7은 온도 $30^{\circ}C$, 습도 43%, 69% 조건에서 12시간 내에 약 5.0 log CFU/coupon이 감소한데 반해, 상대습도 100%에서는 농도의 큰 변화 없이 5일 이상 생존이 지속되었다. 또한, 유기물이 작업대 표면에 존재 시, E. coli O157:H7의 감소 속도가 느렸다. E. coli O157:H7에 오염된 작업대에 상추를 접촉시키고 상추의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상추 표면에 수분이 존재할 때 오염된 작업대 표면에서 E. coli O157:H7의 이동수준이 상추에 수분이 없을 때 보다 10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E. coli O157:H7에 오염된 작업대는 상추의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작업 후에 세척, 소독을 통하여 위생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과산화수소와 유산ol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및 Listeria monocytogenes의 증식 억제에 미치는 영향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by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 장재선;이미연;이제만;김용희
    • 환경위생공학
    • /
    • 제19권4호
    • /
    • pp.69-75
    • /
    • 2004
  • The inhibitory effect of the food processing agent on growth of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Enteritidis, and Listeria monocytogenes was performed with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and combination of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The minimun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hydrogen peroxide in E coli O157:H7 was 100 ppm at pH 5.0, 6.0, 6.5 and 7.0, while in Listeria monocytogenes 25 ppm at PH 5.5, 6.0 and 50 ppm at PH 6.5, 75ppm at pH 7.0. MIC of lactic acid in E coli O157:H7 was 2500 ppm at pH 5.0, 6.0, 6.5 and 7.0. MIC of lactic acid in S. Enteritidis was 1250 ppm at pH 5.0, 2500 ppm at pH 5.5, 6.0, 5.5 and 7.0, while in L monocytogenes 625 ppm at pH 5.5 and 125 ppm at pH 6.0, 6.5 and 7.0. MIC of combined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in E. coli O157:H7, S. Enteritidis, and L. monocytogenes was 75 ppm of hydrogen peroxide with 2500 ppm of lactic acid at pH 6.5. The correlations between MICs of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in E. coli O157:H7, S. Enteritidis and L. monocytogene were obtained throug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 $R^2$ value were 0.9994, 0.9935 and 0.9283, respectively. The inhibitory effect of hydrogen peroxide and lactic acid in E. coli O157:H7, S. Enteritidis and L. monocytogenes could be confirmed from the result of this experiment.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he food process would increase or maintain by using lactic acid together with hydrogen peroxide.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Inoculated on Chicken by Aqueous Chlorine Dioxide Treatment

  • Hong, Yun-Hee;Ku, Kyoung-Ju;Kim, Min-Ki;Won, Mi-Sun;Chung, Kyung-Sook;Song, Kyung-B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4호
    • /
    • pp.742-745
    • /
    • 2008
  •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was evaluated on inoculated chicken by aqueous chlorine dioxide ($CIO_2$) treatment. Chicken samples were inoculated with 6-7 log CFU/g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respectively. The chicken samples were then treated with 0, 50, and 100 ppm of $CIO_2$ solution and stored at $4{\pm}1^{\circ}C$. Aqueous $CIO_2$ treatment decreased the populations of the pathogenic bacteria on the chicken breast and drumstick. In particular, 100 ppm $CIO_2$ treatment on the chicken breast and drumstick reduced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by 1.00-1.27 and 1.37-1.44 log CFU/g, respectively. Aqueous $CIO_2$ treatment on the growth of the bacteria was continuously in effect during storage,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the populations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These results suggest that aqueous $CIO_2$ treatment should be useful in improving the microbial safety of chicken during storage.

Image Analysis of a Lateral Flow Strip Sensor for the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 Kim, Giyoung;Moon, Ji-Hea;Park, Saet Byeol;Jang, Youn-Jung;Lim, Jongguk;Mo, Changyeu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38권4호
    • /
    • pp.335-340
    • /
    • 2013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 lateral flow strip sensor for the detection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O157:H7 in various samples. Also, feasibility of using an image analysis method to improve the interpretation of the strip sensor was evaluated. Methods: The lateral flow strip sensor has been fabricated based on nitrocellulose lateral-flow membrane. Colloidal gold and E. coli O157:H7 antibodies were used as a tag and a receptor, respectively. Manually spotted E. coli O157:H7 antibody and anti-mouse antibody on nitrocellulose membrane were used as test and control dots, respectively. Feasibility of the lateral flow strip sensor to detect E. coli O157:H7 were evaluated with serially diluted E. coli O157:H7 cells in PBS or food samples. Test results of the lateral flow strip sensor were measured with an image analysis method. Results: The intensity of the test dot started to increase with higher concentration of the cells were introduced. The sensitivities of the sensor were both $10^4$ CFU/mL Escherichia coli O157:H7 spiked in PBS and in chicken meat extract,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lateral flow strip sensor and image analysis method could detect E. coli O157:H7 in 20 min, which is significantly quicker than conventional plate counting method.

동물분변에서 Escherichia coli O157:H7의 분리 및 이들 균이 생산하는 Verotoxin-2의 생물화학적 특성 II. 동물분변에서 분리한 Escherichia coli O157:H7으로부터 Verotoxin-2의 정제 및 특성 (Isol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from animal feces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erotoxin-2 produced by these strains II.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erotoxin-2 Produced by Escherichia coli O157:H7 Isolated from animal feces)

  • 차인호;김용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79-387
    • /
    • 1996
  • The o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stablish the method of purification, subunit dissociation of verotoxin-2 (VT2) produced by Escherichia coli O157:H7, an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urified verotoxin-2 such as molecular weight and composition of amino acid.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Verotoxin-2 was extracted by addition of polymyxin B sulfate into bacterial cell lysate prepared from Escherichia coli O157:H7(KSC109). As an initial step, the bacterial cell lysate was precipitated with 30% saturated ammonium sulfate. The precipitated crude toxin was then subjected to anion-exchange, chromatofocusing and cation-exchange chromatography. Using this scheme, we obtained highly purified toxin with a specific activity of $1.1{\times}10^9$ $CD_{50}/mg$. Sodium dodecyl sulfat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SDS-PAGE) for purified VT2 showed two protein bands. The upper band, approximately 32 Kd, was supposed as A subunit and the lower band, approximately 7.7 Kd, was supposed as B subunit. When the toxin was separated in the subunit-dissociating solution, two peaks emerged with retention times of 15 and 28 min by HPLC. These peaks represented A subunit and B subunit, respectively. The amino acid composition of purified VT2 were made up in order of glutamic acid, histamine, asparaginic acid, histidine, lysine, alanine and leucine etc. The largest amount among the amino acid composing VT2 was methionine.

  • PDF

전자선 조사에 의한 동결육에 오염된 Escherichia coli O157:H7 의 제거 (Elimin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Contaminated in Frozen Beef by Electron Beam Irradiation)

  • 권오진;양재승;임성일;변명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771-775
    • /
    • 1997
  • 본 연구는 병원성 Escherichia coli O157:H7 균주에 의한 식중독을 미연에 예방하고자 우육에 본 균주를 오염, 동결시켜 전자선에 의한 살균효과를 조사하였다. $37^{\circ}C$에서는 배양 16시간째에 최대균수를 나타내었고 $4^{\circ}C$에서는 균주의 증식이 거의 없었다. E. coli O157:H7 균주는 대수기나 정지기 모두가 $0^{\circ}C$ (chilled)와 $-18^{\circ}C$ (frozen)에서 배양시 약 $10^{7}\;CFU/mL$의 균수를 나타내었고 $-18^{\circ}C$에서는 $20^{\circ}C$ 보다 균주의 사멸율이 높았다. 동결육에 오염된 E. coli O157:H7 균주의 방사선 감수성은 $D_{(10)}$ 값이 0.45 kGy, 불활성화계수가 $3{\sim}5\;kGy$에서 $6.67{\sim}11.11$로 각각 나타났다. 본 결과로서 전자선 조사는 동결육에 오염된 E. coli O157:H7 균주의 제거방법으로 매우 효과가 있었다.

  • PDF

후춧가루에 인위접종된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에 대한 UV-C와 mild heat의 살균 효과 (Combination Effect of UV-C and Mild Heat Treatment Against Artificially Inoculated Escherichia coli O157:H7, Salmonella Typhimurium on Black Pepper Powder)

  • 곽승해;김진희;오세욱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95-499
    • /
    • 2018
  • 후춧가루에 존재하는 식중독 균을 저감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UV-C와 mild heat를 병합 처리 가능성을 타진하였다. Escherichia coli O157:H7 (ATCC 35150)와 Salmonella Typhimurium (ATCC 19585)를 후춧가루에 각각 $10^6$, $10^7CFU/g$ 수준으로 인위접종하여 $2.32W/cm^2$의 UV-C와 $60^{\circ}C$의 mild heat을 10분에서 70분 동안 처리하였다. 그 후 미생물 분석 및 후춧가루의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UV-C를 단독으로 70분 동안 처리했을 때 E. coli O157:H7과 S. Typhimurium는 각각 1.89, 2.24 log CFU/g 수준으로 감소하였지만, UV-C와 mild heat을 70분 동안 병합처리 했을 때는 각각 2.46, 5.70 log CFU/g으로 감소하였다. E. coli O157:H7 보다는 S. Typhimurium의 저감효과가 더 컸다. 색도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UV-C와 mild heat 병합처리는 후춧가루에 존재하는 식중독 균을 사멸시키는 데 효과적이기 때문에 산업적인 살균처리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마늘즙의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작용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Juice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 김명희;김소영;신원선;이준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752-755
    • /
    • 2003
  • E. coli O157:H7에 대한 마늘즙액의 항균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늘즙액의 처리량을 농도별 조건을 달리한 후 생균수 측정을 실시하였다. 마늘즙액 농도가 1%에서는 첨가하지 않았을 때에 비해 E. coli O157:H7의 생균수가 약간 줄어들었으나 마늘즙 처리량이 3%에서는 약 5 log, 마늘즙 처리량이 5%로 증가했을 때는 약 6 log의 생균수 감소를 보였다. 마늘즙의 식육내 항균작용 효과를 알아본 결과, 저육에서 3%, 6%, 10%의 마늘즙 농도별 차이에 따른 E. coli O157:H7에 대한 항균효과는 크게 다르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마늘즙의 가장 뚜렷한 저해 효과는 저장 9일에 나타나 약 2 log의 생균수 감소가 관찰되었다. 저장 9일 이후에는 E. coli O157:H7의 생균수가 다시 증가하는 것으로 미루어 마늘즙의 항균 효과가 소실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본 실험의 결과, 마늘의 조미료로써의 기능과 더불어 천연 방부제로써의 항균효과에 관한 기초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쇠고기중 Escherichia coli O157:H7 신속검출을 위한 multiplex - PCR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a multiplex-PCR for the rapid detec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from raw beef)

  • 정석찬;정병열;윤장원;조윤상;김종염;박용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73-181
    • /
    • 1998
  • Esherichia coli O157 : H7의 slt I, slt II, uid A 및 eaeA 4종 유전자를 동시에 검출하기 위한 multiplex PCR 기법을 확립하고 쇠고기중 직접 E coli O157 : H7 검출시험을 실시하였다. 4 set의 primers를 이용한 multiplex PCR 기법으로 31종의 장내세균에 대한 특이성을 조사한 결과 E coli O157 : H7 에서 1,087bp (eae A), 584bp (slt II), 348bp (slt I) 또는 252bp (uid A)크기의 DNA를 동시에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E coli O157 : H7 15주는 모두 uid A 및 eae A 유전자가 동시에 검출되었고, 다른 장내세균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slt I 또는 slt II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E coli 표준균주 24종을 이용하여 multiplex PCR 기법과 Vero cell cytotoxicity assay을 비교검사한 결과 베로톡신 산생능과 PCR법의 결과는 일치하였다. mutiplex PCR 기법의 쇠고기중 검출한계는 modified EC(mEC)에서 증균없이는 E coli O157 : H7균 $10^4cells/g$ 이상에서 검출이 가능하였으나 mEC에 1차 증균후 modified TSB 증균하였을 경우에는 10cells/g이하까지도 검출이 가능하였다. 개발된 multiplex PCR 기법을 쇠고기 40종에 직접 적용한 결과 E coli O157 : H7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slt I 및 slt II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E coli 4종이 검출되었으며, 이들의 혈청형은 O6, O112, O115 및 O139 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된 multiplex PCR은 쇠고기중 E coli O157 : H7을 신속하고 특이적으로 검출하는데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정상 소 분변에서 분리한 verotoxin을 산생하지 않는 Escherichia coli O157과 verotoxin을 산생하는 E coli의 특성 조사 (Characteristics of verotoxin non-producing Escherichia coli O157 and verotoxin-producing E coli isolated from healthy cattle)

  • 정병열;정석찬;박홍제;조길재;김봉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525-531
    • /
    • 2000
  • Verotoxin을 산생하지 않은 Escherichia coli O157과 verotoxin을 산생하는 E coli(VTEC)를 건강한 소의 분변에서 분리하여 생화학적 및 유전적인 특성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E coli O157 : nonH7(운동성은 있으나 H혈청형이 7이 아님)의 sorbitol 분해능과 ${\beta}-glucurondase$ 활성은 E coli O157 : H7이 나타내는 것과는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uidA 유전자는 verotoxin 산생능과 상관없이 sorbitol과 ${\beta}-glucuronidase$ 음성인 E coli O157 : H7에서 특이적으로 검출되었다. 한편 6개 목장에서 수거한 소 분변 45예에서 VTEC를 분리한 결과, 7주(15.6%)가 분리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sorbitol을 분해하였으며 ${\beta}-glucurondase$ 활성이 있었으나 장벽 부착인자를 지배하는 eaeA 유전자가 없었다. 비록 소가 VTEC의 보균원으로 추정되나, 정상 소에서 분리한 VTEC는 eaeA 유전자가 결여된 균주가 많으므로 공중위생학상 eaeA 유전자를 보유한 E coli 보다 위해성이 낮으며, 이러한 결과는 왜 사람에서 유행하는 VTEC 혈청형과 소에서 유행하는 것과 차이가 있는지를 일부 설명해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