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cherichia coli

검색결과 4,623건 처리시간 0.047초

인공 대수층내에서 발생하는 해수침투의 지화학적 분석 및 병원성 지표 미생물의 사멸 특성 (Geochemical Analysis and Fates of Pathogenic Indicating Bacteria on Seawater Intrusion in a Sand Box Model)

  • 이소정;박헌주;성은혜;소명호;김창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85-392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해수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실험실에서 제조한 하수 방류수를 이용하였으며, 각각의 함양 및 양수 조건에 따른 해수침투 진행 과정을 지표미생물인 Escherichia coli와 Enterococcus faecalis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해수침투의 대표적인 화학적 지표인자인 Cl$^-$와 Ca$^{2+}$, Mg$^{2+}$ 및 비전도도값 등은 해수에 의해 인공 대수층내의 지질매체와 양이온간의 이온 교환이 발생되는 수조 내에서 동시에 분석되었다. 지표 생물로 이용된 Escherichia coli와 Enterococcus faecalis 모두 해수침투에 따라 증가하는 염분 농도에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며, Enterococcus faecalis의 경우 Escherichia coli 보다 염분 농도에 더 큰 저항을 보였다. 시간에 따른 Enterococcus faecalis / Escherichia coli 값은 함양과 양수가 10 mL/min으로 동일할 경우에는 E. coli 초기 주입 농도가 90% 이상의 사멸을 보이는 18시간 이후에 50$\sim$100배 이상으로 증가하였다. 그러나 함양과 양수가 5 mL/min의 경우에는 E. coli의 완만한 사멸율로 인해 운전 시간 내내 2.5$\sim$5.0 사이의 일정한 비를 유지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분석된 염소 이온과 비전도도, Ca$^{2+}$ 및 Mg$^{2+}$농도는 서로간에 0.9 이상의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인공 해수가 인공 대수층내로 침투되면서 일어나는 양이온 교환 반응의 진행 여부는 음의 $\Delta$Na, $\Delta$Mg값과 양의 $\Delta$Ca의 관측을 통해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자외선.오존 살균소독장치의 유체시뮬레이션 및 대장균 제거 특성 (The Hydraulic simulation and removal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for Ultraviolet rays.Ozone sterilization apparatus)

  • 황인아;이현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전문대학교육위원
    • /
    • pp.169-172
    • /
    • 2005
  • The simulation of Hydraulic pressure distribution of discharge tube with globular beads and the removal characteristic of Escherichia coli by the discharge tube with globular beads were estimated. The removal characteristic of Escherichia coli was related to the input voltage because the electric field is increased according to input voltage. As the passing amount of test water in discharge tube is increased, the removal ratio of Escherichia coli was increased because passing numbers of electric field section is increased.

  • PDF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Escherichia coli Adhesin Protein Linked to Cholera Toxin A2/B Subunits in Escherichia coli

  • Lee, Young-Hwa;Ryu, Dong-Kyun;Rhee, Dong-Kwon;Pyo, Suhk-Neu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
    • /
    • pp.309.2-309.2
    • /
    • 2002
  • The FimH subunit of type l-fimbriated Escherichia coli has been determined as a major cause of urinary tract infection. To produce a possible vaccine antigen against urinary tract infection, the fimH gene was genetically coupled to the ctxa2b gene, which was then cloned into pMAL -p2E expression vector. The chimaeric construction of pMALfimH/ctxa2b was transformed into Escherichia coli TB1 and its N-terminal amino acid sequence was analyzed. (omitted)

  • PDF

Polyacryloylcephalexine과 Polymethacryloylcephalexine의 합성 및 그 항균작용 (Synthesis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Polyacryloylcephalexine and Polymethacryloylcephalexine)

  • 유의경;권규혁;차월석;나재운
    • 대한화학회지
    • /
    • 제37권7호
    • /
    • pp.677-682
    • /
    • 1993
  • 방출조절성 약제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polyacrylic acid와 polymethacrylic acid에 thionylchloride로 chlorination하여 cephalexine을 반응시켜 Polyacryloylcephalexine 과 polymethacryloylcephalexine을 합성하였다. Polyacryloylcephalexine 중합체약에 대한 최소 발육 저지 농도로서 항균력은 Micrococcus luteus ATCC 9341과 Escherichia coli ESS이 우수하고, Bacillus subtilis ATCC 6633,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Mycobacterium phlei IFO 3158, Klebsiella pueumouiae KCTC 1560, Escherichia coli KCTC 1039, Salmonella typhimurium KCTC 1925 균주들에 대해서도 항균성이 대체적으로 우수하였다. polymethacryloylcephalexine 중합체약에 대한 최소 발육 저지 농도는 Micrococcus luteus ATCC 9341과 Klebsiella pueumouiae KCTC 1560이 우수하고, Bacillus subtilis ATCC 6633, Staphylococcus aureus ATCC 25923, Mycobacterium phlei IFO 3158, Escherichia coli KCTC 1039, Escherichia coli ESS, Salmonella typhimurium KCTC 1925 균주들에 대해서는 항균력이 양호하였다.

  • PDF

닭에서 분리한 Escherichia coli의 생물화학적 및 배양 특성 (Biochemical properties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isolated from chickens)

  • 우용구;김기석;김봉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21-425
    • /
    • 1990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biochem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isolates from clinically affected chickens during the period from May 1988 to June 1989. A total of 82 E coli cultures were isolated from lesions of 75 chickens with colisepticemia. Biochemical properties of E coli isolates tested were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classification standard; all the isolates showed positive reaction in Catalase, Indol, and Methyl-Red tests, but negative reaction in Oxidase, Urease, $V{\ddot{o}ges$-Proskauer, Citrate utility, $H_2S$, Phenylalanine diaminase, and malonate tests. And the carbohydrate fermentation rates of them were shown to be variable. of the 82 isolates, 48(58.5%) cultures produced colicin to inhibit the indicator strain of E coli.

  • PDF

eae+ Escherichia coli의 항생제 감수성 및 내성 패턴 (Antimicrobial Resistance Profiles of eae Positive Escherichia coli)

  • 이민화;최창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16-119
    • /
    • 2007
  • 돼지로부터 분리한 eae+Escherichia coli 67주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시험 결과, Ne에 41.8%, Li에 74.6%, DFX에 73.1%, ENR에 64.2%, Cef에 98.5%의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총 8종의 항생제에 대한 E. coli의 내성패턴을 분석하였을 때 12가지 내성 패턴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4 제, 3 제 및 6제에 각각 26주(39%), 16 주(24%), 10주(14.9%)로 높았으며, 7종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도 6주(8.9%)가 확인되었다. 본 실험에 의하면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한 항생제의 경우 항생제 내성의 출현이 활발하지 않았으며, 지속적으로 노출된 항생제에 대해서는 감수성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enicillin, Tetracycline, Neomycin은 본 실험에서 100%의 내성을 나타내며 돈육에서 분리되는 대장균간에 내성 전이가 활발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자외선.오존 살균 소독장치 제작을 위한 체시뮬레이션 및 대장균 제거 특성 (Hydraulic Simulation and Removal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for Producing of Ultraviolet rays.Ozone Sterilization Apparatus)

  • 황인아;이현수;박재윤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4권4호
    • /
    • pp.198-202
    • /
    • 2005
  • The simulation of hydraulic pressure distribution of discharge tube with globular beads and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Escherichia coli by the discharge tube with globular beads were estimated. The removal characteristic of Escherichia coli was related to the input voltage because the electric field is increased according to input voltage. As the passing amount of test water in discharge tube is increased, the removal ratio of Escherichia coli was increased because passing numbers of electric field section is increased.

부산지역 하천에서 분리된 장내세균 Escherichia coli와 Klebsiella pneumoniae의 광범위 베타 락탐 분해효소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에 대한 유형별 분류 (Typing of Extended-Spectrum ${\beta}-Lactamase$ of Escherichia coli and Klebsiella pneumoniae Isolated from Rivers in Busan, Korea)

  • 이훈구;김혜진;김군도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16-123
    • /
    • 2007
  • 본 연구는 부산지역 하천에서 plasmid 매개성 광범위 ${\beta}-lactam$ 분해효소(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ESBL$)를 생성하는 세균을 분리하여 생성된 광범위 ${\beta}-lactam$ 분해효소를 유형별로 분류하기 위함이다. Escherichia coli 6균주와 Klebsiella pneumoniae 15균주가 피전달균주인 Escherichia coli J53 $Azid^{R}$에 plasmid 매개성 광범위 ${\beta}-lactam$ 분해효소 생성 인자를 전달하였다. PCR 후 얻은 유전인자를 plasmid로 매개된 광범위 ${\beta}-lactam$ 분해효소 유전자의 염기서열 분석결과, E. coli와 K. pneumoniae 유전자를 BCM Search Launcher 및 GenBank nucleotide database를 통하여 검색한 결과 ESBL 유형은 TEM-52형과 SHV-12형이었다. TEM-52는 E. coli와 K. pneumoniae 양쪽에서 분리되었다. 그러나 SHV-12는 K. pneumoniae에서만 분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plasmid 매개성 광범위 ${\beta}-lactam$ 분해효소를 생성하는 세균이 한국에서는 이미 임상범위를 넘어 자연계까지 확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클론된 Bacillus megaterium ATCC14945의 페니실린 지 아실라제의 발현에 따른 대장균에서의 GroEL의 유도 생산 (Escherichia coli GroEL was Induced by the Expression of the Cloned Bacillus megaterium ATCC14945 Pencillin G Acylase Gene)

  • Hyun, Kang Joo;Kim, Sung Sun;Yoo, Ook Joon
    • 미생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21-424
    • /
    • 1992
  • Bacillus megaterium ATCC14945의 페니실린 지 아실라제 유전자를 갖는 Escherichia coli JM83이 한 종류의 단백질을 대량으로 만들어 내었다(전체 세포 단백질 양의 20%이상). 이 단백질은 아미노 말단의 아미노산 서열 분석을 통해서 E. coli heat protein인 GroEL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 groEL 단백질은 외래의 페니실린 지 아실라제가 발현됨으로써 27과 37도 두 온도에서 생산됨을 알았다.

  • PDF

Poly(3-hydroxybutyrate) Extrusion by Cells of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 Lee, Sang-Yup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147-149
    • /
    • 1996
  • Poly(3-hydroxybutyrate) (PHB) was synthesized and accumulated intracellularly to a high concentration (7 g/l) by cultivating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XL1-Blue (pSYLl05) in a complex medium containing 20 g/l glucose. The morphology of PHB granules was examin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PHB granules synthesized in recombinant E. coli were much larger than reported values for wild type microorganisms, and were often irregularly shaped. Some cells were apparently extruding PHB into the medium, which suggests that PHB granules maintain some fluidity and cells become fragile due to PHB accumu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