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scalator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7초

입사각 추정을 위한 적응 공간영역 FB-예측기 (Adaptive Spatial Domain FB-Predictors for Bearing Estimation)

  • 이원철;박상택;차일환;윤대희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60-166
    • /
    • 1989
  • 공간영역 예측기의 계수를 계산하기 위한 적응 알고리듬이 제안되었다. 제안된 방법은 LMS 알고리듬을 사용하여 TDL(tapped-delay-line)과 ESC(escalator) 구조를 갖는 공간영역 예측기의 계수를 계산한다. 기종존의 일반적인 예측기와 다른점은 순방향과 역방향 예측 오차의 평균 자승값의 합을 최소화하며 예측기의 계수를 계산함으로 향상된 선형예측 공간 스펙트럼을 얻을 수 있다. 제안된 방법을 선형으로 배열된 센서에 의하여 얻어진 협대역신호의 입사각 추정문제에 적용시켜 기존의 적응예측 알고리듬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성능을 비교하였다.

  • PDF

IoT 기반 에스컬레이터 고장 예지 시스템 (IoT-based escalator failure prediction system)

  • 이창호;이창훈;박상현;이유진;김풍일;최상방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6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2호
    • /
    • pp.11-12
    • /
    • 2019
  • 본 논문에서 에스컬레이터 기계실 내부 전동기, 감속기, 구동 체인의 IoT 소음 및 진동 센서를 부착하여 에스컬레이터 운영중 실시간 상태 감시가 가능한 IoT 기반 에스컬레이터 고장 예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IoT 소음 및 진동 센서는 에스컬레이터 운영 중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 데이틀 수집하여 PHM(Prognostics and Health Management) 서버로 전송하며, 서버에서는 진단 알고리즘을 통해 고장 유 무를 판단한다. 소음 데이터를 이용한 체인 피치 길이 알고리즘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제 체인의 길이를 측정한 결과 값과 비교한 결과 99.8% 정확도를 가지며, 진동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동기, 감속기의 상태 판단을 위한 알고리즘 검증을 위해 AST 사의 진동 센서와 비교한 결과 약간의 오차는 발생하지만 ISO 10816-3을 기준으로 한 판단 결과 값은 동일한 결과 값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복합건축의 수직동선 이용자별 효율적인 제3동선의 설정 (The Effective Third Circulation Plan Based on Elevator and Escalator Users Surveys in Mixed-Use Buildings)

  • 이진경;김찬주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2호
    • /
    • pp.3-10
    • /
    • 2019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urvey the effective methodology of composition and connection for the third pedestrian routes in mixed-use building by case studies. The study is performed as follows: First of all, pedestrian routes are classified into malling route, evacuation route, and the Third route. Secondly, case studies are conduct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Thirdly, it is investigated about the composition and connection of the malling and the Third pedestrian route. The investigation is focused on gate, path, central area, vertical circulation(EV and escalator) and the four circulation elements. Finally, the effective methodology is extracted for setting the Third route in mixed-use buildings.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The enhancement of consistency and connection between the main route and the Third route is important for providing convenient paths especially to users who needs shortcut, EV/ES users. Additionally, the connections between EV and gate, between shortcut and EV/ES should be increased to enable users choosing their path as needed.

능동 소오나 환경에서 에스컬레이터 알고리즘을 이용한 잔향음 제거 (The Reverberation cancellation by using escalator algorithm in active sonar systems)

  • 김수언;박경주;유경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제13회 신호처리 합동 학술대회 논문집
    • /
    • pp.779-782
    • /
    • 2000
  • 능동 소오나 시스템에서는 잔향음 제한 환경에서 표적 검출을 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정된 노치 필터로 제거할 수 없는 시 불변성의 잔향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적응형 잡음 제거기가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Gram-Schmidt 직교화과정을 전처리 기법으로 사용하였다. 아울러, 제안된 잔향음 기법을 동해에서 실측한 자료에 적용함으로써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다구찌기법을 이용한 에스컬레이터의 소음저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oise Reduction of Escalator using Taguchi Method)

  • 권이석;박선용;김성대;서장원;김석관;이종원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부산수산대학교, 10 May 1996
    • /
    • pp.142-147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다구찌기법을 이용하여 소음원을 규명하고 생산성의 저하없이 사용자의 어떤 사용조건하에서도 일관된 저소음의 성능 특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소음에 대해 강건성과 안정성을 갖는 설계인자를 규명하였다. 설계인자의 소음에 대한 기여도를 파악하여 파라메터설계, 이동보도와 같은 다른 유형의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과 차세대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선행성을 확보하였다.

  • PDF

쇼핑센터의 경로선택 요인 분석 - 고객 회유동선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actors on Pedestrian Path Choice in Shopping center - Focused on Customer circulation system -)

  • 박순주;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57-162
    • /
    • 2001
  • This Research analyzed with itinerary tracking : two of each other shopping sites were selected as research point. Analyzing the result, pedestrian path choice is affected by direction of escalator, visual information of the object, plain form of passage, presence and absence of companion and proportion of spatial knowledge from experience. The factors affecting pedestrian path choice a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the effects from the environmen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 PDF

AHP를 이용한 철도역세권개발사업의 역사편의시설 중요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imary Factors of Station Building Convenient Facilities for Railroad Station Area Development Using AHP)

  • 고영선;정재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30-738
    • /
    • 2010
  • 철도역세권개발사업은 사업운영자나 시행자, 민간사업자 등 주관적 이해관계에 따라 시설의 중요도가 다양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도 고객만족도 측면에서 철도이용자에 대한 관심이 중요하다. 철도역사 내부시설은 호텔, 백화점, 업무시설, 위락, 편의시설 등을 유치하여 이용자 생활공간으로 만들고, 역사내외 연결통로, 철도, 지하철, 버스, 택시, 자전거 등을 연결한 종합 환승터미널, 보행자 동선 등 이용자의 편리성 시설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도역세권 개발사업의 역사이용시설 편리성면에서 중요인자를 AHP기법을 이용하여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철도 이용자와 철도공사 직원의 비교 분석결과를 보면 가장 상위중 요인자인 역사이용시설 중 직원이나, 시설이용자 모두 동일하게 여객시설, 승강시설을 중요순위로 선택하였다, 세 번째 중요수위는 직원은 이동시설을, 고객들은 위생시설을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중요인자 결과를 살펴보면 직원, 고객 모두 여객시설 중 승강장, 대합실에서는 휴게시설, 승강시설에서는 에스컬레이터, 이동시설에서도 에스컬레이터, 안내시설에서는 점자블록, 부대시설에서는 주차장을 중요하게 선택하였다.

  • PDF

능동 소오나에서 에스컬레이터 알고리즘을 이용한 잔향음 제거 기법 (A Reverberation Cancellation Method Using the Escalator Algorithm in Active Sonar)

  • 박경주;김수언;유경렬;나정열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7-25
    • /
    • 2001
  • 기존의 적응형 잡음제거 기법을 적용하여 잔향음의 영향을 제거하는 경우, 수렴속도, 추적기능, 수치적 안전성, 표적신호와 잔향음 신호간의 상대적인 주파수 특성, 그리고 표적속도 등의 상호 배반적인 요인에 의하여 그 성능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수렴속도, 연산량 그리고 검출능력 등의 요구조건들을 상호 보완하는 적응형 잔향음 제거 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기법은 변환영역에서 동작하도록 설계하였으며, Gram-schmidt 직교화 과정을 적용하였고, 이를 에스컬레이터 알고리즘으로 구현하였다. 먼저 변환영역 알고리즘을 사용함으로써 수렴속도와 수치적 안전성 혹은 연산량 측면에서의 성능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 제안된 잔향음 제거 기법을 삼척시 연안에서 실측한 자료에 적용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기법이 잔향음 신호에 근접한 주파수 대역의 표적신호를 보존하고, 정지표적과 이동표적에 대해서도 성능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적으면서 효율적으로 잔향음을 제거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PDF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한 지하철 역사 동선 분리 시스템의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Walking Guidance System in Subway Stations using Genetic Algorithm)

  • 김진호;이주용;김태완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617-624
    • /
    • 2015
  • 지하철 역사 내 계단, 통로, 그리고 에스컬레이터 등의 보행 시설물에서 발생하는 서로 다른 방향의 보행교통류간 상충은 보행자의 편의와 이동성을 감소시킨다. 또한, 각 시설물별 지체 시간과 대기 행렬의 증가를 수반함에 따라 역사의 이용효율을 저하시키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보행교통류간의 동선이 겹치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동선을 방향에 따라 적절히 분리해줄 경우 완화될 수 있다. 하지만 우선 동선 분리의 기준과 그 방법론에 대한 정립이 선행되어야 한다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단, 통로 그리고 에스컬레이터로 분류되는 각 시설물의 입구를 기준으로 방향별 대기 행렬과 지체시간을 도출하였다. 이 때, 시설물의 보행교통류는 양방향으로 존재하므로 지체시간은 각 방향별 유입 인원에 따라 가중 평균한 값을 활용하였다. 또한 동선 분리 시스템의 운영을 최적화하기 위해 유전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보행자의 지체시간을 최소화하였다.

대형 의류매장의 경로선택에 관한 분석적 연구 - 3개 매장 고객동선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Pedestrian Path Choice in Clothing Outlets - Focused on the Three Sample Outlet Customer Circulation System -)

  • 박순주;정성욱;임채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8호
    • /
    • pp.140-148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of efficient flow line arrangement, which results from examining the factors of route choice with a focus on the store' space elements and pedestrian activity patterns in the outlets. The route tracking is applied to grasp pedestrian activity patterns, therefore, a concrete analysis into influential factors of the space structure arrangement and forms on route choice. The route tracking is a means to understand pedestrian activity patterns by establishing an unrecognizable space and examining every route in the investigating area for pedestrian activity pattern research. Three sample stores have different systems in the ground plan structures, the escalator location and the directions. The analysis focuses on the booth arrangement and shopping patterns. In conclusion, route choice of the customers and the structure of the space are quite closely related and affect the quality of shopping. This can suggest evidence for the need of the space structure to meet the pedestrian activity patter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