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quivalent temperature

검색결과 968건 처리시간 0.039초

Effect of production level and source of fat supplement on performance, nutrient digestibility and blood parameters of heat-stressed Holstein cows

  • Akhlaghi, Behzad;Ghorbani, Gholam Reza;Alikhani, Masoud;Kargar, Shahryar;Sadeghi-Sefidmazgi, Ali;Rafiee-Yarandi, Hassan;Rezamand, Pedram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1권6호
    • /
    • pp.313-323
    • /
    • 2019
  • The interactive effect of dietary fat supplementation and milk yield level on dairy cows performance under heat stress has not been thoroughly investig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production level, the source of fat supplements and their interaction on dairy cows performance under heat stress. In this study, 64 Holstein multiparous cows were divided into 2 groups and received one of two rations having either calcium salts of fatty acids (Ca-FA) or high-palmitic acid (PA) supplements (2.8% of DM; dry matter). After completing the experiment and based on maturity-equivalent milk, cow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f high-yielding (14,633 kg) and medium-yielding (11,616 kg). Average temperature humidity index (THI) was 71 during the trial period. Apparent digestibility of dry matter (p = 0.04), organic matter (p = 0.05),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p = 0.04) for cows fed Ca-FA were greater than cows fed PA. The milk fat content in high-producing cows was 0.3% greater than medium-producing cows (p = 0.03). The milk protein content in cows fed Ca-FA was greater than cows fed PA (p < 0.01). High-producing cows had greater serum cholesterol (p = 0.02) than medium-producing cows. The cows fed PA tended to have a greater BUN than cows fed Ca-FA (p = 0.06). Alanine aminotransferas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tended to be increased by PA, which indicates that cows in PA treatment may have experienced more adverse effect on the liver function than cows on Ca-FA. Therefore, under heat stress and in 90 d trial, milk production level does not affect the cows' response to PA or Ca-FA. Although cows fed Ca-FA received lower energy than those fed PA, they compensated for this shortage likely with increasing the digestibility and produced a similar amount of milk.

1978년 진해만 적조와 양식굴의 대량폐사 (MASS MORTALITYS OF OYSTER DUE TO RED TIDE IN JINHAE BAY IN 1978)

  • 조창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27-33
    • /
    • 1979
  • 1978년 진해만에서 있었던 적조현상과 양식 굴의 대량폐사에 관한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진해만에서 1978넌 9월중 양식 굴의 대량폐사가 있었다. 폐사량은 $96\%$인 5,687M/T으로 피해액은 22억 7천 5백만원이었다. 2. 상기의 대량폐사는 지속된 고온, 대규모의 적조와 그로 인한 저층수의 빈산소 내지 무산소화로 인한 질식이 주 원인의 일보였다고 추측된다. 3. 적조의 원인종은 와편모조의 일종인 Ceratium fusus로서 각장 $340{\mu}m$, 각폭 $20{\mu}m$ 정도의 대형 식물플랑크톤이었다. 클로로필-a량은 최고 $50mg/m^3$ 이었다.4. 춘기의 가뭄과 6월의 다우로 성층이 형성된데다 지속된 고온과 장일조 그리고 해상의 평온함이 대규모의 적조를 유발시킨 원인의 일부라 생각된다.

  • PDF

Mn-Ir-Pt 새로운 반강자성체를 사용한 스핀밸브 거대자기저항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Spin Valve Giant Magnetoresistance With a New Mn-Ir-Pt Antife rromagnetic Material)

  • 서수정;윤성용;김장현;전동민;김윤식;이두현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41-145
    • /
    • 2001
  • Mn-Ir-Pt/Ni-Fe 교환이방성 이층박막은 계면에서 높은 교환결합자계(exchange bias field; $H_{ex}$)를 가질 뿐만 아니라 뛰어난 열적안정성과 Mn-Ir에 비하여 좋은 내식성을 나타내므로 스핀밸브형 다층막 소자의 고정층의 재료로 적합하다고 생각되어진다. 열적안정성에 관한 평가인 blocking 온도( $T_{b}$)는 Mn-Ir이 240 $^{\circ}C$로 Mn-Ir-Pt가 250 $^{\circ}C$로 Mn-Ir에 비하여 Mn-Ir-Pt의 $T_{b}$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내식성에 관한 평가인 부식전류밀도는 Mn-Ir-Pt 10배 정도의 낮은 값을 가지므로 내식성 또한 Mn-Ir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된다. Mn-Ir에 Pt를 약 1.9 at%정도 첨가하였을 때 $H_{ex}$가 가장 큰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Ni-Fe/M $n_{78.3}$I $r_{19.8}$P $t_{1.9}$의 고정층을 사용한 스핀밸브 다층막의 자기적, 구조적 특성을 연구한 결과 약 5 %의 자기저항비를 얻을 수 있었다.다.다.다.다.다.다.

  • PDF

비냉각 금속 박막형 열전퇴 적외선 검지기 (Uncooled Metallic Thin-film Thermopile Infrared Detector)

  • 오광식;조현덕;김진섭;이용현;이종현;이정희;박세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37권2호
    • /
    • pp.5-12
    • /
    • 2000
  • 열전퇴의 고온 접합부가 Si/sub 3/N/sub 4//SiO/sub 2//Si/sub 3/N/sub 4/ 멤브레인에 의해 실리콘 기판으로부터 열차단되고, 열전퇴의 저온 접합부는 방열판 역할을 하는 실리콘 림(rim)에 의해 지지되는 멤브레인위에 놓여지며, Au-black이 적외선 흡수체로 사용되는 비냉각 금속 박막형 열전퇴 적외선 검지기를 제작하고, 적외선 검지기의 성능지수에 대해 논의하였다. 3∼14㎛의 파장범위에서 Au-black의 적외선 흡수도는 대개 90%정도였고, Au 증발시의 챔버압력 및 증착된 Au-black의 단위면적당 질량에 크게 의존하였다. 쵸핑 주파수가 5 Hz일 때 Bi-Sb 열전퇴 적외선 검지기의 전압 감응도, 잡음등가전력 및 비검지도는 실온의 공기중에서 각각 약 10.5V/W, 2.3 ㎻/㎐½, 및 1.9×10/sup 7/㎝·㎐½/w였다.

  • PDF

Gluconacetobacter hansenii TF-2를 이용한 감귤과즙으로부터의 셀루로스 겔 생산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 of Gluconacetobacter hansenii TF-2 for Cellulose Gel Production)

  • 최경호;정지숙;문철호;김미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176-181
    • /
    • 2004
  • 셀루로스성 겔을 생산할 목적으로 tea fungus로부터 분리한 Gluconacetobacter hanseii TF-2와 제주산 감귤과즙을 이용하여 겔 생산을 위한 최적 배양조건을 검토하였다. 발효균은 가당한 홍차의 표면에 생성된 tea fungus로부터 분리하였으며, 과즙은 제주산 감귤을 박피하고 압착하여 착즙한 후 여과하였다. 과즙은 135.5 mg/mL의 총당과 1.23%의 산을 함유하였으며 평균 pH 3.98을 나타내었다. G. hansenii는 과즙 17% 희석액에 정백당을 첨가하여 초기당도를 $10^{\circ}$Brix로 조정한 것을 가장 잘 발효하였다. 최적 발효온도는 3$0^{\circ}C$였으며 4$0^{\circ}C$ 이상에서는 겔이 생성되지 아니하였다. 최적 pH는 3.0으로 판정되었으나, pH 3.0∼4.0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검토한 조건들을 조합하여 18일간 정치배양함으로서 두께 14.2$\pm$0.6 mm의 백색 겔이 형성되었다 이 과정에서 배양액에 1.90$\pm$0.22%의 산이 생성되었으며 pH는 2.75$\pm$0.09로 저하되었다. 발효 종료 후 배양액 중에는 총당 27.1$\pm$4.2 mg/mL, 환원당 6.9$\pm$1.2 mg/mL이 잔존하였다. 겔 수율은 137.8$\pm$9.7 g/L로 분석되었다.

정전용량 방식의 이차원 마이크로볼로미터 FPA를 위한 저잡음 신호취득 회로 설계 (Design of Low Noise Readout Circuit for 2-D Capacitive Microbolometer FPAs)

  • 김종은;우두형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10호
    • /
    • pp.80-86
    • /
    • 2014
  • 본 연구를 통해서 정전용량 방식의 이차원 마이크로볼로미터를 위한 저잡음 신호취득 회로를 연구하였다. 잡음 대역폭이 매우 낮고 픽셀 면적이 작기 때문에 비 적분형 방식의 간단하고 효과적인 픽셀 단위의 회로를 사용했다. 또한, 가장 문제가 되는 kT/C 잡음을 줄이고 전력소모를 낮추기 위해 새로운 CDS 방식을 열 단위의 회로에 사용했다. 제안하는 회로는 $0.35-{\mu}m$ 2-poly 4-metal CMOS 공정을 이용하여 설계했고, 마이크로볼로미터의 픽셀 크기는 $50{\mu}m{\times}50{\mu}m$이다. 제안하는 신호취득회로는 볼로미터의 kT/C 잡음 등을 포함한 저주파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제작된 칩에 대한 잡음 측정을 통하여 이를 검증하였다. 제안하는 회로는 간단한 신호취득 회로에 비해 그 잡음을 30 %에서 55 % 이하까지 개선할 수 있으며, 전체 감지시스템의 잡음등가온도차(NETD)를 21.5 mK 정도로 낮출 수 있다.

강원도 횡성군 풍암분지 백악기 셰일의 동결-융해에 따른 지질공학적 특성 변화 (Variations of Engineering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retaceous Shale from the Pungam Sedimentary Basin in Kangwon-do due to Freezing-Thawing)

  • 장현식;장보안;이준성
    • 지질공학
    • /
    • 제14권4호
    • /
    • pp.401-416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물과 산성용액을 이용한 동결${\cdot}$융해실험을 통하여 강원도 횡성군에서 채취된 셰일의 물리적 특성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에 적용된 동결${\cdot}$융해 온도 범위는 $-20{\pm}2^{\circ}C\~15{\pm}2^{\circ}C$ 이고 시료는 12시간 동안 동결한 후 물속에서 8시간 동안 융해시켰다. 이 후 시료를 진공 챔버에서 4시간동안 수침하여 완전히 포화시켰으며,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1 cycle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매 5 cycle마다 시료의 흡수율, 탄성파 속도, 쇼어 경도, 슬래이크 내구성시험, 일축압축시험 등을 실시하였다. 동결${\cdot}$융해 실험의 반복횟수가 증가될수록 시료의 물성은 변화하였다. 일축압축강도는 물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매cycle마다 0.40MPa정도 감소하였고 산성용액을 이용한 실험에서는 0.48Mra정도 감소하였으며, 탄성계수 역시 물에서 0.21Gpa, 산성용액에서 0.30GPa 감소하였다. 흡수율의 경우는 물에서 $0.29\%$, 산성용액에서 $0.37\%$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산성용액에서의 풍화속도가 물에서의 풍화속도보다 빠름을 지시한다. 그러나 탄성파속도, 쇼어경도와 슬레이크 내구성 시험에서는 물과 산성용액에 따른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동결${\cdot}$융해 실험 결과와 연구지 역의 동절기 기간의 기온분포를 고려해 볼 때 실제 1년이 동결-응해 실험 약 $6\~12\;cycle$에 해당될 것으로 추정된다.

ICE-POP 2018 기간 드롭존데 자료를 활용한 강설 구름의 열역학적 특성 (Thermodynamic Characteristics of Snowfall Clouds using Dropsonde Data During ICE-POP 2018)

  • 정승필;이철규;김지형;양효진;윤종환;고희종;홍성은;김승범
    • 대기
    • /
    • 제30권1호
    • /
    • pp.31-46
    • /
    • 2020
  • The aircraft observation campaign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rmodynamic conditions of snowfall cloud over the East Sea of Korean peninsula from 2 February to 16 March 2018. During this period, four snowfall events occurred in the Yeongdong region and three cases were analyzed using dropsonde data. Snowfall cases were associated with the passage of southern low-pressure (maritime warm air mass) and expansion of northern high-pressure (continental polar air mass). Case 1 and Case 2a were related to low-pressure systems, and Case 2b and Case 3 were connected with high-pressure systems, respectively. And their thermodynamic properties and horizontal distribution of snowfall cloud were differed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synoptic condition. In Case 1 and Case 2a, atmospheric layers between sea surface and 350 hPa contained moisture more than 15 mm of TPW with multiple inversion layers detected by dropsonde data, while the vertical atmosphere of Case 2b and Case 3 were dry as TPW 5 mm or less with a single inversion inversion layer around 750~850 hPa. However, the vertical distributions of equivalent potential temperature (θe) were similar as moist-adiabatically neutral condition regardless of the case. But, their values below 900 hPa were about 10 K higher in Case 1 and Case 2a (285~290 K) than in Case 2b and Case 3 (275~280 K). The difference in these values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coming air mass and the location of the snowfall cloud.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강설량 예측 및 폭설 취약지역 평가 (Projection of Future Snowfall and Assessment of Heavy Snowfall Vulnerable Area Using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 안소라;이준우;김성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545-55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상관측소의 적설심 자료와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미래 강설량을 예측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폭설 취약지역을 평가하였다. 과거 폭설의 시간적, 공간적인 규모 및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 92개 기상관측소의 과거 40년간(1971~2010년) 적설심 자료를 수집하였다. 2000년대로 갈수록 특히 대설경보 기준(20cm)이상 폭설발생 일수는 증가하였다. 이후 기상관측소별로 보정된 AR5 RCP 4.5,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해 각 관측소별로 산정된 온도 경계값과 물당량을 이용하여 미래 강설 가능량을 추정하였다. Baseline (1984~2013) 최대 적설심은 122cm로 분석되었고, 4.5 시나리오의 경우 186.1cm (2020s), 172.5cm (2050s), 172.5cm (2080s)로, 8.5 시나리오에 따른 최대 적설심은 254.5cm (2020s), 161.6cm (2050s), 194.8cm (2080s)로 폭설발생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폭설 취약지역을 분석하기 위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전국지역별 원예특작물시설의 설계기준 적설심(cm), 축사 설계기준 적설하중($kg/m^2$), 건축물 설계기준 적설하중($kN/m^2$) 자료를 수집하여 적용하였다. 미래 폭설 취약지역을 분석한 결과, 과거의 폭설 취약지역의 시설물은 미래에 두 배가량 더 취약하며, 취약지역이 더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규모 조선소 조업이 주요 민원 유발성 환경오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edium and Small Scale Shipyard Operations on Environmental Pollutions Related with Civil Appeal)

  • 정재우;이명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0호
    • /
    • pp.1006-1012
    • /
    • 2008
  • 중소규모 조선소 주변지역의 입자상 물질, 악취, 소음과 같은 주요 민원 유발성 환경오염 특성을 평가하였다. 측정지점별 미세먼지 농도는 조선소와 근접해있는 측정지점이 조선소로부터 일정한 거리가 떨어진 지점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선소와 인접한 측정지점에서는 조선소의 조업이 이루어질 때의 평균농도가 휴가기간의 농도보다 높은 농도를 가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건성침착량은 조선 사업장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종류에 영향을 받으며 사업장과 가까울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기희석관능법에 의한 악취도는 여름철에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온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지정악취물질은 모든 측정지점에서 배출허용기준보다 높은 농도를 가지는 악취성분이 존재하였다. 배출허용기준치보다 높은 값을 가지는 화합물은 암모니아, 황화합물, 메틸아민이었으며 알데히드류와 스티렌의 농도는 최소감지값보다 적은 미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측정지점별 주간 소음도는 조선소로부터 일정한 거리가 떨어진 지점은 환경기준치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선소와 인접한 지점들에서는 모든 조사기간의 소음도가 환경기준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야간 소음도는 3차 조사기간을 제외하면 모든 측정지점에서 환경기준치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조선소 조업이 사업장 주변지역의 민원유발 환경오염에 영향을 미치며 적절한 대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