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quisetum arvens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6초

In Vitro Antioxidant Properties of Equisetum arvense and Its Effects on Serum Lipid Levels in Mice Fed a High-Fat Diet

  • Kim, Yong-Hwan;Shin, Kyung-Ok;Choi, Kyung-Soon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47-356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Equisetum arvense and its effects on serum factor levels in mice fed a high-fat diet. The aim was to establish a new effective resource for 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 arvense stem and root extracts were obtained using deionized water at $95^{\circ}C$, and 70.5% ethanol at $85^{\circ}C$. These extracts were used to analyze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BTS, DDPH, and FRAP) activities. The effects of prepared ground samples were evaluated by feeding them to mice. E. arvense extracts showed strong antioxidant effects. The caffeic acid content was highest in the 70.5% ethanol extract of the vegetative stem, as determined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blood concentrations of insulin and leptin were significantly lower in mice fed a high-fat diet supplemented with extracts of the root, reproductive stem, and vegetative stem of E. arvense than in mice fed only a high-fat di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lyphenolic compounds in E. arvense extracts exert various antioxidant effects. The stems and root of E. arvense can lower the blood levels of insulin and leptin, even after consumption of a high-fat diet.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관한 연구(I) (Evaluation of Antioxidant Potential of Extract/Fractions of Equisetum arvense (I))

  • 박수남;양희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1-6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50% 에탄올 추출물($182.04{\mu}g/mL$) < ethylacetate 분획(54.50) <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14.13)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총항산화능은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OSC_{50}$, $3.54{\mu}g/mL$) < 50 % 에탄올 추출물(0.80) < ethylacetate 분획(0.006) 순으로 ethylacetat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쇠뜨기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5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sim}100{\mu}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ethylacetate 분획에서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추출물은 $10{\mu}g/mL$ 농도에서 $\tau_{50}$이 161.10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쇠뜨기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쇠뜨기 추출물의 성분 분석과 엘라스타제 활성 저해 효과 연구(II) (Component Analysis and Study on Anti-elastase Activity of Equisetum arvense Extracts(II))

  • 박수남;양희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39-144
    • /
    • 2007
  • 선구 연구로부터 저자들은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대한 결과를 이미 보고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이들의 성분 분석과 elastase 저해활성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쇠뜨기 추출물 중 ethyl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 및 HPLC 실험에서 각각 4개의 띠와 피이크로 분리되었으며, 분리된 4가지 성분은 luteolin, quercetin, apigenin 및 kaempferol이었다. 그리고, 그들의 성분비는 각각 19.12%, 12.87%, 15.81%, 52.20%로 kaempferol의 함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쇠뜨기 추출물의 ethylacetate 분획의 TLC 크로마토그램은 7개의 띠로 분리되었고, HPLC 크로마토그램은 8개의 피이크를 보여주었다. TLC와 HPLC의 띠와 피이크를 확인한 결과, HPLC의 8개의 피이크는 용리순서로 kaempferol-3,7-O-diglucoside(조성비, 15.74%), luteolin-5-O-glucoside(galuteolin, 11.91), apigenin-5-O-glucoside(12.91), kaempferol-3-O-glucoside(astragalin, 27.94), quercetin-glycoside (10.81, 구조 미확인), kaempferol-glycoside(12.33, 구조 미확인), luteolin(3.72) 및 apigenin(4.62)으로 확인되었다. Aglycone 분획은 elastase 저해활성($IC_{50}$)이 9.8 ${\mu}g/mL$로 매우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에 비해 ethylacete 분획(플라보노이드 배당체)은 elastase 저해 활성이 거의 없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이미 보고된 쇠뜨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과 더불어 쇠뜨기 성분에 대한 분석과 ethylacetate 분획의 당 제거 실험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의 큰 elastase 저해활성으로부터 주름개선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쇠뜨기(Equisetum arvense)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분석 및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 (Studies for Component Analysis, Antioxidative Activit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from Equisetum arvense)

  • 곽가;김영선;한웅;심태흠;사재훈;왕명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1호
    • /
    • pp.77-81
    • /
    • 2006
  • 쇠뜨기 추출물을 이용하여 당뇨병에 대한 기능성 의약품 개발을 목적으로 쇠뜨기 가루의 화학성분,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탄수화물이 53.20%로 탄수화물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그 밖에 조회분, 조단백질, 수분, 조지방 순으로 나타났으며, 각각 20.42%, 15.32%, 8.85%, 2.21%로 나타났다. 쇠뜨기 가루에 가장 많은 무기성분으로는 K, Ca등 2종류가 기타원소에 비해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이중 가장 많이 검출된 것은 K로 3768.12 mg/100 g으로 가장 많았으며, Ca은 1,130.44 mg/100 g로 나타났다. P, Mg, Na는 $180{\sim}110\;mg/100g$이며, 가장 적은 양을 보인 것은 Zn이 2.19 mg/100 g로 나타났다. 구성당은 총 2종이 분리 동정되었으며, 그 중 glucose가 13,351.88 mg/100 g, mannose는 1,616.31 mg/100 g으로 나타났다. 지방산 중 가장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은 linolenic acid$(C_{18:3})$가 42.83%으로 나타났으며 linoleic acid$(C_{18:2})$ 23.60%, palmitic acid$(C_{16:0})$ 19.00%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지방산 중 포화지방산이 25.57%로 불포화 지방산이 포화지방산에 비해 3 배정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DPPH 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쇠뜨기 추출물들의 항산화 활성은 70% ethanol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IC_{50})$$168.1\;{\mu}g/ml$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70% methanol 추출물이 $187.8\;{\mu}g/ml$으로 나타났으며, chloroform 추출물이 $194.2\;{\mu}g/ml$, methanol, 물, ethanol추출물 순으로 나타났다. ${\alpha}-Glucosidase$ 측정값은 70% methanol 추출물에서 82.05%의 높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수종식물의 MCF-7 세포에 대한 세포사 및 항ㆍ증식효과 (Apoptotic Effects of Some Plants on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s)

  • 정용자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61-66
    • /
    • 2004
  • 식용식물 Capsicum annuum L., Lactucs dentata Makino., Sedum sarmentosum Bunge, Perilla frutescens Brit., Agastache rugosa Kuntz, Equisetum arvense L., Chrysanthemum coronarium, Arctium lappa, Cinnamomum camphora Sibe.들의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 line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MTT 비색정량법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Cupsicum annuum L. 추출시료를 첨가한 경우에 MCF-7세포의 성장은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결과에서 분명한 항암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특히 Capsicum annuum L. leaf은 1 $\mul/ml$ 첨가에서 35,3%의 증식억제효과를 보였고, 2.5 $\mul/ml$에서 42.9%, 7.5 $\mul/ml$에서 94.8%의 세포성장억제를 관찰할 수 있었다. Capsicum annuum L. fruit unripen 추출물 10 $\mul/ml$에서 75%, 25 $\mul/ml$에서 80%의 성장억제률을 보였다. Equisetum arvense L. 와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에서도 세포성장이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추출시료 첨가군에서는 10 $\mul/ml$ 첨가에서 30%, 25 $\mul/ml$에서 52%의 성장억제률을 보였다. Equisetum arvense L.은 10 $\mul/ml$ 첨가군에서 11%, 25 $\mul/ml$에서 25%의 성장억제률을 보였다. 배양세포의 형태변화를 관찰해 본 결과에서도, 첨가시료가 Capsicum annuum L. leaf인 경우 착상이 어렵고 3일부터는 세포탈락과 세포파괴가 일어나기 시작하여 6일째엔 거의 모든 세포에서 세포사현상이 관찰되었다. 그리고 Capsicum annuum L. fruit unripen와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 추출액을 첨가한 경우에도 배양4일에 세포의 변형과 성장지연이 관찰되었으며, 8일째에 파괴되기 시작하여 배양14일과 19일에 많은 세포사현상의 파편들이 관찰되었다. Equisetum arvense L.는 배양4일에 세포성장은 지연되었으나 여전히 잘 자랐으며 일부세포에서 변형이 관찰되었다. 12일째에도 성장은 계속되었고 일부세포만이 변형을 보였으며 18일째에도 비슷한 결과로 관찰되었다.

쇠뜨기 및 화살나무가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체내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Equisetum arvense L.(Seddugi) and Eunymus alatus Siebold. (Hwasalnamoo) on the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on High Fat Diet)

  • 유영상;노정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93-106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effects on the lipid metabolism of two herbs used in folk treatment in Korea The two herbs were A: Equisetum arvense L. (Seddugi), B: Eunymus alatus Siebold (Hwasalnamoo).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the male rats of Sprague-Dawley which fed on high calorie and animal fat supplemented diets from which 30% of the total calories can from lard.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standard (ST) and two other(A, B) groups for the each herb. Each of the two experimental groups consisted of three subgroups (I, II, III) according to the three different doses of the folk remedy used, which were five times and ten times the dose commonly used in a folk remedy.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otal food intake and body weight gains were measured, and FER, CER, PER were calculated at the same times. Serum levels of triglyceride, total lipid, t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and total lipid as well as cholesterol contents of the liver were measured at the time of sacrifice. Epididymal fat pads were weighted and an indes was calculated. The results of the effects on the lipid metabolism were as follows : 1.Total food intake and body weight gains increased in group A & B. 2. The serum levels of the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decreased in AIII, BI and BIII.3. The serum level of cholesterol decreased in group B, while level of HDL-Cholesterol were increased in all groups and most effectively in group B. 4. The contents of total liver lipid increased in groups A&B. cholesterol decreased in groups A&B. In conclusion, effects on the lipid metabolism associated with the kinds of herbs a diet were the increase of body weighta and the decrease of total lipid and cholesterol levels in serum and liver.

  • PDF

식용식물들이 MCF-7 cell의 chromosome형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edible plants on changing chromosomal morphology, and apoptosis of MCF-7 cell)

  • 정용자;곽수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40-348
    • /
    • 2002
  • Capsicum annuum, Lactuca dentata Makino., Equisetum arvense, 들의 MCF-7 mammary gland adenocarcinoma cell line에서의 항증식효과는 현미경관찰과 세포수 관찰에서 얻은 결과와 거의 동일하게 Chromosome의 condensation, PI염색에서의 핵 변화, 전기영동과 흡광도법을 이용하여 관찰된 세포의 DNA fragmentation 결과에서도 시료에 따른 항종양증식억제효과가 유사하게 관찰되었다. 즉 그 결과는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 leaves 추출시료틀 첨가한 경우에는 세포증식을 위한 탁상조차도 제대로 되지 않음이 확인되었고, 세포변형과 apoptosis의 일부가 2∼3일후 부터 관찰되었다. chromosome 농축 현상도 시료첨가 37시간에 관찰되었고, PI염색법에서도 시료첨가 3시간에 핵 농축현상이 관찰되기 시작하였다. 그 핵 농축현상을 배양시간에 따라 농축현상이 더해가다가 48시간에 파쇄현상을 보였다. 이 실험결과에서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 추출물을 첨가한 배지의 MCF-7cell은 apoptosis의 형태학적 특징인 chromosome의 degradation과 PI염색법에서 핵의 농축이 발견되었으며 48시간 위 핵파편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전기영동을 이용한 세포의 DNA fragmentation관찰에서도 염색체 DNA의 관찰이 거의 확인되지 않았다. 260 nm 흡광도측정으로 부유층의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에서도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은 배양초기부터 부유층의 흡광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들의 결과에서 Capsicum annuum L. var. angulosum Mill은 MCF-7 cell의 세포사를 유도하여 강한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quisetum arvense L와 Lactuca dentata Makino. var. flaviflora Makino에서도 배양 2∼3일에 세포성장이 억제되고 2일에 chromosome의 condensation과 degradation이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Capsicum annuum, Lactuca dentata Makino, Equisetum arvense 추출물에서 모두 항암효과를 관찰할 수 있었다.

낙엽분해동안 미생물 활성에 미치는 중금속의 영향 추정 (The Effect Estimation of Heavy Metals on the Microbial Activity during Leaf Litter Decomposition)

  • 심재국;신진호;양금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87-892
    • /
    • 2011
  • 본 연구는 충남 청양의 폐광산 지역과 인근 대조구에 분포하는 Artenmisia princeps var. orientalis(쑥), Equisetum arvense(쇠뜨기)를 이용하여 식물체 내 중금속 함량이 미생물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낙엽 회수시 측정한 호흡량은 처음 회수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시간이 지날수록 발생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중금속의 함량이 높은 낙엽에서 미생물의 호흡량이 낮았으며 대조구에서 채집하여 대조구에서 분해시킨 쑥과 쇠뜨기에서 가장 빠른 분해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쑥과 쇠뜨기 모두 중금속 함량이 적은 낙엽에서 높은 미생물량을 나타내었다. 낙엽의 분해율과 누적호흡량, 낙엽의 분해율과 미생물량사이에는 각각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식물체 내의 중금속이 분해과정에 관여하는 미생물의 생장과 활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라 할 수 있다.

쇠뜨기와 화살나무의 항암 효능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Effects of Seddugi and Hwasalnamoo on the Anti-Cancer in Mice)

  • 노정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6-125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anti-cancer effects of two herbs using a folk remedy in Korea-The two herbs were A: Equisetum arvense L. (Seddugi), B: Eunymus alatus Siebold. (Hwasalnamoo) The experiment for the anti-cancer effects were conducted in mice and experimental groups were divided into normal(NO), standard (ST) and two other(A,B) groups for each herb and each of the two experimental groups consisted of three sub-groups(I, II, III) according to three different quantity doses of a folk remedy using five times and ten times the quantity of a commonly used in a folk remedy. The water soluble extracts of two herbs were orally administered to mice during six weeks followed by inoculation of the sarcoma-180 tumor cells into the peritoneal cavity. During experimental periods, the contents of ascites, abdominal organs were observed histopathologically. The results of effects on anticancer were as follows : 1. The survival time was significantly prolonged by the two herbs, especially in groups AII & BII.2. Body weight, circumference of the abdomen and contents of ascites at the time of sacrifice were noted and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s AI, AII & BII. 3. Anti-cancer effects evaluated by the invasiveness and thickness of the tumor cells were noted in groups AIII & BII.

  • PDF

권백(Selaginella involvens) 물 추출물의 혈관 형성억제 및 혈관내피세포 이주 억제 효과 (Inhibitory Effects of Water Extract of Selaginella involvens on the Tube Formation and Invasion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 고유진;박승희;이용화;박병철;허종현;민용득;김재기;김정애
    • 약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51-55
    • /
    • 2007
  • Among pteridophytes, Selaginella involvens Spring and Equisetum orvense L. are used in folk medicine in Easter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The water extracts from Selaginella involvens spring (SW) and from Equistum arvense L (EW) did not affect viability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However, SW dose-dependently inhibited tube formation and migration of HUVECs, whereas EW did no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water extract from Selaginella involvens Spring may have anti-angiogenic a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