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quality on the low level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4초

기업근로자가 인식한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의 차이 (Differences in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between Latent Profiles based on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Recognized by Corporate Workers)

  • 김영아;이재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33-545
    • /
    • 2021
  • 이 연구는 기업근로자가 인식한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를 규명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내 기업 근로자 253명의 응답자료를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업근로자가 인식한 조직문화 유형은 5가지로 구분되었다. 구체적으로 1번 집단은 합리문화가 높고 개발문화가 낮은(고합리-저개발 문화), 2번 집단은 합리문화가 상대적으로 높고 합의문화가 가장 낮은(고합리-저합의 문화), 3번 집단은 전체적으로 비슷한 가운데 합의문화가 높게 나타난(합의 문화), 4번 집단은 개발문화가 가장 높은(고개발 문화), 5번 집단은 위계문화가 가장 높은(고위계 문화)로 명명하였다. 조직문화 유형 인식에 따른 잠재집단별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양성평등의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구체적으로 고합리-저합의 문화, 고합리-저개발 문화, 고위계문화, 고합의 문화, 고개발 문화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합리문화에 대한 인식이 다른 문화에 대한 인식보다 더 높게 나타나는 프로파일에서 양성평등의식이 높았다. 이 연구는 조직문화 유형과 양성평등의식의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양성평등의식 향상을 위한 조직차원의 개입관련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여대생들의 취업의식 실태조사 및 성평등적 관점의 취업 증진 방안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Consciousness of Female College Students and Alternatives for Job-seeking from the Perspective of Gender Equality)

  • 신말식;김경신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3-199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analyse the female college students' appraisals and demands about actual conditions of job-seeking and to propose the developmental alternatives from the perspectives of gender equality. The data were obtained through 510 female students living in Gwangju.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Women's needs of job-seeking were very intensive but their preparation level was relatively low. Colleges' support system and organization utility were uneffective because their programs were not specified for women. Women generally recognized that social improvement for gender equality in employment system were very important and more practical methods and contents were demanded in education for job-seeking. 2) Women's grade and major were significant variables in the differences of job preparation, consciousness of job-seeking, social support and appraisals. Therefore, college supporting systems must consider students' characteristics. 3) The job-seeking mechanisms must be changed to more effective systems for the achievement of gender equality. Also community members, colleges and students should make collaborate endeavors for the women empowerment.

  • PDF

Effective Sample Sizes for the Test of Mean Differences Based on Homogeneity Test

  • Heo, Sunyeong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91-99
    • /
    • 2019
  • Many researchers in various study fields use the two sample t-test to confirm their treatment effects. The two sample t-test is generally used for small samples, and assumes that two independent random samples are selected from normal populations, and the population variances are unknown. Researchers often conduct F-test, the test of equality of variances, before testing the treatment effects, and the test statistic or confidence interval for the two sample t-test has two formats according to whether the variances are equal or not. Researchers using the two sample t-test often want to know how large sample sizes they need to get reliable test results. This research gives some guidelines for sample sizes to them through simulation works. The simulation had run for normal populations with the different ratios of two variances for different sample sizes (${\leq}30$). The simulatio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f one has no idea equality of variances but he/she can assume the difference is moderate, it is safe to use sample size at least 20 in terms of the nominal level of significance. Second, the power of F-test for the equality of variances is very low when the sample sizes are small (<30) even though the ratio of two variances is equal to 2. Third, the sample sizes at least 10 for the two sample t-test are recommendable in terms of the nominal level of significance and the error limit.

기혼 여성의 부부 평등성이 추가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rried Women's Couple Equality on the Intent to Additional Childbirth)

  • 이단비;남진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379-389
    • /
    • 2022
  •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이 인지하는 부부 평등성과 출산 행위에 있어 중요한 결정 요인인 추가출산 의향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기혼 여성 10,352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조사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을 위해 빈도 분석과 카이 제곱 검정 분석을 시행하였고 각 변수와 추가출산 간 관련성 분석을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 및 층화 분석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부부 평등성이 가장 낮은 0점 그룹 기준 4점 그룹은 2.01배 추가출산 의향이 높았다. 또한 3점 그룹과 2점 그룹은 각각 1.46배, 1.41배 높아 부부 평등성과 추가출산 의향이 정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것을 파악하였다. 그 외에 자녀 수가 많을수록, 집을 소유하고 있는 경우, 아내가 비정규직이거나 무직일 경우 기혼 여성의 추가출산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혼 여성의 부부평등성에 초점을 맞춰 추가출산 의향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였으며 출산율 제고를 위해 거시적 차원의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정책이 요구됨을 제언한다.

동아시아 기혼여성의 성별분업에 관한 태도와 실천: 한국, 일본, 대만 비교 연구 (Attitudes and Practices on the Gender Division of Household Labor in South Korea, Japan, and Taiwan)

  • 이재경;나성은;조인경
    • 여성학논집
    • /
    • 제29권2호
    • /
    • pp.139-173
    • /
    • 2012
  • 이 글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증가를 통해 근대적 성별분업이 도전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족 내 성 평등이 지체되는 현실에 주목하고, 한국, 일본, 대만 등 동아시아 3개국 여성들의 성 평등의식과 현실 간의 불일치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EASS 자료를 바탕으로 동아시아 여성들의 연령, 교육기간, 가구소득, 성별분업에 대한 태도, 부부 각각의 노동시간, 가족지원망이 가사분담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하고, 각 국가별 특성을 살피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대만은 성별분업에 대한 보수적 성향에도 불구하고 남성들의 실질적 가사부담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일본의 경우 여성들의 진보적 태도에도 불구하고 실제 가사부담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차이는 대만, 한국과 일본 여성들의 평균 노동시간에 기인하는데, 한국과 대만 여성들의 경우 전일제 노동에 종사하는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가사 노동시간을 줄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대만은 가족 특성이, 한국은 여성경제활동의 성격이 가사부담률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3세대 동거가구의 비율이 높은 대만은 부모로부터의 돌봄 지원이 가사 부담을 줄이는데 기여하며, 한국에서는 여성의 교육기간이 길수록 가사부담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고학력 여성의 상대적으로 낮은 경제활동 참여가 가사노동에서의 협상력 약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글에서는 가사분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개인적 요인뿐 아니라 노동시장 성격이나 구조, 가족 형태 등 제도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향후 성별분업 연구에서 개인과 부부의 특성뿐 아니라 거시적 요인에 대한 요인 분석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정보불평등 계층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Research Trends of the Library Services for the Information Poor in Korea)

  • 노영희;장로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63-82
    • /
    • 2019
  •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정보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한 중핵기관으로서 최근 도서관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수행된 정보불평등 계층을 위한 도서관서비스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관련 연구의 활성화 방안 및 미래연구를 제안함으로써 정보불평등 계층 대상의 국내 도서관서비스를 강화하고, 해당 연구를 촉진시키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관련 연구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1) 국가 차원에서의 정책 지원 및 사업확대, (2) 학계 차원에서의 다양한 접근 및 연구환경 조성, (3) 도서관계 차원에서의 정보불평등 계층별 서비스의 강화 및 전문사서 배치, (4) 사서의 대학원 진학 및 연구 장려를 제안하였다. 또한 장애인, 다문화, 노인, 아동, 청소년, 농어촌, 저소득층, 난민(북한이탈주민) 정보불평등 계층별로 다양한 측면에서 접근이 가능한 미래연구들을 제안하였다.

미혼남녀의 결혼관과 출산 및 자녀관에 따른 출산정책 선호도 분석 (A Primary Study on Preference of Fertility Policies Based on Perspectives of the Marriage and Having a Child)

  • 장진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11호
    • /
    • pp.165-183
    • /
    • 2005
  • Total fertility rate in South Korea is the lowest in the world. A fertility rate below replacement fertility level will result in serious social problems in the long term. Therefore, it is worthwhile to study a general understanding about the low fertility rate phenomen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fertility policies in order to ameliorate the resulting social problems due to the low fertility rate. This research was a descriptive examination into the low fertility rate phenomenon and an investigation of the needs for fertility potties and their effectiveness. The study subjects were consisted of 769 unmarried people aged from 18 to 40 years old.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to August 2004 and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he following results were revealed. First, unmarried people in general had positive perspectives about getting marriaged, giving birth, and being a parent. In addition, the primary cause of low fertility rate was economical difficulties for raising a child. Third, unmarried people thought that the low fertility rate phenomenon resoled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changes in a society. Fourth, policies for economical supports for raising children, establishing social atmosphere for gender equality, and trustful public educational systems were the political alternatives that people really wanted for having a child in the future. Effective alternatives for policies and strategies to address the low fertility rate problems are suggested in the discussion section.

Debt Finance among Vietnamese Enterprises: The Influence of Managers' Gender

  • HO, Hoang Lan;DAO, Minh Hoa;PHAN, The Co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9호
    • /
    • pp.229-239
    • /
    • 2020
  • This paper examines the impact of gender on access to debt finance among Vietnamese enterprises. The paper investigates data and variables retrieved from the World Bank Enterprise Survey dataset using five Probit models. The regression results suggest that there exist more unfavourable debt financing conditions for women-led firms (WLF), measured as a lower probability of having loan applications fully approved. Firm's age, working sector, and perception of access to finance as a difficulty are found to have explanatory power on the discrimination. More importantly, the perception of debt finance as a difficulty or firms' level of confidence significantly explains the variance of the dependent variable of probability of loan approval, or gender effect would be more pronounced if the firm already has a low level of confidence. The paper also contributes in testing for the gender effect on Vietnamese enterprises from different sectors and scale, unlike other prior research papers focusing on specific sectors and/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only. The findings are highly useful for Vietnamese credit institutions to set out a specific business policy to attract more WLFs and help promoting gender equality in the working environment, especially in debt financing, which is often neglected in existing regulation and policy frameworks.

냉동생지의 해동.발효조건이 냉동 빵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awing-Fermentation Condition of Frozen Dough on frozen Bread Quality)

  • 김교창;장성규;도대홍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87-294
    • /
    • 1997
  • When bread making, the condition of thawing-fermentation for frozen dough were tested in variable temperature, and measured thawing-fermentation time and volume of frozen dough. L-Ascorbic acid (L-Aa) was added in frozen dough for the comparison test of develop volume in bread staling degree of baking bread were measured additive frozen dough which was stoppages in freezing, staling degrees were tested hardness with Rheometer. The test for comparison of thawing-fermentation time in variable temperature was shown the condition of dough conditioner at 3$0^{\circ}C$ was most effective for bread making, Because That condition was required very short time(74 min) But, in this comparison of volume in final products was shown the products in the condition of thawing-fermentation at 3$0^{\circ}C$ was smaller than the products at 5$^{\circ}C$(418 ml). The baking volume of L-Aa additive frozen dough which has under gone thawing-fermentation at 3$0^{\circ}C$, were shown baking volume of 420 ml in 2 weeks storage terms to 100 mg/kg L-Aa additive dough and shown baking volume of 454 ml in 4 weeks storage terms to dough of 200 mg/kg additive weight. Staling degrees of L-Aa additive frozen bread were measured with Rheometer. The hardness of 100 mg/kg L-Aa additive frozen bread was sown low level hardness in 1~2 weeks freezing term, 150 mg/kg L-Aa additive frozen bread was shown low level hardness in 3 weeks freezing term. In 4 weeks freezing term, 200 mg/kg L-Aa additive frozen bread was shown low level hardness compared with non-additive L-Aa frozen bread. In comparison of frozen bread quality, non-additive L-Aa products was better than additive L-Aa products in equality of baking shape and external apparence. But in total quality in external and internal apparence, additive L-Aa products was better than non-additive L-Aa products.

  • PDF

16주 복합운동프로그램을 통한 저체력군 고등학생의 대사증후군 지표와 자율신경계의 변화 (The effects of the 16-weeks' combined exercise program on metabolic syndrome and autonomic nerve system of low-level physical strength group)

  • 한진만;이경준;양정옥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3권4호
    • /
    • pp.787-79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PAPS를 실시하여 4, 5급에 해당하는 저체력군 학생을 대상으로 16주 복합운동프로그램을 통해 대사증후군과 자율신경계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16주 복합운동프로그램은 주 5회에 걸쳐 준비운동, 본운동, 정리운동으로 구성하고 1회 50분씩 실시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모든 종속변인들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샤피로-윌크 검정값을 이용하여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복합운동집단과 통제집단의 모평균 차이를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16주 복합운동프로그램 전 후 각 집단 내변인들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치의 유의수준은 ${\alpha}$=.05로 처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 지표에서는 허리둘레, 중성지방, 공복혈당, HDL-C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자율신경계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저체력군 고등학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되어 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