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quality and Equity

검색결과 31건 처리시간 0.028초

가정과에 적용한 양성평등 수업이 고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Instruction in Home Economic class on the High School Students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 focused on the Unit of Design of Home Life -)

  • 배은주;이송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13
    • /
    • 2005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가정과의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을 중심으로 실험수업을 실시하여 양성평등 수업이 고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양성평등의식 함양과 양성평등교육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양성평등 수업 후 남녀평등의식의 가정생활영역, 학교생활영역, 직업생활영역, 사회문화생활영역 모두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남녀평등의식이 더 높게 나타나 두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양성평등 수업 전과 후 실험집단의 남녀평등의식 사후검사가 사전검사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비교집단에서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양성평등 수업 후 남녀평등의식 전체에서 실험집단의 변화량이 비교집단의 변화량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볼 때 고등학교 가정과의 ${\ulcorner}$가정 생활의 설계${\lrcorner}$ 단원에서 실험집단에 적용한 양성평등 수업은 가정생황영역, 학교생활영역, 직업생황영역, 사회문화생황영역 4개 영역 모두 고등학생의 남녀평등의식을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 무의식 속에 내재되어 있는 성차별 의식이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볼 때, 앞으로 지속적인 지도가 절실히 필요하다.

  • PDF

한국인 생활욕구의 요인구조 및 관련요인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ctor Structure of Koreans' Need of Living and on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 노영남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7-87
    • /
    • 1990
  • This study was designed with the purpose to analyze the bias and the factor structure of Need of Living and to clear th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on Need on Living. The Degree of Importance(Di) and of sufficiency(Ds) of 65 indicators which were the constituent components of Need of Living and were extracted from the 51 preceeding studies was estimated by the 1084 samples including 614 urban and 470 rural residents through the questionaire. The indicators with higher Di and lower Ds than average were considered to show the high level of Need of Living.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Generally speaking, the level of Di was higher than that of Ds. Specially this was serious in the case of the indicators related with social-economic equity, employment, housing and environment. 2. Di level of the indicators such as physical health, judicial equality, the life of planned expenditure was highest. Specially the equity of income allocation was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 increase of income or asset itself. 3. Ds level of the indicators such as the life of plannel expenditure,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was highest, adn that of the use of leisure time, socialactivity, economic equality and social welfare was lowest. 4. Through the oblique rotation of Factor analysis, 12 factors were extracted (total eigen value 32.663, total variance 50.251%). Specially Factor 1 which was christened as the equality and development of social-economic life was related with 11 indicators and its common variance was 51.68%. 5. The rural residents, the lower income group and the lower educated group, who were told of being under disadvantage and unfair treatment of social-economic status, showed higher suffiency on the equity of income allocation, the freedom of living and expression, and judicial equality. 6. Generally speaking, the urban residents, the group under 39 years old, the higher educated group had more intensive Need of Living than the other groups.

  • PDF

기혼여성의 결혼 불만족과 혼외관계에 대한 탐색적 고찰 (An Exploratory Study on Marital Dissatisfaction and Extramarital Relations among married Women)

  • 공미혜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195-208
    • /
    • 2002
  • This study examines how marital dissatisfaction is connected with extramarital relations among married women. To explore this subject,1 am using in-depth interview techniques. The data from 16 married women who involved (and are involving) extramarital relations are collected in semistructured interviews. In this article, I describe four specific types of extramarital relations with particular relevance to marital dissatisfaction: (1) temporary extramarital relations caused by marital dissatisfaction, (2) positive extramarital relations as maintaining dissatisfied marriage, (3) unavoidable extramarital relations as breaking dissatisfied marriage, and (4) extramarital relations as a part of life with satisfied marriage. With these results, I believe that equity theory could be applicable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and extramarital relations. There are limitations when the qualitative research is analyzed. One problem is measurement. It is difficult to measure equality (or equity), life dissatisfaction, and other concepts. furthermore, this study is not abbe to explain causal relationships among equality, life dissatisfaction, actual extramarital relations. The future study should perhaps be in quantitative research focused on the causal model in which all exchange variables are conceptualized and properly measured for the intimate relationship.

사회적 관계에 따른 아동의 분배정의 추론의 발달 (Children's Distributive Justice Reasoning:The Impact of Developmental and Contextual Factors)

  • 옥경희;김미해
    • 아동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01-115
    • /
    • 1998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effect of relationship on children's distributive justice reasoning. 259 kindergarten, second-grade, and fifth-grade children were asked to allocate 9,000 Won to 3 characters under three different relationship conditions (strangers, peers, and siblings), provide rationales for those allocations, and rate the fairness of 4 different patterns of allocation. Older children were sensitive to relationship information such as allocation of more money to productive rather than to needy or older strangers, more to needy friends than to productive or older friends, and more to older than to a productive sibling. However, young children relied on only one principle, equality, across the relationship conditions. Kindergartners viewed allocations based on age entitlement as fairer than older children did, whereas both groups of older children rewarded individuals based on equality in stranger, equality and need in peer, and equality and equity in sibling relationships.

  • PDF

Technological Innovation in Public Education in the Era of COVID-19: Focusing on Distance Education Policy in South Korea

  • Shin, Hyeji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9권2호
    • /
    • pp.207-222
    • /
    • 2020
  • As the COVID-19 continues spreading, Korea's Ministry of Education (MOE) announced that all public schools, including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must begin on April 9, 2020, via online teaching for the first time in the nation's history. There were opposite views among educators regarding the unprecedented attempt to start school online.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strategies and policies of distance learning in the public education sector using the experiences in Korea, which has been dealing with the COVID-19 pandemic over the past six months, and thus presents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may be of interest other countries in the post-COVID-19 era. This study first conceptualized the distance education policy in two domains: technological infrastructure and technological teaching and learning, and then examined what specific policies have supported distance education in school settings. For the analysis of policies supporting distance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relevant documents that include the annual plan and press release uploaded on the website of MOE from early March until early August. Accordingly, 13 documents that contain the distance education policy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o provide equal opportunities for all students and ensure fair resource allocations, technological inequality should b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educational inequality. Finally, this study looks at how strategies and policies could be related to educational equality and equity.

임금비교에 있어서 비교대상 및 비교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ferents and Inputs in Pay Comparisons)

  • 홍광훈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19권
    • /
    • pp.223-241
    • /
    • 2006
  • This study has two purposes. One is to systematize a number of referents and to examine the types of comparisons. The other is to examine categories of comparative standards such as inputs in equity theory. In pay comparison process, referents and inputs are very important elements. The first factor analysis is related to referents, which include 18 variables in 6 categories were subjected to factor analysis. 3 factors emerge with an eigenvalue of 1.0 or greater. Factor I, economic need, includes referents in personal worth and system referent. Factor II, market comparison, includes internal and external referents except one variable(external-peer). Between internal and external referents is not distinguished. This result is corresponded with Hills'(1980) and Hong's(1995) findings. FactorIII is named 'historical/social comparisons'. 14 inputs are subjected to the second factor analysis. 3 factors emerge with an eigenvalue of 1.0 or greater. The 5 variables loading on factor I, equity standard, are responsibility, competency, effort, outcome, and skill. FactorII, equality standard, includes age, gender, and education. FactorIII, seniority standard, includes career and company tenure. All the factors a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Especially, personal worth is associated with equity standard(r=0.50466). Internal and external referents are associated with any comparative standard.

  • PDF

성, 연령, 지역에 따른 의료이용 형평성의 집단 간 비교 (Comparisons of the Equity of Medical Care Utilization by Sex, Age Groups, and Region)

  • 김진구
    • 사회복지연구
    • /
    • 제43권2호
    • /
    • pp.319-344
    • /
    • 2012
  • 본 연구는 2010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의료이용 형평성지수인 집중지수와 Hiwv지수를 성별, 연령, 지역의 하위집단에 따라 집단 간 차이(Between)에 의한 부분과 집단 내부의 불평등(Within)에 의한 부분, 그리고 잔여 부분(R)으로 분해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래이용 횟수에서 남녀의 집단 간 차이가 Hiwv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0으로 나타났다. 반면 외래비용에서는 Hiwv지수 .1035 중 여성들의 집단 내부불평등이 .0441을 설명하고 있어 빈곤여성들의 의료서비스 저이용이 의료이용 형평성에서 중요한 문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외래이용 횟수 형평성에 연령집단의 차이는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미세한 양이지만 Hiwv지수 -.0107에서 대부분인 -.0085을 설명하고 있다. 셋째, 외래비용의 Hiwv지수에는 집단 내부의 불평등 특히, 노년층의 내부 불평등이 .0253을 설명하여 설명력이 크게 나타났다. 넷째, 외래비용의 Hiwv지수에 지역의 내부 격차(Within)가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쳐서 Hiwv지수 .1035 중 .0569를 설명하였으며, 이 중 대부분인 .0535를 도시지역의 불평등이 설명하였다. 분석결과를 종합하면 분석된 집단범주 중 외래이용 횟수의 형평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집단은 연령집단이었으며, 외래비용에서는 집단 간 격차보다 집단 내부의 불평등이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곤여성일수록, 빈곤노인일수록, 도시빈민일수록 기대비용에 못 미치는 외래진료비를 지출하고 있음을 나타냈는데, 이들에 대한 의료비지원 정책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한국과 캐나다의 교원보수체계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eachers'Remuneration Systems between Republic of Korea and Canada)

  • 김라나;박순용
    • 비교교육연구
    • /
    • 제27권3호
    • /
    • pp.129-159
    • /
    • 2017
  • 이 연구는 한국과 캐나다의 교원보수체계의 비교를 목적으로 제도적 차원뿐만 아니라 교사처우와 교직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양국 현직 교사들의 직업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질적 연구를 병행하여 양국 교원보수체계의 지향점 및 이와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 비교했다. 연구 결과 몇 가지 공통점과 차이점이 발견되었다. 첫째, 보수체계의 운영철학에서 한국은 국가 경쟁력 차원의 효율성을, 캐나다는 개인 위주의 능력계발을 중시했다. 둘째, 양국의 교원 보수체계의 공통적인 목표는 평등지향적인 합리적 교원보수제도의 확립이다. 그러나 평등에 대한 입장에서 한국의 경우 일반 공무원과의 형평성이 강조된 반면에 캐나다의 경우에는 성평등이 주로 거론되었다. 셋째, 교직에 대한 태도에서는 보수체계를 중심으로 두드러진 차이를 보였다. 한국의 경우 교직은 안정적이고 사회적으로 선망되는 직업이지만 진입장벽이 높고 보수체계가 상대적으로 경직되어 있었다. 반면에 캐나다의 경우 교직으로의 진입이 용이하고 보수체계가 유연하지만 이직 또는 겸직에 대한 고려가 빈번하고 사회적 지위가 유동적이라고 인식되었다.

사회정의와 복지지리학에 관한 고찰 (A 'Social Justice' in Geography of Welfare)

  • 배미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546-558
    • /
    • 2003
  • 복지지리학은 불평등과 사회정의를 강조하는 인문지리학의 한 분야이다. '사회정의'는 '인간의 욕구'와 더불어 포스트모던이후 복합적 담론에 대항하여 공간의 해석에 보편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가치기준으로 등장하였다. 복지지리학도 사회정의론을 바탕으로 복지개념을 재정립하고 복지를 향상시키려 노력하였으며 공간정의의 측면에서 분배정의를 논하였다. 본 논문은 사회정의의 다양한 이론들을 통하여 복지의 공간적 불평등과 정의로운 복지 분배가 가지는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평등, 효율성, 형평성, 공정성과 같은 사회정의를 평가하는 다양한 기준들을 복지지리학의 측면에서 복지의 정의로운 분배평가와 연계시키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결과적으로 복지의 평등한 분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정의의 평가기준들을 복지 공간의 평가에 적용하는 데 있어서의 한계점 등을 논의하였다.

  • PDF

사회경제적 발전, 양성평등 그리고 출산율의 결정요인 -가족 중심축의 수평화 2단계 모형을 중심으로- (Socioeconomic development, gender equity and birthrate's determinant: focused on the family axis' transformation model)

  • 이제상;송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56-270
    • /
    • 2016
  • 본 논문은 '가족 중심축의 수평화 2단계 모형'이란 분석틀을 통해 사회경제적 발전에 따라 출산율이 하락하는 단계와 출산율이 상승하는 단계가 있음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사회경제적 발전이 진행되면서 가족의 중심축이 부자(父子)의 수직축에서 부부(夫婦)의 수평축으로 이동하며, 그 과정은 결혼 이혼 등 가족의 형성 측면에서 남녀 개인의 평등을 이루는 산업화 단계와, 자녀양육 가사노동 등 가족의 유지 측면에서 부부 평등을 이루는 후기 산업화 단계로 나뉜다. 본 논문은 전세계 136개국을 대상으로 OECD 가입국 33개국을 후기산업화단계의 선진국으로, 나머지 103개국을 산업화단계의 개발도상국으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연구방법은 종속변수 출산율에 대해 출생성비, 평균 출산연령,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을 통제변수로, 1인당 국민소득, 여성의 교육수준, 성격차지수를 설명변수로 하고, 산업화단계 국가들과 후기산업화 단계 국가 별로 출산율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산업화 단계의 개도국에는 여성의 교육수준과 1인당 국민소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였으나, 성격차지수는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에 후기산업화 단계의 선진국에서는 성격차지수와 1인당 국민소득, 여성의 교육기대연한이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결론적으로 산업화단계에서는 여성의 교육수준이, 후기산업화단계에서는 성평등수준이 출산율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