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c Poem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6초

서사시 "금강"의 문화콘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for Epic Poem Geumgang)

  • 강상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7호
    • /
    • pp.127-135
    • /
    • 2006
  • 본 연구는 신동엽의 서사시 ${\ulcorner}$금강${\lrcorner}$을 문화콘템츠로 개발하는 토대를 제공하기 위하여 텍스트의 서술구 성을 분석하고 스토리텔링 요소를 검토하였다. 이 작품의 서술은 역사적 허구적 서정적 성격의 서술내 용이 단독 혹은 복합으로 구성되고 있으며, 각 서술내용이 내포하고 있는 의미 층위는 시인의 역사의식과 현실인식을 드러내는 데 기여한다. 또한 이 작품은 서술내용에 따른 다양한 층위의 사건과 인물을 구현함으로써 풍부한 스토리텔링 요소를 지니고 있다. 이 작품이 보여주는 영웅적 성격의 인물, 전쟁 서사와 허구적 공간, 설화적 스토리 등은 매우 중요한 스토리텔링 요소로서 [금강]의 문화콘텐츠 개발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Homeward returning": A Plebeian Romance and Naturalization of Vagrancy in John Milton's Paradise Lost

  • Cho, Hyunyoung
    • 영어영문학
    • /
    • 제64권1호
    • /
    • pp.135-150
    • /
    • 2018
  • Focusing on the hermeneutic instability of a key word of Paradise Lost, "wander," this study attempts to situate John Milton's early modern epic in the longue $dur{\acute{e}}e$ historical transition from seignorial to capitalist mode of production, especially the displacement and reorganization of producer population, a corollary of early phase of modernization. The historic experience of vagrancy and its normalization, and the concomitant shift of the primary human sociability from given to voluntary bonds, I suggest, shape and inform Milton's early modern rewriting of the Biblical story of the fall and his revising of the heroic epic romance into a plebeian romance of a wandering, companionate couple. While building on the critical consensus on this poem's deliberate distancing from the tradition of classical epic and chivalric romance, this essay argues that Milton re-appropriates and re-channels the aspirational aspect of chivalric wandering, or mobility, for his plebeian heroes, a companionate conjugal couple. The hermeneutic instability of the word wander, this essay suggests, captures the duality of the historic experience of vagrancy, both the tragic experience of displacement and the liberational and uplifting dimension of that experience.

의사영웅시와 "소설화"-『머리카락 강탈』을 중심으로 (Mouk-Epic and "Novelization": Alexander Pope's The Rape of the Lock)

  • 이혜수
    • 영어영문학
    • /
    • 제55권5호
    • /
    • pp.865-883
    • /
    • 2009
  • The mock-heroic, "the single most characteristic and individual literary form of the neoclassical era," as Brean Hammond puts it, epitomizes the process of the "novelization" of the 18th-century British culture. Bakhtin mentions that when the novel reigns supreme, almost all the remaining genres are "novelized"; Hammond borrows the term "novelization" from Bakhtin and uses it as a "shorthand way of referring to the cultural forces that render epic anachronistic." Indebted to Hammond's apprehension of novelization, this paper reads Alexander Pope's Rape of the Lock in the context of novelization, particularly focusing on 'probability,' 'contemporaneity' and 'domesticity,' three important signatures of the novelization of the 18th-century British culture. First, Sylph as a counterpart of god in epic is presented in The Rape of the Lock just as a helpless, fictional and irrelevant thing that hardly affects the empirical world. It indicates how the mock-epic 'mocks' the classical world of 'epic' and stands closer to the world of the novel. Second, Pope's poem displays an accurate picture of the author's contemporary reality, a capital concern of the novel, such as imperialism, consumer society, commodity fetishism, or reification. Lastly, The Rape of the Lock lays out the construction of modern gender ideology, another quintessential interest of the novel, particularly with the fixed female image of a coquette. It efficiently silences and nullifies Belinda, a typical coquette, who stands as a threatening force to the ascendent domestic ideology.

한·태 여성시의 텍스트성 비교 -페미니즘적 관점에서- (A Comparative Study of Textuality in Korean-Thai Female Poems -Feminism Point of View-)

  • 임명숙
    • 동남아시아연구
    • /
    • 제21권2호
    • /
    • pp.263-29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and compare the contemporary Korean-Thai female poems from a feminine standpoint to newly clarify the textuality of their poems. The textuality defined in this manuscript is the text of Korean-Thai contemporary female poems. To newly clarify the textuality of their poems are to go against the existing discussion method and to newly read out the text as re-vision method. This discussion is to analyse deeply how the central exis composing a text which is the identity of woman in a body, appearance of uttrance, or action of abjection is exposed in gender space and to identify the poem's textuality. In other words, through in-depth analysis of the text of poems, which are very complicated as a skein of yarn, place a high value of Korean-Thai female poems. Transcending time, nations and races, if the text of female poem would not free from a biased male-dominated thinking or make a mystery of female poem textuality without critics or tend to be stereotype the text of poem as pathos of female, it would not get out from man-centered reading. To escape from the state of sexual discrimination, the new reading method was seriously analysed and found out that the female text poems not only implicate sexual discrimination but also link to expansive cultural and social structure. And for that reason, this study raise a question to male-dominant sexual discriminated norm. It is very significant that through this elaborate and in-depth text poem analysis, a creation process of female poem is traced. Eventually, the comparative study on Korean-Thai female poems is meaningful and worthy in regard to the contribution to promotion of cultural exchange between korea-Thai two nations and furthermore extend to East Asia to make a basement for the vitalization of Asia comparative literature.

조선과 일본에 사는 시인 김시종 - 장편시집 『니이가타』에 표현된 '재일'의 의미 (The Poet Kim Shi-Jong living in both Joseon and Japan: the Meaning of 'Zainichi' Expressed in Epic Poem Niigata)

  • 김계자
    • 비교문화연구
    • /
    • 제45권
    • /
    • pp.7-32
    • /
    • 2016
  • 이 논문은 재일코리언 김시종의 장편시집 "니이가타"의 표현을 고찰해 식민 이후와 분단의 시대를 살아가는 '재일'의 의미를 생각해본 것이다. "니이가타"는 1959년에 니이가타 항에서 재일코리언이 북한으로 귀국하는 모습을 바라보며, 제주 4.3사건 이후 정부 당국에 쫓겨 1949년에 일본으로 건너와 현재에 이르기까지 재일의 삶을 살고 있는 김시종의 '재일'에 대한 적극적인 의미 표명을 상징적인 표현을 통해 잘 보여주고 있는 시집이다. 김시종은 스스로를 재일 2세로 정위하고 일본사회 속에서 현실적이고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길을 모색해왔다. 그는 남북 분단의 현장이며 38도 선의 연장선상에 있는 니이가타에서 조국에서는 넘을 수 없었던 분단을 넘는 상상을 한다. 이는 재일의 삶을 살고 있기에 가능한 공간 확장의 상상이라고 할 수 있다. "니이가타"는 '재일'이 한국과 일본 사이에 끼어 정체성의 불안을 느끼는 네거티브한 존재가 더 이상 아니라, 한국과 북한, 그리고 일본을 모두 포괄하며 이들을 새로운 의미로 관련지을 수 있는 존재임을 보여주고 있다. 식민과 분단의 어두운 기억 속에서 살던 자아를 깨워 새로운 공간의 상상력을 펼침으로써 남북을 총칭하는 '조선'과 일본을 아우르는 지점에서 재일을 사는 의미를 찾고자 한 시인의 적극적 의지 표명을 읽어낼 수 있다.

로버트 사우디, 식민주의, 그리고 동양 -『파괴자 탈라바』를 중심으로 (Robert Southey, Colonialism, and the East: The Case of Thalaba the Destroyer)

  • 조희정
    • 영어영문학
    • /
    • 제58권5호
    • /
    • pp.859-880
    • /
    • 2012
  •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Robert Southey's Thalaba the Destroyer in relation to cultural colonialism of the British Romantic period and investigating the ways in which this text portrays the Other through its literary representation of the East. Especially,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at the Oriental world constructed in Southey's text reveals the imperial subject's self-conscious awareness of its unstable relation with the unknown Other. For this purpose, this paper attends to the formal aspects of Thalaba the Destroyer, examining the process by which the reader's generic expectations about the "epic" undergo complex revisions and frustrations through reading this text. The epic elements contained in Thalaba the Detroyer include the battle between good and evil and the hero's moral epiphany arising from his struggle against malicious enemies. Yet, Thalaba the Destroyer constantly destabilizes the distinction between self and other by leading the reader to recognize the uncomfortable similarity between the poem's tyrannical figures and imperialistic monarchs in the Western civilization. Thus, when the hero enacts a revolution against despotism, the resistant power points not only to the imagined false kingdom within the text, but to the core of the real Empire that seeks to construct its own "garden" in the global scene. In addition, Southey's "panoramic" description of Oriental objects and stories in his footnotes lacks a framing perspective, erasing and de-stabilizing subject/object distinctions. In these footnotes, he exposes his profound attraction to the culture of "Other" and also conveys his aspiration to transforming Eastern myths and stories into profitable literary texts. Southey's attitude to the East in the footnotes appears to be partially grounded upon the interest of mercantile capitalists of the West, who need to discover potential commodities. Yet, simultaneously, he reveals a sense of moral hesitation about his own desire for the materiality of the East, along with deep anxiety arising from the fear of punishment.

파괴와 부활 사이에서: 만화 『낙원의 쏭이』에 나타나는 예수의 촌뜨기로의 전환 (Between Destruction and Rebirth: Transformation of Jesus into a Hillbilly of the Graphic Novel, Songy of Paradise)

  • 김혜연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628-63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밀턴의 예수가 개리 팬터의 『낙원의 쏭이』의 쏭이로 재현되면서 나타나는 원전에 대한 전복성과 유사성을 논한다. 팬터는 영문학의 청교도 서사시인 『복낙원』을 현대 펑크 만화로 재현하면서, 밀턴의 예수를 '힐빌리', 즉 촌뜨기 쏭이로 그린다. 원작에서 '하나님의 아들'이자 '세상을 구한 영웅'으로 그려지는 예수가 펑크식 촌뜨기로 그려지고 있다는 사실은 그 자체로 원작에 대한 가장 적극적인 도전이자 해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탄의 유혹에 굴복하지 않고, 자신의 신념을 지켜내는 방식에 있어서 쏭이는 원작의 예수와 비슷한 방식을 취한다. 즉 법률적 언어의 의미를 파괴하고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는 상징의 언어를 취하면서 결국 '대화의 실패'로 귀결되는 방식을 통해 쏭이는 예수와 마찬가지로 사탄과의 전투에서 승리를 이끌어낸다. 본 연구에서는 이처럼 예수적 담론 대한 해체와 예수적 저항 방식의 수용이라는 이중적 특징을 보여주는 쏭이의 재현 방식을 분석한다.

(De)Colonizing Literary Digital Annotating: A Student's Experience in the Classroom

  • Koo, Yeonwo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194-207
    • /
    • 2019
  • This paper is the author's personal experience and interpretation as a student whilst participating in Professor Kyung-Sook Shin's English Literature graduate course, "Literature and Technology II: Feminisms and Digital Humanities," during the 2019 spring semester at Yonsei University, South Korea. Exploring the intersections of literary feminist theory and digital humanities, this paper examines not only the content, but also the methodology and political effects of collaboratively digitally annotating Elizabeth Barrett Browning's epic novel/poem, Aurora Leigh (1856) through the medium, Google Docs. In particular, this paper observes the students' interaction with the digital tools and literature-related pedagogy in two main parts. First, the democratic political nature of classroom culture when creating a new language/code during annotation. Second, the coexistence of cyberspace and the physical classroom space and its effect on time, specifically in the archival of the past, influencing of the future, and the splitting into the present multiverse. From a student's perspective in digital literary annotation, this paper shows that technology could become a way to decolonize and reprogram education to be more inclusive and collaborative.

「역대가(歷代歌)」를 통해 본 옥동(玉洞) 이서(李漵)의 역사인식(歷史認識) (Okdong Lee Seo's Historical View Examined through Yeokdaega)

  • 윤재환
    • 동양고전연구
    • /
    • 제57호
    • /
    • pp.331-357
    • /
    • 2014
  • 이 글은 옥동(玉洞) 이서(李?)의 장편 영사시(詠史詩) "역대가(歷代歌)"를 대상으로, 그 속에서 확인되는 옥동의 역사인식을 살펴보고자 한 글이다. 옥동 이서가 도덕적 수양을 최상의 가치에 둔 도학자(道學者)였다는 점에서 옥동의 "역대가"는 유가적(儒家的) 인식세계(認識世界)와 구분하여 설명하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옥동의 "역대가"는 7언 526구로 구성된 장편(長篇) 고시(古詩)인데, 지금까지 알려진 "역대가" 계열의 작품들과 그 구성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옥동의 "역대가"는 두 개의 큰 단락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 번째 단락은 태초부터 명(明)나라 멸망시기까지 중국의 사적을 서술한 부분이고, 두 번째 단락은 당대 현실의 부조리를 서술하여 현실에 대한 강한 비판의식을 드러낸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역대가" 계열의 작품들이 역사적 사건을 소재로 하여 치란(治亂)과 흥망(興亡)의 사적만을 이야기하는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옥동의 "역대가"는 그의 유가적(儒家的) 역사인식(歷史認識)을 바탕으로 창작된 것이라 생각된다. 옥동에게 중국 역대 왕조의 흥망성쇠는 역사적 사실로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살아가는 사람들이 도덕적 수양을 추구해야 할 이유를 설명해 주는 도구로 작용하였다고 보인다. 옥동은 자신이 익힌 중국 역대 왕조의 흥망성쇠와 현실의 부조리에 대한 예리한 비판, 그리고 도덕적 수양의 필요성에 대한 자극을 모두 더하여 526구의 장편 영사시 "역대가"를 창작하였다. 그런 점에서 옥동의 "역대가"는 예술성을 목적으로 하는 순수한 문학 활동의 결과물이라고 하기에는 쉽지 않은 부분이 있다. 그러나 옥동의 "역대가"는 그 나름의 문학성을 통해 이전까지 저작된 여타의 "역대가" 작품들과 비교하여 문학적으로 뒤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옥동의 "역대가"는 문학성과 함께 그 스스로의 학습과 자기 신념의 강화를 위한 수단이면서 동시에 그와 그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을 위한 교육의 도구였다는 점에서 더 큰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