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zyme Efficiency

검색결과 451건 처리시간 0.028초

안정적이며 지속적 밀(Triticum aestivum) 미성숙배 조직배양을 위한 스피드 브리딩 조건의 배양 효율 검정 (Evaluation of Tissue Culture Efficiency in a Speed Breeding System for Stable and Sustainable Supported Wheat (Triticum aestivum) Immature Embryogenesis)

  • 이건희;김태겸;최창현;김재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5권4호
    • /
    • pp.365-376
    • /
    • 2020
  • 미성숙배를 이용한 조직배양은 높은 재분화율로 인하여 밀 형질전환에 적용하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매우 한정적인 수집시기와 생육조건으로 인해 이용하기 위한 시간의 제한과 많은 노동력이 집약되어있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미성숙배 수집을 위해 스피드 브리딩 조건을 이용하여 출수가 촉진된 밀 이삭을 이용한 미성숙배 조직배양의 효율을 검정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스피드 브리딩 조건의 출수기는 정상조건과 비교하여 36일에서 54일까지 단축되었으며, 개화 후 11일 된 영과에서 수집된 미성숙배 조직배양의 재분화율과 소식물체 출현 비율은 정상조건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 두 배양 조건에서 항산화 효소 활성 분석 결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관 표지 유전자 발현 검정을 통하여 일장과 세포분열과의 관계를 검정하여 스피드 브리딩 조건에서 수집된 이삭의 안정성을 검정하였다. 3. 본 연구 결과는 스피드 브리딩 조건을 활용한 미성숙배 조직배양에 활용될 것이며 관련 유전자 발현 및 항산화 활성 검정 결과를 통해 검증된 안정적 미성숙배는 밀 형질전환 기술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 of Graded Levels of Tallow in the Diet on Performance, Digestibility of Fat, Lipogenesis and Body Lipid Deposition of the Weaned Piglet

  • Reis de Souza, T.C.;Aumaitre, A.;Mourot, J.;Peiniau,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4호
    • /
    • pp.497-505
    • /
    • 2000
  • Thirty piglets weaned at 24.5 d of age ($6.9{\pm}0.5kg$) randomly alloted to 3 treatmen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tallow on average performance, digestibility of nutrients, metabolic utilization of energy and body composition at 25 kg. Weaned piglets respond to increasing levels of dietary tallow from 0 to 4% and 8% by digestive and metabolic adaptation. Apparent fecal digestibility of fat (AFDf) was highly correlated with the level of dietary tallow (X as % of fat extracted after HCl hydrolysis) by the following curvilinear equation of regression: $AFDf=33.8+6.9X-0.3X^2$. Feed intake expressed as DE was only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higher inclusion level of tallow. But neither average daily gain, nor feed conversion was affected by the addition of fat. On the other hand, body composition at 25 kg was equally affected, by both levels of supplementary fat; dry matter and energy content in the body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1) in piglets receiving tallow. As a consequence, the energy cost of the live weight gain was also increased from 23 to 24.7 MJ DE/kg (p<0.02) and the efficiency of energy deposition was decreased from 3.2 to 2.8 MJ DE/MJ deposited energy (p<0.01) in the presence of dietary tallow. An increase in the level of fat stimulated the activity of pancreatic lipase up to a constant value of $22{\pm}1.4IU/mg$ protein but conversely depressed the activity of amylase from 300 to 100 IU/mg of protein. The activity of liver acetyl CoA carboxylase and malic enzyme in the perirenal fat were low lind not affected by dietary fat; the activity of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was high. Opposite to that, the activity of acetyl CoA carboxylase and malic enzyme in the perirenal and backfat were higher than in the liver and both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the inclusion of fat in the diet. A direct deposition of dietary fat has been demonstrated by increasing the energy and lipid content of the empty body weight gain between 7 and 25 kg of live weight, and decreasing the efficiency of digestible energy utilization.

Chromosomal Integration에 의해 제조한 Bacillus clausii C5 유래의 alkaline protease의 세제 첨가제 응용성 (Feasibility as a Laundry Detergent Additive of an Alkaline Protease from Bacillus clausii C5 Transformed by Chromosomal Integration)

  • 주한승;최장원
    • KSBB Journal
    • /
    • 제27권6호
    • /
    • pp.352-360
    • /
    • 2012
  • Bacillus clausii I-52 which produced SDS- and $H_2O_2$-tolerant extracellular alkaline protease (BCAP) was isolated from heavily polluted tidal mud flat of West Sea in Incheon, Korea and stable strain (transformant C5) of B. clausii I-52 harboring another copy of BCAP gene in the chromosome was developed using the chromosome integration vector, pHPS9-fuBCAP. When investigated the production of BCAP using B. clausii transformant C5 through pilot-scale submerged fermentation (500 L) at $37^{\circ}C$ for 30 h with an aeration rate of 1 vvm and agitation rate of 250 rpm, protease yield of approximately 105,700 U/mL was achieved using an optimized medium (soybean meal 2%, wheat flour 1%, sodium citrate 0.5%, $K_2HPO_4$ 0.4%, $Na_2HPO_4$ 0.1%, NaCl 0.4%, $MgSO_4{\cdot}7H_2O$ 0.01%, $FeSO_4{\cdot}7H_2O$ 0.05%, liquid maltose 2.5%, $Na_2CO_3$ 0.6%). The enzyme stability of BCAP was increased by addition of polyols (10%, v/v) and also, the stabilities of BCAP towards not only the thermal-induced inactivation at $50^{\circ}C$ but also the SDS and $H_2O_2$-induced inactivation at $50^{\circ}C$ were enhanced. Among the polyols examined, the best result was obtained with propylene glycol (10%, v/v). The BCAP supplemented with propylene glycol exhibited extreme stability against not only the detergent components such as ${\alpha}$-orephin sulfonate (AOS) and zeolite but also the commercial detergent preparations. The granulized enzyme of BCAP was prepared with approximately 1,310,000 U/g of granule. Wash performance analysis using EMPA test fabrics revealed that BCAP granule exhibited high efficiency for removal of protein stains in the presence of anionic surfactants as well as bleaching agents. When compared to Savinase 6T$^{(R)}$ and Everlase 6T$^{(R)}$ manufactured by Novozymes, BCAP under this study probably showed similar or higher efficiency for the removal of protein stai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lkaline protease produced from B. clausii transformant C5 showing high stability against detergents and high wash performance has significant potential and a promising candidate for use as a detergent additive.

비전분성 탄수화물 분해효소 혼합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혈중 대사물질, 및 장내미생물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on-Starch Carbohydrase Supplementation on Productivity, Blood Parameters, and Cecal Microorganisms in Broiler Chickens)

  • 선상수;박철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2호
    • /
    • pp.437-443
    • /
    • 2019
  • 본 연구는 혼합효소제를 육계사료에 첨가 급여 하였을때 생산성, 혈액성분, 및 장내 미생물의 변화를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병아리(Ross 308) 300수를 공시하여 5개의 처리구 (대조구, 0.5MXG, 1.0MXG, 2.0MXG 와 1.0G)에 완전 임의배치하고 3반복으로 수행하였다. 결과는 체중, 사료섭취량, 사료효율 및 일당증체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MXG 효소 처리구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도체중, 근위, 심장의 무게는 대조구에 비하여 효소 첨가구에서 높게 측정되었으나, 이는 도체중의 증가에 대한 영향으로 보인다. 그러나, 간장의 무게는 대조구에 비하여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p<0.05). 장내 전체 세균수는 대조구에 비하여 효소 첨가구(MXG)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p<0.05). 혈액성분 중에서 total protein, 혈중요소태질소(BUN) 와 포도당 함량은 변화가 없었다. 그러나, 면역항체인 IgG 농도는 대조구에 비하여 1.0 과 2.0 MXG 혼합 급여구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결론적으로 혼합효소제 첨가는 육계에서 사료효율과 IgG 수준은 향상시켰으며, 간장의 무게와 장내 세균숫자는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참나무속 5종의 오존 독성에 대한 생리생화학적 반응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Responses to Ozone Toxicity in Five Species of genus Quercus Seedlings)

  • 김두현;한심희;구자정;이갑연;김판기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47-57
    • /
    • 2008
  • 오존에 노출된 참나무속 5종의 오존에 대한 내성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생리생화학적 변화를 조사하였다. 150ppb 오존에 노출된 참나무속 5종(상수리나무, 갈참나무, 대왕참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의 잎에서 엽록소 함량, 광합성 특성, MDA 함량 및 항산화효소 활성이 측정되었다. 엽록소, 카로테노이드 함량, 순광합성 속도 및 탄소고정효율은 오존 처리 후에 감소하였다. 오존에 노출된 수목의 총 엽록소 함량과 탄소고정효율의 감소율은 갈참나무의 경우 15%와 34% 였으며, 굴참나무의 경우 38.3%와 62.1%였다. MDA 함량은 오존 처리 하에서 증가하였으며, 상수리나무에서 140%까지 증가를 보였다. 상수리나무의 SOD 활성 증가율(60%)은 가장 높았으며, APX 활성은 굴참나무, 졸참나무, 상수리나무에서 증가를 보였다. 생리생화학적 반응을 기초로 한 참나무속 5종의 내성 능력은 갈참나무, 대왕참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 상수리나무 순이었다. 결론적으로 엽록소 함량, 광합성 특성, MDA 함량, 항산화효소와 같은 생리학적 지표들은 오존 스트레스에 대한 내성을 평가하기 위한 매우 중요한 지표들로 생각되며, 이러한 모수들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Dose-dependent effects of a microbial phytase on phosphorus digestibility of common feedstuffs in pigs

  • Almeida, Ferdinando N.;Vazquez-Anon, Mercedes;Escobar, Jeffer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85-993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increasing doses of a novel microbial phytase (Cibenza Phytaverse, Novus International, St. Charles, MO, USA) on standardized total tract digestibility (STTD) of P in canola meal (CM), corn, corn-derived distiller's dried grains with solubles (DDGS), rice bran (RB), sorghum, soybean meal (SBM), sunflower meal (SFM), and wheat. Methods: Two cohorts of 36 pigs each (initial body weight = $78.5{\pm}3.7kg$) were randomly assigned to 2 rooms, each housing 36 pigs, and then allotted to 6 diets with 6 replicates per diet in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Test ingredient was the only dietary source of P and diets contained 6 concentrations of phytase (0, 125, 250, 500, 1,000, or 2,000 phytase units [FTU]/kg) with 0.4% of $TiO_2$ as a digestibility marker. Feeding schedule for each ingredient was 5 d acclimation, 5 d fecal collection, and 4 d washout. The STTD of P increased (linear or exponential $p{\leq}0.001$) with the inclusion of phytase for all ingredients. Results: Basal STTD of P was 37.6% for CM, 37.6% for corn, 68.6% for DDGS, 10.3% for RB, 41.2% for sorghum, 36.7% for SBM, 26.2% for SFM, and 55.1% for wheat. The efficiency of this novel phytase to hydrolyze phytate is best described with a broken-line model for corn, an exponential model for CM, RB, SBM, SFM, and wheat, and a linear model for DDGS and sorghum. Based on best-fit model the phytase dose (FTU/kg) needed for highest STTD of P (%), respectively, was 735 for 64.3% in CM, 550 for 69.4% in corn, 160 for 55.5% in SBM, 1,219 for 57.8% in SFM, and 881 for 64.0% in wheat, whereas a maximum response was not obtained for sorghum, DDGS and RB within the evaluated phytase range of 0 to 2,000 FTU/kg. These differences in the phytase concentration needed to maximize the STTD of P clearly indicate that the enzyme does not have the same hydrolysis efficiency among the evaluated ingredients. Conclusion: Variations in enzyme efficacy to release P from phytate in various feedstuffs need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when determining the matrix value for phytase in a mixed diet, which likely depends on the type and inclusion concentration of ingredients used in mixed diets for pigs. The use of a fixed P matrix value across different diet types for a given phytase concentration is discouraged as it may result in inaccurate diet formulation.

쇠고기에 첨가한 마늘의 소화효과 (Effect of Garlic on the Digestion of Beef Protein during Storage)

  • 류홍수;류홍수;이강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47-454
    • /
    • 1991
  • 쇠고기 단백질 소화에 미치는 마늘의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마늘첨가량, 숙성기간에 따른 효소소화율 및 소화저해물질(Trypsin Inhibitor, TI)의 변화를 실험하였다. 또한 효소 가수분해물의 gel여과 및 가용성부분의 질소량을 정량하여 단백질의 구조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소화율과 아미노산조성 결과를 토대로 예측소화율(Predicted Digestibility, P-dig.), 계산단백효율비(Computed Protein Efficiency Ratio, C-PER) 및 분별계산단백효율비(Discriminant Computed Protein Efficiency Ratio, DC-PER)를 계산하여 단백질 품질을 평가하였다. 쇠고기단백질 소화율은 첨가되는 생마늘량에 약간 영향을 받으나 최적 참가량은 첨가 후의 가열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96{\pm}1^{\circ}C$, 20분 가열시 쇠고기 : 마늘=100g : 12g, 60분 가열시 쇠고기 : 마늘=100g : 3g) 열변성된 쇠고기에 대한 생마늘의 효과는 없고, 날쇠고기육의 소화에는 생마늘의 효과만 인정되며 이미 가열된 쇠고기육의 소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날쇠고기를 $4~6^{\circ}C$에서 숙성시켰을 때, 최대의 소화율을 나타내는 시간은 마늘 첨가량에 따라 달라 날쇠고기 100g에 마늘 3g을 첨가할 경우에는(A) 8시간, 12g일 경우에는(B) 12시간이었다. 마늘과 함께 숙성시킨 쇠고기육은 (A)의 경우 $96{\pm}1^{\circ}C$에서 80분, (B)의 경우 20분 정도 가열했을 때 최대소화율을 나타내었다. Four-enzyme으로 가수분해한 숙성시료에는 2,200 dalton 정도의 저분자량의 peptid가 생성되어 소화가 용이함을 확인했으며, 가용성부분도 소화율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효소소화율에 비례하여 C-PER은 증가하여 C-PER 2.14(날쇠고기)에서 2.50(마늘과 함께 숙성시킨 시료)로 품질이 개선되었다.

  • PDF

효소제와 미생물제제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도체성적, 장내 미생물 및 계분 악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Enzyme and Microorganism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Quality, Intestinal Microflora and Feces Odor in Broiler Chickens)

  • 박철주;선상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75-283
    • /
    • 2020
  • 본 실험은 육계사료에 효소제와 미생물제제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 도체성적, 장내미생물 및 분뇨의 악취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병아리(2일령, Ross 308, 육계) 180수를 공시했으며, 대조구와 사료에 metallo-protease를 0.1%, 0.2%씩 첨가한 0.1% EZ군, 0.2% EZ군과 2.0% Bacillus velezensis CE를 사료에 첨가한 M군과 사료와 음수에 2.0%씩 첨가한 MW군으로 나누어, 5처리 3반복으로 반복 당 12수씩 임의배치하였다. 적응기간을 거친 후 전기 3주간, 후기 3주를 포함하여 총 43일 동안 사양하였다. 종료체중, 증체량, 사료요구율, 단백질효율, 에너지효율은 모든 처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도체중, 선위, 근위, 심장, 소장, 맹장, 직장의 무게는 모든 처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간의 무게는 0.1% EZ군이 대조구, M군, MW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Total bacteria 수는 0.1% EZ군과 0.2% EZ군이 대조구, MW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E. coli 수는 MW군이 대조구와 M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M군은 0.2% EZ군과 MW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계분의 황화수소 발생량은 모든 처리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암모니아 발생량은 0.1% EZ군이 MW군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본 실험결과, 단백질 분해 효소제를 0.1% 첨가할 경우 육계의 장기 중 간의 발달에 효과적임을 보였으나, 첨가수준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미생물제제의 첨가는 장내 미생물과 계분의 악취 발생량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보였다.

Gelatinized Carbohydrates in the Diet of Catla catla Fingerlings: Effect of Levels and Sources on Nutrient Utilization, Body Composition and Tissue Enzyme Activities

  • Yengkokpam, Sona;Sahu, N.P.;Pal, A.K.;Mukherjee, S.C.;Debnath, Dipes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1호
    • /
    • pp.89-99
    • /
    • 2007
  • A Feeding trial was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sources and two levels of dietary gelatinized carbohydrate (GC) on nutrient utilization, growth, tissue composition and tissue enzyme activities of fingerlings of Catla catla (15.1-15.3 g). Six isocaloric (17.1-17.5 kJ/g) semi-purified diets were prepared either with rice, corn or tapioca at 40 or 50% GC each. The crude protein (CP) level used in the diet was 35% and 25% for 40% and 50% GC level, respectively to study the protein sparing effect of GC. The degree of gelatinization was higher for corn and tapioca than rice under similar cooking conditions. After a 60-d feeding trial, dry matter, carbohydrate, protein and lipid digestibility were higher in tapioca fed groups at both the levels of GC. However, the highest specific growth rate (SGR) and protein efficiency ratio (PER) were observed in the corn fed groups at 50% GC level indicating better utilization of nutrients from gelatinized corn. Feed conversion ratio (FCR) was almost similar in corn and tapioca fed groups between two levels of GC but in rice fed groups, FCR was lower in 40% GC than 50% GC level. The results indicated higher protein-sparing effect in corn and tapioca fed groups than rice fed groups. The order of gelatinized carbohydrate utilization in Catla catla fingerlings at 50% GC level was corn>tapioca>rice. At 40% GC level, corn and tapioca were comparable and more efficiently utilized than rice. In the corn fed groups, 50% GC was comparable with 40% GC level, whereas in rice and tapioca fed groups the 40% GC was better in terms of nutrient utilization. Liver glycogen content and hepatosomatic index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those groups fed high GC (50%) irrespective of carbohydrate sources. Higher intestinal amylase and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activities were observed in higher GC fed groups than the lower GC groups. No mortality was found in any groups at any levels of GC.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이 성장기 흰쥐의 지질대사, 단백질 농도 및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iquid. Culture of Coriolus versicolor on Lipid Metabolism, Protein Level and Enzyme Activities in Rats)

  • 고진복;최미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512-517
    • /
    • 2004
  • 운지버섯의 균사체 배양액이 성장기 흰쥐의 영양생리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고자 생후 7주령의 숫쥐를 대상으로 음료수에 10%, 20% 및 30%수준으로 운지버섯 균사체 배양액을 혼합하여 5주간 급여하고 성장률, 식이 섭취 량, 식이효율, 장기의 무게, 간과 혈청의 지질 농도, 혈청의 단백질 농도 및 효소 활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간다. 체중증가량,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및 장기의 무게는 대조군과 운지버섯 음료군들이 비슷한 경향이었다. 간과 혈청의 중성지질과 콜레스테롤 농도 및 혈청의 HDL-콜레스테를 농도는 대조군과 운지버섯 음료군들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혈청의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해 30% 운지버섯 음료군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은 대조군에 비해 30% 운지버섯 음료군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혈청의 총 단백질, 알부민, 혈당, 혈색소, 칼슘, 무기인 및 마그네슘 등의 농도는 각 수준별 운지버섯 음료군이 대조군과 비슷한 농도로 운지 버섯 음료 섭취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혈청의 GPT, GOT 및 ALP 등의 활성도 운지 버섯 음료 섭취에 따른 영향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대조식이와 10%, 20% 및 30% 수준의 운지 버섯 음료 섭취에 의한 성장률, 간과 혈청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 농도, 단백질 농도 및 효소 활성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30% 운지 버섯 섭취시 혈청의 동맥 경화지수를 낮추는 효과가 있고,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을 높여주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