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2초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통합적인 도시 평가 (An Integrated Assessment of Urba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이우성;정성관;박경훈;유주한;김경태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6호
    • /
    • pp.447-46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sustainability in 45 cities of all over Gyeongnam and Gyeongbuk using weights and assessment system developed in leading research. The materials of assessment used statistical data and spatial data were standardized for the systematic result. The assessment score was established using the normal distribution from 25 to 125 for removal of the very smallest and maximum value. According to the results, Tongyeong was assessed the highest by 82.5 score in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In economical sustainability index, Pohang, Gumi, Changwon, Yangsan were more than 79 score but Busan, Daegu, Andong were less than 70 score. Ulsan, Geoje, Yangsan were assessed higher in society-institutional sustainability index and Jinju, Munkyeong, Changnyeong were showed higher than other cities by more 79 score in quality of life(QOL)'s sustainability index. In case of integrated sustainability index, Jinju that was the highest sustainability in QOL was assessed by first city. However, Ulsan was assessed the lowest city among others. Therefore cities which have high sustainability will prepare a politic investment program for maintaining current conditions. Cities which have low sustainability will grasp closely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urban and present the improvement direction through monitoring continuously. Overall,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tools to assess the current cities and predict the future one.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urban planning for livable and sustainable city.

지방정부의 지속가능도시를 위한 정책적 노력이 도시 내 CO2 배출량에 미치는 영향 - 미국 도시들을 사례로 - (Impact of municipal sustainability policy efforts on citywide CO2 emissions - Case study of cities in the USA -)

  • 박진한;김송이
    • 국토계획
    • /
    • 제53권6호
    • /
    • pp.87-9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f municipal sustainability policy efforts on citywide $CO_2$ emissions. 25 cities in the U.S.A., which offer data on $CO_2$ emissions and are included in the top 50 largest cities in the U.S.A. according to its estimated population, were selected as study cities. This study utilizes the Sustainable Cities Seriously Index of Portney and selects data for the index at the city level. For analysis, this study employs correlation analysis, and OLS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each city has around 30 sustainability policies and emits $12.76tCO_2$ per year on average. In addition, when the number of sustainability policies increases by one, the amount of $CO_2$ per capita decreases by $0.7tCO_2$. This means that the more cities employ sustainability policies, the less $CO_2$ those cities emi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idea that active efforts on behalf of municipal governments toward the development of sustainability policies are needed to handle citywide $CO_2$ emissions.

수자원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수 개발과 구성 요소의 중요도 평가 (Development of Assessment Index for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and Weights Evaluation of It's Components)

  • 강민구;이광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9권1호
    • /
    • pp.59-68
    • /
    • 2006
  • 지속가능한 수자원 이용과 관리를 위해서는 유역 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수자원과 관련된 활동들이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역의 수자원 이용과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 수질, 사회, 경제 및 환경 요인을 고려한 평가지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들을 선정하고 이들을 통합한 수자원 지속가능성 지수(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Index, WRSI)를 개발하였다. WRSI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중요도(Weight)는 계층적 분석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수자원의 지속가능성을 세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WRSI를 경제적 효율성, 사회적 공평성, 환경적 보전성, 유지관리능력 등 4개 세부기준으로 구분하였다. 세부지수의 구성 지표는 유역조사, 사회 및 경제 통계, 여론조사 및 관련된 선행 연구결과를 분석하고 적합성을 평가한 후 선정하였다. WRSI 구성요소들의 중요도는 127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정하였다. 세부지수와 구성 지표의 중요도 분석결과는 수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서 수자원 이용의 효율성과 공평성 증대, 하천 수질을 향상시켜 친수 기능의 복원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수자원 분야에 지속적으로 적정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수자원 정책 결정에 대한 주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냈다.

TBL을 활용한 항만의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Ports using TBL (Triple Bottom Line))

  • 박호;이주호;장현미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211-220
    • /
    • 2016
  • 항만을 둘러싼 외부환경변화에 따라 항만의 지속가능한 운영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다양한 분야에서 TBL을 활용한 지속가능성 평가가 진행되고 있으며, 항만도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해 경제적 측면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적 측면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TBL을 접목하여 항만의 지속가능성 평가지표를 선정하고 중요도를 분석하여, 국내 주요 4대 항만에 대해 지속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항만의 지속가능성을 위해서는 가치가 높은 물동량 확보와 함께 항만 운영과 인프라 및 자본 투자의 효율성 제고가 필요하며, 주변 지역의 연계성장과 함께 친환경적인 항만의 운영이 필요할 것이다.

시스템 생태학적 접근법에 의한 서낙동강 유역의 지속성 평가 (Sustainability Evaluation of Western Nakdong River Basin by the Systems Ecology)

  • 김진이;박배경;이수웅;류덕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439-445
    • /
    • 2010
  • An emergy analysis of the main energy flows driving the economy of humans and life support systems consists of environmental energies, fuels, and imports, all expressed as solar emjoules. Total emergy use (371 E20 sej/yr) of the Western Nakdong River Basin is 97 per cent from imported sources, fuels and goods and services. Emergy flows from the environment such as rain and geological uplift flux accounted for only 2.9 percent of total emergy use. Emergy yield ratio and environment loading ratio were 1.03 and 33.27, respectively. Emergy sustainability index, a ratio of emergy yield ratio to environment loading ratio, is therefore less than one, which is indicative of highly developed consumer oriented economies. It is necessary for an efficient management of Western Nakdong River Basin to reduce pollution load basically and to restructure economic activities into an environmental friendly industrial structure depending on renewable energy and resources.

생태주거단지의 지속가능성제고를 위한 계획요소-제어요소-평가지표 연계시스템 (에너지 계획분야를 중심으로) (The Connection System through Environmental Analysing Factor-Plan Element-Control Element-Valuation Index to Improve the Sustainability in Ecological Housing Estate)

  • 서동구;오덕성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49-58
    • /
    • 2008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structure and system to make close relationship among planning elements, legal regulation and evaluation index toward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ecological housing estate. Through these close relationships the ecological housing estate could get more sustainability. With this consideration, this study consists of following three parts. First, we review the key issues of sustainability in ecological housing which are focused on the energy-efficient planning. Second, we extract the planning elements, legal regulation and evaluation index using the qualitative system dynamics that is found out all phenomenons from viewpoint of closed loop thinking and circular feedback system. Third, we analyse the correlationship among them in terms of energy efficient planning in the ecological housing estate. Finally, we summarize the findings toward sustainability in ecological housing estate through these analysis.

  • PDF

물 인프라 지속가능성 지수 분석: 가중치 분석과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Analysis of Water Infrastructure Sustainability Index: Using Weighting and Cluster Analysis)

  • 류재나;강대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8권3호
    • /
    • pp.417-428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상하수도 시설을 중심으로 한 물 인프라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는 지수들을 활용하여 경제, 사회, 환경적 측면에서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고 지속가능성 확보 필요성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경제, 사회, 환경적 지수 중 중요하게 고려해야할 세부지수들을 파악하고, 전국 지자체를 유형화하여 집단 간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세부 지수의 가중치 산출은 주성분 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지자체를 유형화하는 과정에는 K-평균 군집분석을 시행하였다. 가중치 분석 결과, 전체 12개의 지수 중 재정자립도, 자본수입비율, 보조금비율, 서비스보급률, 노후화율, 수생태건강성, 하천수질이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주요한 변수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경제부문 지수의 영향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는 군집분석 결과를 통해 지자체를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고, 각 유형 별 특징을 살펴보았다. 먼저 경제부문의 지속가능성이 우수한 집단에서는 환경부문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대체로 지속가능성 상태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문이 우수한 집단에서는 지속가능성 상태가 열악한 지자체가 많이 포함되어 있으며, 특히, 경제부문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 육상풍력발전사업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 연구 - 58개 환경영향평가서 사례에 대한 정량적 분석 - (Analysis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South Korean Inland Windfarms)

  • 정은해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1호
    • /
    • pp.47-62
    • /
    • 2022
  • 풍력발전은 비용 효율적인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우리나라 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빠르게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보장하면서 지속가능한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증거에 기반한 정책수립과 혁신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풍력발전 환경영향평가서 58건의 분석을 통해 1) 국내 육상풍력의 주요 특징이 어떠한가? 2) 환경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업별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분석하는 방법이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환경영향평가서에 제시된 개별 육상풍력사업의 환경적 지속가능성과 관련한 변수를 추출하여 이러한 환경변수에 대한 요인분석을 수행하고 개별 변수의 가중치를 계산하여 육상풍력발전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였다. 이러한 환경적 지속가능성지수는 육상풍력발전의 입지를 고려할 때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증거에 기반한 의사결정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58개 사업은 사업지역의 고도 및 자연성의 정도를 바탕으로 1) 산악형, 2) 목장형, 3) 해안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 풍력발전사업에 대한 환경적 지속가능성지수를 성공적으로 계산하였다. 가장 환경적 지속가능성이 큰 사업은 목장형으로 분류된 33번 사업이 1.04였고, 가장 낮은 사업은 산악형으로 분류된 55번 사업으로 -1.44였다. 둘째, 분석결과는 목장형이 환경지속가능성 지수가 평균 0.4551로 환경적 지속가능성이 가장 높고, 해안형이 평균 0.3712으로 중간이었으며, 산악형이 평균 -0.3457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육상풍력발전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된 결과를 보다 계량적으로 증명하고 있으며, 신재생에너지개발과 관련한 정책에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시도별 산림지속성의 지수화 (Developing Forest Sustainability Indices of Provinces in South Korea)

  • 김준순;성주한;김중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5권6호
    • /
    • pp.696-704
    • /
    • 2006
  • 본 연구는 광역지자체를 평가 단위로 하여 산림지속성 지수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산림지속성은 지속가능발전의 세 개의 축인 경제, 사회, 환경과 함께 기반을 추기하여 네 개의 축(부문)에 근거하여 평가되었다. 이들 부문의 중요도는 계층분석법의 한 형태인 쌍대비교 방식에 의하여 도출하였다. 경제, 사회, 환경에 해당하는 지표는 각기 3개씩, 기반 부문에는 6개로, 총 15개의 지표를 이용하여 산림지속성 지수를 산출하였다. 지표의 가중치 적용 방법으로는 점수가중치 방법을 사용하였다. 산림지속성 지수는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자료를 토대로 부문별, 관리/건강성, 종합지수로 구분하여 산정하였다. 산림지속성 종합지수는 2004년 기준으로 경상북도가 71.8로 가장 높았으며 인천이 22.9로 가정 낮게 나타났다.

에머지 분석을 통한 논벼 생산의 자원적 가치 평가 (Emergy Evaluation of Resource Values for Rice Paddy Production in South Korea)

  • 이지민;김태곤;서교
    • 농촌계획
    • /
    • 제20권4호
    • /
    • pp.35-43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mergy flows of rice for evaluating the value of rice production and sustainability. Emergy analysis evaluates the sustainability of systems or processes considering all the inputs to make a product or a sevic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mergy flows and indices of rice productionand compared the regional emergy values using statisticcal analysis: input materials, hours per unit area(10a), and production costs. As the results, we found that the rates of external investment (EIR= 18.87) and environmental loading (ELR=21.7) are significantly high during the rice cultivation. However, emergy yield ratio(EYR) shows that rice is a valuable resource because EYR is 5.12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SI value is as low as 0.24 and it shows rice has low sustainability. This study also shows that Chungcheongnam-do has the highest SI value for rice production due to low environmental loading and abundant natural energy during rice cultivation. These results of rice emergy flows and sustainability assessments could provide a way of sustainable rice cultivation with decrease of environmental loading from fertiliz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