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ial orientation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지 결정요인 비교분석 (A Comparison of Determinant Factors of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Korean and Chinese Students)

  • 이지석;속대붕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권2호
    • /
    • pp.65-81
    • /
    • 2010
  •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력지향성, 사회문화적 요인, 자기권능감이 창업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 간에 어떠한 차이점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첫째, 경력지향성에서 기술지향성, 안정지향성, 자율지향성 수준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반면에 사업지향성에서는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 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사회 문화적 요인 중 기업이미지 수준은 한국 대학생이 중국 대학생 보다 낮게 나타났다.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지 수준을 비교분석해 본 결과, 한국 대학생이 중국 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경력지향성 변수 중에서 사업지향성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적 정(+)의 영향이 있었고, 안정지향성에서는 한중 대학생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적으로 부(-)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권능감과 기업이미지는 한중 대학생 모두 창업의지에 유의적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네트워크 환경(가설 2-2)에서는 한국 대학생의 창업의지에는 가설이 기각된 반면에, 중국 대학생의 창업의지에는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별 및 전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and Maj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배병윤;이주헌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6호
    • /
    • pp.63-74
    • /
    • 2018
  • 한국 대학졸업자들의 실업은 최근 아주 심각한 수준인데 이들의 기업가정신 및 창업의도를 진작시킬 수 있는 요인을 찾아내는 연구는 매우 필요하다. 여성창업자과 이공계창업자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는데 반해 성별과 전공의 차이에 따른 창업관련 변수들의 차이를 검증한 실증연구는 아직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 성별과 전공(이공계, 비이공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국내외를 통해 기업가정신의 다양한 요인들과 창업의도 간의 관계에 대해서는 수많은 연구가 발표되었다. 하지만,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의 관계에서 성별과 전공(이공계, 비이공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논문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400부의 설문지가 배포되었고 결측치를 제외한 339부가 최종적으로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실증분석을 통해 밝혀진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선행 실증연구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은 창업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이 지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성별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기업가정신이 남녀 모두에 있어 창업의도에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지만 그 영향력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대학생의 기업가정신과 창업의도와의 관계에서 전공(이공계, 비이공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기업가정신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비이공계 전공 대학생보다 이공계 전공 대학생이 더 크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여성과 이공계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을 진작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대학생들의 창업의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determinants of university students)

  • 홍정표;양해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141-157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들 대상으로 하는 경험적 연구를 통해 그들의 창업의지를 살펴보고,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을 살펴보았다. 창업의지에 대한 각 독립변수들의 영향요인을 검증한 결과, 개인적 특성에서는 개인역량이, 경력지향에서는 안전지향, 자율지향, 기술지향, 사업지향이 각각 유의미한 관계로 나타났다. 창업환경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에서는 개인적 네트워크와 창업정책이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통제변수의 하나로 살펴본 창업교육 유무에서는 창업교육을 받았던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에 비해 창업의지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다수 변인의 유의성에도 불구하고 창업의지에 가장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사업지향성이다. 따라서 대학생들 스스로 사업에 대한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이와 관련된 설계 및 자기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창업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보급해야 할 것이다.

기업가적 시장지향성과 조직유효성·경영성과 간에 혁신성·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 (The Mediated Effect of Innovativeness and Customer Orientation among Entrepreneurial Market Orientati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Business Performance)

  • 유봉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924-3935
    • /
    • 2011
  • 본 연구는 기업가지향성, 시장지향성, 혁신성, 고객지향성 간의 인과관계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기업가 시장지향성과 조직유효성 경영성과 간에 나타나는 혁신성과 고객지향성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였다. 중소기업 임직원들로부터 받은 설문지 419부를 분석한 결과, 첫째, 기업가지향성이 시장지향성의 선행변수임이 검정되었다. 둘째, 시장지향성이 기업가지향성과 혁신성 고객지향성 간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적 시장지향성이 혁신성과 고객지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넷째, 혁신성과 고객지향성이 조직유효성과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다섯째, 본 연구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혁신성과 고객지향성이 기업가적 시장지향성과 조직유효성 경영성과 간에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와 같은 본 연구결과는 중소기업 경영에 있어서, 기업가지향성, 시장지향성, 혁신성, 고객지향성과 같은 조직특성의 중요성을 제기함으로써, 이러한 기업문화를 조성하고 이를 고조시킬 수 있는 경영진의 리더십이 중요함을 인식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e Roles of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nd Firm Inno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Firm Performance

  • KITTIKUNCHOTIWUT, Ploychompo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651-661
    • /
    • 2020
  •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firm innovation, and firm performance. To achieve a data collection, a mail survey procedure via questionnaire was implemented by using executives or managers of gems & jewelry industries, textile and clothing industries, leather and accessories, fashion apparel industries in Thailand as the key informants. Of the surveys completed and returned, 388 were usable. Hence, a model with a structural equation was used to evaluate the data survey of 388 respondents. The results reveal that, in terms of the mediating effect,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and firm innovation can complement each other in order to improv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Findings show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mproves firm innovation, which in turn improves firm efficiency. Firm innovation acts as a variable mediating between enterprise orientation and firm performance. Our findings contribute to the current emergence of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tha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firm performanc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s normally a firm performance that enterprises develop which can have use the information available and make an impact. It can be considered through the mediation of organizational learning capability, and firm innovation variable and as stated in previous literature, it can influence firm performance.

소기업 CEO의 역경지수가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지향성의 매개역할 (The Effect of Adversity Quotient of Small business CEOs on Customer Orientation: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 구웅모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3호
    • /
    • pp.103-119
    • /
    • 2020
  • 본 연구는 소기업 CEO를 대상으로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창업기업가의 내적역량인 역경지수, 기업가지향성, 고객지향성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국내 선행연구들처럼 내적역량을 기업성과에 대한 단일 차원의 함수관계로 분석하는데서 벗어나서, 창업기업가의 내적역량들 사이의 관계를 설명하려고 하였다. 역경지수를 독립변수, 기업가지향성을 매개변수, 고객지향성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역경지수의 하위요소인 통제력과 주인의식은 기업가지향성과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지향성은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역경지수의 주인의식만이 기업가지향성의 매개를 통해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창업가의 주인의식은 기업가지향성을 통해 고객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역경지수의 하위요소인 지속성은 기업가지향성과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급변하는 뉴노멀 시대에서 창업가의 지속성은 더 이상 기업가지향성과 고객지향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창업기업가의 역량 중에서 우선 개발해야하는 역량이 무엇이고 함께 개발되어야하는 성향이 무엇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준다. 나아가 정책적으로 창업지원 프로그램 설계 및 투자자의 투자기준의 가이드라인 설계 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Influence of Role Model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Does Individual Innovativeness Matter?

  • EFRATA, Tommy Christian;RADIANTO, Wirawan Endro Dwi;EFFENDY, Junko Alessandro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8권2호
    • /
    • pp.339-352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role models (ERM)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EE) on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EO) and its consequences for entrepreneurial intention (EI). Data is obtained through a survey method on 255 management and business university students who had completed the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To evaluate the research model, the data is processed using PLS-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existence of entrepreneurial role models and entrepreneurial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affects the components of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namely individual innovativeness, individual proactiveness, and individual risk-taker. However, ERMs do not have a direct effect on EI. The main finding of this research appears on the influence of individual EO on EI, which indicates that only individual innovativeness impacts entrepreneurial intention. Meanwhile, personal proactiveness and risk-takers are proven to have no impact on EI. This study succeeded in filling the research gap, namely, examining the influence of ERMs on each of the components forming an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EO) and its EI. This research model also provides a comprehensive research model on the influence of pre-entrepreneurial exposure on IEO and its consequences on EI.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개인주의가 기업가적 지향에 미치는 영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Individualism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Korea and China)

  • 안진원;유대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4호
    • /
    • pp.59-69
    • /
    • 2016
  • 본 연구의 목표는 한중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비교하고 개인주의가 한중의 기업가지향성의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목표 달성을 위해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분석을 실시한다. 첫 번째 영역에서는 F검정과 t검정을 통해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비교하였고, 두 번째 영역에서는 양국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변수에 대해서 비교하는 연구를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여러 문화적 변수들 중에 개인주의에 집중하였다.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종속변수로 놓고 문화적 변수인 개인주의를 독립변수로 하여 개인주의가 양국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두 가지 분석을 실시하기에 앞서 양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질문은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과 개인의 기업가적 성향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요인을 측정하는 질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내재적 통제력(Locus of Control)과 혁신성(Innovativeness)을 묻는 세부 질문을 만들었고, 문화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개인주의(Individualism)의 정도를 묻는 질문을 만들어 설문을 실시하였다. 한국과 중국의 잠재적 기업가정신을 비교한 기존의 연구들의 결론과 마찬가지로, 기업가적 지향성은 중국의 대학생들이 한국의 대학생들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문화적 요인에 있어서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르게 오직 중국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지향성만이 개인주의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한국의 대학생들의 어떤 종속변수도 개인주의 변수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다.

  • PDF

중소기업의 기업가지향성, 학습지향성이 동적역량과 국제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유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and Dynamic Capability on International Performance: Moderating Effects of Slack Resource)

  • 류동우;김기근
    • 무역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161-179
    • /
    • 2020
  • The importance of entering the international market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has been continuously emphasized. As a way to overcome these factors, prior studies have increased interest in dynamic capabi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learning orientation, and dynamic capability on their international performance of SMEs. Drawing on an extensive review of the literature on dynamic capability view and internationalization, hypotheses are developed and tested using a sample of 214 SMEs in South Kore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dynamic capabi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ational performance. Seco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dynamic capability. Third, learning orientation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dynamic capability. Lastly, slack resource was found to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capability and international performance.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ir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learning orientation ware driver of their dynamic capability. and that their dynamic capability was significant driver of their international performance. In the final conclu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research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기업가지향성이 중소기업의 기업가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가정신 지식역량의 매개효과 분석 (Impa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ial Knowledge Position)

  • 김진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2호
    • /
    • pp.83-93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기업가지향성이 조직의 기업가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직의 기업가정신 지식역량의 매개효과를 통해 분석하였다. 국내 3,324개의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2017년 기업가정신실태조사 기업편의 설문조사 응답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기업의 혁신성은 기업가적 성과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기업가정신 지식역량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위험감수는 지식역량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진취성은 기업가적 성과에는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데 반해 기업가정신 지식역량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주성과 경쟁성은 기업가정신 지식역량과 조직의 기업가적 성과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업가정신 지식역량은 조직의 기업가적 성과에 강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기업가지향성과 조직 성과의 상관관계 모형을 보다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는 선행연구의 제언에 응답한 것으로, 기업가지향성은 조직의 지식역량, 즉, 기업가정신을 추구하기 위한 관련 전문 지식을 보유한 인력 및 지원 프로그램과 이러한 지식자원을 종합하고 재조합하여 활용하는 역량의 선행요인으로, 기업의 혁신성, 위험감수, 그리고 진취성을 통해 조직의 지식역량이 향상되어 결과적으로 기업이 보다 우월한 기업가적 성과를 도출하는 데 이바지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