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ial University

검색결과 748건 처리시간 0.022초

대학생의 창업역량과 창업의도의 관계: IT 역량, 창의성 역량, 사회적 역량, 시장인지 역량 (Effect of Entrepreneurial Competencie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 IT Competency, Creativity Competency, Social Competency, Market Perception Competency)

  • 최대수;성창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2권1호
    • /
    • pp.101-109
    • /
    • 2017
  • 전 세계적으로 창업교육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국내 대학에서도 각 대학별 특성을 반영한 창업교육 프로그램들이 개발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의 논거는 창업교육을 통해 개인의 역량을 개선할 수 있고, 창업의도와 창업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선행연구들의 결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업과 관련된 개인적 역량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창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구성에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수도권 2개 대학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IT역량 중 기획역량은 창업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창의성 역량과, 시장인지 역량도 창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IT역량 중 개발역량과, 사회적 역량은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확인할 수 없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IT기획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은 비단 IT를 활용한 기술기반의 창업교육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창업을 위한 프로그램에서도 유효하다는 것이다. 또한 창의성과 시장인지와 관련된 역량의 중요성을 재확인하고 이와 관련된 창업교육 콘텐츠의 지속적인 개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PDF

대학생 창업활동에 대한 실증적 연구 : 대학생 중심의 인지적 모델과 대학지원의 통합적 접근 (An Empirical Study of Students' Start-Up Activities: Integrated Approach of Student-Focused Cognitive Model and Supportive Activities of University)

  • 장수덕;이재훈
    • 벤처창업연구
    • /
    • 제9권4호
    • /
    • pp.65-76
    • /
    • 2014
  • 본 연구의 기본적 목적은 대학생들의 창업활성화를 위해 창업활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창업의도와 대학의 창업지원 활동을 중심으로 이들 변수들이 창업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연구자들은 대학생 창업의도의 영향요인을 식별하고 이들 영향요인들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그리고 창업의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들 요인들이 창업활동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그 과정에서 창업의도가 어떠한 매개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적 연구를 위해 수집된 설문지는 총 769부이며 창업선도대학을 중심으로 설문지가 배포되었다. 설문지는 자기응답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들 설문지를 토대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의 창업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위험감수성향은 창업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창업강좌 수강이나 창업동아리 활동과 같은 경험 및 롤모델의 경험 또한 창업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창업의도는 개별적으로 창업활동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부분매개변수로서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창업의도가 높은 학생들이 대학의 창업지원 활동을 많이 경험할 수도 창업활동은 더욱 활발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들은 대학생들의 창업의 과정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이론적으로나 실무적으로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창업·취업교육이 대학생의 창업·취업의도 영향요인에 미치는 효과 (Entrepreneurial·Job Search Education's Effects on the Antecedents of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ial·Job Search Intention)

  • 김성우;강민형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4호
    • /
    • pp.47-59
    • /
    • 2016
  • This paper explores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and job search intentions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dditionally, it examines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and job search education on these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and job search intentions. The research model has been validated by analyzing 1,432 responses from undergraduate students in South Korea. The results of analysis provide several findings: First, entrepreneurship attitude, entrepreneurship subjective norm, and entrepreneurship self efficac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but their effects on job search intention were insignificant. Second, while job search attitud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oth intentions, job search subjective norm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job search intention, and job search self efficacy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Thir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creased all the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reduced job search attitude. These results imply that entrepreneurship and job search education should be managed comprehensively, considering their cross-effects on the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and job search intentions.

The Analysis on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usiness Startu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Hwang, Gyu-Sam;Kim, Hye-Sook;Park, Dae-Sub
    • 유통과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27-37
    • /
    • 2017
  • Purpose - The current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business startup education 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lso, it attempts to discover if business startup confidence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approximately 60 days, from July 20, 2016 to September 20, 2016, and distributed to 300 restaurant founders who started their business through business startup education provided by Korea Food Service Industry Association in Seoul, Kyungki and Incheon or existing business founders. Results - P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business startup education and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mong business startup education, all law, entrepreneurship, commercial power analysis, and practical education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Per simple regression analysis of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business startup confidence interaction show that they do not have a moderating role betwee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Conclusions - Setting up theoretical reasoning, this study supports conclusions drawn by prior studies: business startup education has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business startup education satisfac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stitutions and Women Entrepreneurship: The Mediating Role of Women Entrepreneurial Self Efficacy and Ethical Decision Making

  • SALEEM, Faiza;LODHI, Saeed;ASIF, Muhamma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9권6호
    • /
    • pp.33-44
    • /
    • 2022
  • Women entrepreneurs play a vital role in employment creation, economic development, and growth. Women entrepreneurship is deep-rooted in the social and cultural norms and values of society. Women's entrepreneurship contribution is still invisible and needs to be properly investigated. The current research study explores "how institutions affect women'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in Pakistan" by using institutional and social cognitive theories. Focusing on the Formal and informal institutions, this research examines how institutions are affecting women'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by taking the mediating role of women'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thical decision making. A 7-point Likert scale research questionnaire is used to collect primary data. Data on active entrepreneurs are collected from the Peshawar, Mardan, and Abbottabad divisions of KPK's Women Chambers of Commerce. The data is empirically tested through the path analysis techniqu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rough SMART PLS 3. The results indicated that women's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thical decision-making strongly mediate both institutions and significantly affect women'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The study suggests that government and concerned departments should pay due attention to determinants like informal institutions and social constraints to boost women's entrepreneurial performance.

예비청년창업가의 창업동기가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지향성의 매개변수의 효과 중심으로 (Effects of Entrepreneurship Motivation on Entrepreneurial Opportunity Competence in Preliminary Young Entrepreneurs: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ial Efficacy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 선량;허철무
    • 벤처창업연구
    • /
    • 제14권1호
    • /
    • pp.117-137
    • /
    • 2019
  • 청년창업에서는 기회의 발견이라는 개별적 상황이 매우 중요하다. 특정한 개인 창업가에게 발생한 기회와 또한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인식되고 평가되고 있는지가 매우 중요하다. 기회형 창업 비중은 비중이 작아 창업교육에서 비중이 작게 책정되어 있는 창업기회 역량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청년창업의 경우 기회형 창업이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청년창업가 (19-39세)를 대상으로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지향성을 매개변수로 하여 창업동기가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분석하였다. 창업정책과 교육은 청년창업사관학교 등의 제도를 통해 대부분 대학생과 청년층을 위주로 진행되고 있고, 또 이들을 대상으로 제도적 지원이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등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반면,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한 창업동기가 복수의 매개변수가 포함된 모형에서 기회형 창업 추진에 필요한 창업기회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다시피 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예비청년창업가의 창업동기가 창업기회역량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주로 서울시 및 경기도에 거주하는 예비청년창업가들로부터 수집한 설문지 374부를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SPSS v22.0과 Process macro v3.0을 사용한 분석결과 첫째, 창업동기가 창업기회역량의 기회인식 및 기회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동기가 창업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효능감은 기업가지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가지향성은 창업기회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창업동기와 창업기회인식 간에 매개변수인 기업가지향성을 경유할 때와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지향성을 동시에 경유할 때 유의한 간접효과가 나타났으나 창업효능감을 경유할 때는 간접효과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동기와 창업기회평가 간에는 모든 매개변수에 대해 유의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업동기 유형에 따른 창업기회인식 배양을 위해서는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 강화와 창업기회평가 배양을 위해서는 창업효능감과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시사된다.

대학생의 기업가정신이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창업기회인식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Effect of the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Recognition)

  • 강재학;양동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493-507
    • /
    • 2016
  •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의 연관성에 관한 기존연구들을 기반으로 하여 창업기회인식의 중요성을 매개변수로써 새롭게 검증함과 동시에, 창업의지와 함께 창업행동을 일으키는데 주요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는 창업효능감을 종속변수에 추가함으로써, 대학 내 학생들의 창업효능감과 창업의지를 함께 고취시킬 수 있는 요인들에 대하여 보다 심도 있고 폭넓게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도 인천의 대학생 3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결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이 창업효능감과 창업의지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정신과 창업효능감 그리고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 간에 창업기회인식의 매개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향후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한 대학 창업 교육 커리큘럼을 설계하는 데 있어서 최근 확산되고 있는 기업가정신에 대한 교육과 아울러, 창업기회인식에 대한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시도가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대학생의 창업효능감과 창업의도 및 취업스트레스 관계에서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 연구 (The Moderating Effects of Core-Self Evalu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Job-Seeking Stress)

  • 현선해;서문교;권인수
    • 벤처창업연구
    • /
    • 제11권6호
    • /
    • pp.39-49
    • /
    • 2016
  • 대학생들의 취업 스트레스와 창업의도가 높아지면서 두 개념에 동시 적용할 수 있는 변수 연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까지의 연구들은 각각의 개념에서 미치는 영향력 변수만을 살펴봤기 때문에 창업과 취업을 구분해서 생각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업 효능감을 이용, 취업 스트레스와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또한 핵심자기평가의 개념을 조절 변수로 활용해 취업 스트레스와 창업 의지에 추가적으로 어떠한 영향력을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전국 349명의 대학생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변수별로 선행 이론에 근거해서 설문문항을 만들었으며, 특히 핵심자기평가는 자기 효능감과 자기 존중감이 포함된 개념인 능력중심 자기평가와 통제 위치와 신경증 성향이 포함된 정서중심 자기평가의 개념으로 구분해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를 세부적으로 구분했다. 분석 결과, 창업 효능감은 창업의도에 강한 영향력을 보여, 기존의 선행 연구와 같은 결과를 보였다. 다음으로 취업 스트레스에는 부정적인 영향력을 보여, 창업 효능감이 있으면 취업에 대한 걱정과 근심을 많이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자기평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면 취업 스트레스에 능력중심은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지만, 정서중심은 영향력을 보이지 않았다. 창업의도역시 능력중심, 정서중심 모두 영향력을 증가 시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창업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 방식과 제도가 필요하고 핵심자기평가에 대한 개인의 인식형성이 취업 스트레스에 효율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창업경험과 창업의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사회인지적 요인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Entrepreneurial Experi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Mediation Effect of Social Cognitive Attributes)

  • 박정현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3호
    • /
    • pp.51-76
    • /
    • 2022
  • 창업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를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혀내는 것은 창업가를 양성하고 국가 내 기업가적 혁신이 활발히 일어나도록 유도하는 데 있어서 참고할 수 있는 중요한 일이다. 그동안의 연구들이 사회인지 속성을 예측인자로 활용해 창업의도 혹은 기업가적 활동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주로 제시해왔지만, 이러한 사회인지 속성들이 무엇에서 비롯되는지 근본적 요인에 대해서는 기업가정신 분야에서 충분히 다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사회인지이론과 스키마이론을 기반으로 개인의 창업경험(Entrepreneurial experience)이 사회인지 속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선행요인임을 가정하며, 경험이 창업의도를 어떻게 형성하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을 밝힌다. 이를 위하여 기업가의 창업경험이 사회인지이론에서 창업의도를 형성하는 주요 변수로 꼽히는 기업가적 자기효능감(Entrepreneurial Self-efficacy), 기회인식(Opportunity recognition), 실패두려움(Fear of failure)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이러한 요인이 어떻게 창업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이와 함께 창업 경험과 창업의도 사이에 이어지는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이러한 사회인지속성이 어떤 매개 역할을 하는지를 분석한다. 또한 성별에 따라 생물학적 차이 뿐만 아니라 사회적 상호 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사회적 차이, 그리고 인지적 차이가 만들어지는 점을 고려, 성별에 따라 개인의 창업경험이 사회인지 속성 및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조절되는지를 분석한다.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GEM)의 87개국의 25,047명 기업가 데이터에 기반한 계량 분석을 한 결과, 창업경험은 기업가적 자기효능감과 기회인식을 높이고, 실패두려움은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사회인지속성은 창업경험과 창업의도의 관계를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도 유의해, 남성과 여성은 창업경험으로부터 창업의도가 형성되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기업가 정신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과거 경험의 역할은 중요하지만 충준히 다뤄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창업경험의 매개효과 및 성별의 조절효과를 통해 창업의도 형성의 메커니즘을 구체적으로 밝혀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Understanding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the Light of Contextual Factors: Gender Analysis

  • RAHAMAN, Md. Atikur;ALI, Md. Julfikar;MAMOON, Zahidur Rahman;Al ASHEQ, Ahmed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9호
    • /
    • pp.639-647
    • /
    • 2020
  •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receiving immense recognition in entrepreneurship researches, as it motives an individual to become an entrepreneur. Still, the interplay between gender perspective and contextual factors (i.e., access to capital, business information, social network, educational support, structural support) are not fully investigated in understanding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developing countries like Bangladesh. Therefore, the paper aims to examine the gender difference and educational discipline difference in the university's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relation to contextual factors in Bangladesh. In this study, sample has been particularly taken from the different disciplinary students of private universities. Five-point Likert scale-based survey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past researches. 280 online survey forms were distributed among the university students and finally 225 students' response were found correct as the study sample size (final survey response rate = 80%), after eliminating the incorrect survey responses.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23.0 version is used. One-way ANOVA is used to measure the gender and discipline difference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among male and female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business information and social network will have more influence on male students'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comparatively, business students have more willingness to become entrepreneurs than other departmental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