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repreneurial Ecosystem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2초

대구지역 창업생태계에 대한 창업자들의 인식 (Perception of Entrepreneurs on the Startup Ecosystem in the Daegu)

  • 김대건;배성현;김정훈;주기중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549-555
    • /
    • 2023
  • 창업생태계와 관련된 주된 논점은 창업기업이 활동하기 좋은 창업생태계가 구축된 환경에서는 창업기업이 좋은 성과를 창출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대구창조경제혁신센터 혁신창업생태계구축운영사업의 결과를 활용하여 창업생태계의 핵심적인 구성원인 창업자를 대상으로 대구지역 창업생태계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분석을 실시하여 창업기업이 속한 창업생태계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창업인프라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게 분류되었고, 재무(투자 및 지원)과 인적자원 확보의 중요도와 만족도가 낮게 제시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대구광역시 창업생태계에 대한 창업자 관점에서의 인식을 확인하였고 지역 창업생태계에 대한 개선점 및 정책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Exploring MNC - Startup Symbiotic Relationship in an Entrepreneurial Ecosystem

  • Loganathan, Muralidhara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7권1호
    • /
    • pp.131-149
    • /
    • 2018
  • Multinational corporations (MNCs) leverage global locations for efficient production and sustained growth, and move significant foreign direct investments globally, particularly into emerging economies. MNCs also engage in entrepreneurial ecosystems of host countries for strategic benefits and impact the ecosystem as well. Of late, MNCs are increasingly entering into emerging economies like India through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inflows and they are playing a vital role in start-up promotion in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Therefore, we examine the role of MNCs and its impact on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s in India by exploring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MNCs and startups. We use a case-based method to ascertain and analyze specific benefits that emerge from such symbiotic relationships and draw implications for startups in India's technology entrepreneurial ecosystem.

Evolution of High-Tech Start-Up Ecosystem Policy in India and China: A Comparative Perspective

  • Krishna, HS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7권3호
    • /
    • pp.511-533
    • /
    • 2018
  • As the developed and developing economies make the transition to knowledge-based economies, the high-tech sector has been the primary engine in enabling this transformation. Given this context, the policy making and implementation abilities of the countries' local administration assume significance. This study therefore attempts to examine the policy evolution undertaken by China and India which resulted in the emergence of high-tech startup ecosystems in these countries. Further, using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 ideal entrepreneurial ecosystem, it tries to underst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prevalent currently in the Indian and Chinese high-tech startup ecosystem.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although both the countries took different paths, from a macro-perspective, they follow the same pattern as observed in the US and Israel policy making - that of the change in the role of Government as a regulator to that of an enabler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key entrepreneurial ecosystem components provide additional knowledge about the currently prevailing conditions of the ecosystem in these countries.

Factors Affecting Entrepreneurial Decision of Nascent Entrepreneurs Belonging Generation Y in Vietnam

  • NGUYEN, Xuan Truo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407-417
    • /
    • 2020
  • Entrepreneurship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for governments to shape and influence the quantity and quality of entrepreneurship and improve policy toward the entrepreneurial econom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actors affecting the entrepreneurial decision of nascent entrepreneurs belonging to Generation Y in Vietnam. A mixed-method including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ologies was utilized. A focus group was carried out with 11 participants for exploring, reviewing, and testing content validity of constructs and measurement items. The conceptual model and hypotheses were developed using data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survey. The cross-sectional survey method was applied. A sample of 221 respondents was constituted, by both electronic and paper surveys with non-probability and convenience sampling techniques. SmartPLS 3 software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 collected. The results show that nine factors were affecting the entrepreneurial decision of nascent entrepreneurs belonging to Generation Y in Vietnam, including entrepreneurial education, family background, entrepreneurial ecosyste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social valuation, perceived opportunity, attitud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findings show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ial education, social value, and ecosystem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successful entrepreneurship,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have a strategy for the improvement of the entrepreneurship ecosystem.

IPA 분석을 통한 창업생태계 개선방안 도출 (Improvement Plans of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김수진;서경란;남정민
    • 벤처창업연구
    • /
    • 제17권4호
    • /
    • pp.101-114
    • /
    • 2022
  • 최근 창업생태계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창업생태계는 창업가, 정부, 인프라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이러한 요소는 상호작용하면서 경제발전에 이바지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방법을 활용하여 창업자를 대상으로 중요도 및 성취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창업생태계 구성요소의 중요도와 현재 수준을 파악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창업자들의 중요도 순위는 ①창업지원 프로그램(4.43) ②창업자금조달(4.39) ③시장진입용이성(4.30)순으로 나타났다. 성취도 순위는 ①창업지원프로그램(3.81) ②회사설립의 용이성(3.76) ③창업지원기관지원(3.66), 창업자금 조달(3.66)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창업생태계의 모든 요소는 중요도가 성취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한국의 창업생태계 구성요소는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으나 창업자들에게 성취도 측면에서 크게 작용하지 못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중요도-성취도 매트릭스에서 가장 개선순위가 높은 요인은 「창업 실패 시 안전망」, 「실패수용문화」, 「시장진입 용이성」, 「창업 후 생존 용이성」, 「출구용이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생태계의 발전을 위하여 사회안전망 구축, 창업 실패 문화 인식개선, 성공창업자 매칭, 성장단계별 스케일업 지원 강화, 신사업분야 규제 완화, 투자회수 전략 다양화 등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Book review: State of Entrepreneurship Support through Incubators in India

  • Loganathan, Muralidharan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10권1호
    • /
    • pp.155-158
    • /
    • 2021
  • Entrepreneurial ecosystem is a very active area of research both conceptually and empirically, yet most literature that emerged over the last two decades predominantly pertain to developed economies. At the same time, transitioning and emerging economies have continued to grow rapidly, making a strong case to study entrepreneurial ecosystems in emerging economies (Bruton et al., 2018). Ecosystems are broad constructs and the constitutive elements of an ecosystem are themselves complex (Stam, 2015). Hence exploring key elements of the ecosystem in depth to understand the mechanisms of how entrepreneurship is supported through intermediary organizations like incubators is a fruitful exercise. In this context, we review the book "Technology Business Incubators in India Structure, Role and Performance" which is a timely synthesis for academic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looking to explore the topic as it pertains to emerging economies. The book is part of the De Gruyter Studies in Knowledge Management and Entrepreneurial Ecosystems series, that covers pertinent ecosystems issues around universities, and sustainability by leading authors.

Entrepreneurial Ecosystems(기업가적 생태계) 개념과 시사점 (Entrepreneurial Ecosystems: Key Concepts and Economic Geographical Implications)

  • 구양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22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Entrepreneurial Ecosystems의 핵심 개념을 분석하고 경제지리학 연구에서의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업가정신과 지리를 결합한 Entrepreneurial Ecosystems이 중요한 개념과 이론으로 부상하였는데, '행위자와 요인', '생산적', '영역'이라는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Entrepreneurial Ecosystems에서는 개인적·조직적·제도적 구성요소인 기업가, 스타트업, 기존 기업, 제도와 문화적 요소들이 상호연결되어 '기업가적 재순환'을 통해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통해 로컬 지역에서 기업가적 문화를 기반으로 혁신적인 고성장 신생기업을 창출하는데 기여한다. 개념적 한계에도 불구하고 생산적 기업가정신(혁신창업)의 지리적·공간적 프로세스를 밝히고 지역기반 스타트업 생태계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해 경제지리학 관점에서 이론적, 실증적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An Exploratory Research on Entrepreneurial Ecosystems: Effects on Economic Integration

  • JUMASSEITOVA, Assel K.;POTLURI, Rajasekhara Mouly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8호
    • /
    • pp.661-670
    • /
    • 2020
  •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e economic integration exemplified by the Eurasian Economic Union on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 in the Kazakhstan corporate sector. Using data collected from 204 small-, medium-, and large-sized Kazakh companies,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collected data with percentil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especially in the tertiary sector of the Kazakh economy, are not that much affected by regional integration, whereas large firms have been significantly impacted. The originality of the paper is threefold. First, the research explores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s in its focus on geographic location or digital technologies that came across mainly from the ICT space. This is becoming pervasive across mechanical systems, communications, infrastructure, and the built-up environment. Second, the originality of the paper lies in focusing on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s' influence on the business processes by clearly understanding the regional, national, and international trends in different markets. Third, the paper is first of its kind to contribute an updated perspective on the entrepreneurial ecosystem's influence on economic integration to the policymakers of Kazakhstan. Policymakers will gain expertise on how to manage network effects while planning investment projects, as well as transactions, modes, and fixed nodes, acquisition, and greenfield investments.

한국과 중국 청두의 창업생태계 비교에 관한 연구: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f a Startup Ecosystem in Seoul, Korea and Chengdu, China)

  • 곽혜진;이무원
    • 벤처창업연구
    • /
    • 제13권5호
    • /
    • pp.131-154
    • /
    • 2018
  • 세계 각국의 창업 활성화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한국의 창업에 대한 관심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의 창업생태계는 발전을 거듭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성공 모델을 지속적으로 양성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의 서울, 중국의 청두를 지리적 표본으로 선정하여 해당 지역의 창업생태계에서 기술창업 중심의 창업보육센터 종사자, 창업가와 인터뷰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사회, 경제, 정책적 부분으로 나누어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창업생태계의 발전을 위해 먼저 창업에 대한 인식이 생계형 창업에서 소프트웨어 기반 기술창업으로 이전되어야 하며, 투자환경 내 투자자는 단발적 지원금 대신 합자, 지분 매수와 같은 적극적인 투자방법을 써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했다. 또한 정부는 단순히 창업기업의 수를 늘리는 것이 아니라 스타트업의 성장에 초점을 맞추어 지원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는 점에서 향후 창업인프라 조성과 창업생태계 활성화 방안 마련 등의 정책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창업생태계 측정모형과 지표개발: 델파이분석을 통한 지역창업생태계 측정지표 개발 (Developing Measurement Model and Indicators for Entrepreneurial Ecosystem: Focusing on Regional E-Ecosystem Indicator via Delphi Analysis)

  • 이우진;오혜미;김도현;김종성;김가영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4호
    • /
    • pp.1-15
    • /
    • 2020
  • 창업생태계가 기업가정신 향상의 선행요소로 밝혀지면서 국가에서는 창업생태계 고도화를 사업들이 활발히 수행되고 있고 관련 연구도 진행하고 있다. 창업생태계는 창업자, 정부기관 및 투자자와 의 상호관계적인 작용으로 기업가정신 뿐만 아니라 국가의 경제성장을 위해 종요한 요소로 관심을 받고 있으나 창업생태계에 대한 정의를 비롯하여 국가별 제도적 및 정치학적 맥락의 상이함으로 인해 측정지표에 대한 비판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적합한 창업생태계 지표개발 및 각 지역의 창업생태계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창업 분야별 전문가의 FGI 및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현존하는 지표들이 국내 실정에 얼마나 부합한지를 검증하고 면밀한 검토를 통해 국내의 지역창업생태계를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였다. 그 결과, 국내 지역 창업생태계는 정책(Policy), 투자(Finance), 문화(Culture), 시장(Market), 인적자원(Human Capital), 지원(Support), 지식(Knowledge)등 7개 지표와 지표별 각각 2~4개의 하위요소, 하위요소별 각각 1~4개로 구성되어 총 22개의 하위요인, 38개의 세부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지역의 창업생태계를 진단하고 지역별 강점 특화 및 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차별적 정책을 제안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