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ertainment Industry

검색결과 1,061건 처리시간 0.049초

엔터테인먼트분쟁 해결을 위한 중재제도의 활성화 방안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Arbitration System for Entertainment Disputes Resolution)

  • 김상찬
    • 한국중재학회지:중재연구
    • /
    • 제23권1호
    • /
    • pp.85-105
    • /
    • 2013
  • The entertainment industry has developed along with current Korean wave fever, and so entertainment-related disputes are increasing rapidly. Litigation is a poor fit for entertainment disputes because of characteristics such as temporal sensitivity. Thus, in the US, the entertainment industry resolves these disputes through ADR mechanisms like arbitration, but cases of settling such disputes through arbitrations are very rare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entertainment disputes and considered the compatibility of arbitration as a method for settling disputes, and then suggested tasks for revitalizing arbitration systems as entertainment dispute resolution procedures. Arbitrations have many merits, such as the rapid pace of procedures, confidentiality, satisfying the long-term desires of business relationships, the low cost of settling disputes, judgments rendered by experts, etc.; thus, it is a very suitable mechanism to settle entertainment-related disputes. The study proposes necessary steps for revitalizing arbitration systems for entertainment disputes. First, awareness of entertainment industry workers about the arbitration system should be raised. Second, special educational programs for members the of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related to entertainment should be set up and operated together with encouraging positive attitudes toward actions like establishing a dedicated arbitration unit on entertainment disputes. Third, neutral, professional arbitrators should be secured and aggressive disclosures made. Fourth, a professional ADR organization such as an "Entertainment Arbitration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 PDF

영화산업 발전단계를 바탕으로 본 문화콘텐츠산업의 정부개입과 산업 성숙도의 연관성 (How Government Policy Affects to Entertainment Industry?: Case Study of Korean Film History)

  • 권혁인;이현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386-394
    • /
    • 2014
  • 문화콘텐츠 산업은 높은 부가가치를 이끌며, 세계 경제를 주도하는 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정부는 문화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노력을 지속적으로 시도하고 있으나, 정부의 산업 개입 방향성에 대한 기준은 모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숙도의 개념을 도입하여 경험재로서 측정이 어려운 문화콘텐츠의 발전에 정부가 어떠한 개입을 시도해왔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영화산업의 현황 및 발전정도를 바탕으로 성숙단계를 구분하고, 각 단계에서 시행되었던 정부정책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부정책이 산업 시스템 구축을 주도하는 방향인 경우, 산업 성숙도는 시장을 구조화하는 단계에서 머물렀고, 자유경쟁 속에서 영세한 창작 기업 및 개인 지원정책으로 변경한 이후 비로소 시장 활성화 단계로 진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콘텐츠 혁신 : 기업가적 리더십과 플랫폼 전략을 중심으로 (Big Hit Entertainment's Contents Innovation : Focusing on Entrepreneurial Leadership and Platform Strategy)

  • 권상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12
    • /
    • 2021
  •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는 방탄소년단(BTS)이라는 글로벌 아티스트 뮤지션을 국내에서 처음으로 제작, 혁신적인 가치를 창출하는 국내 최고의 콘텐츠 기업으로 유명하다.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는 지속적인 혁신을 창출하고 꾸준히 음악적 성과를 만들어냄으로서 가장 경쟁이 극심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도 선도적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콘텐츠 혁신을 설명하기 위해 해당 기업의 혁신 성과를 추동하는 두 개의 핵심 축인 방시혁 대표의 기업가적 리더십과 플랫폼 전략을 깊이 있게 살펴보고자 한다. 깊이 있는 사례연구를 통해 본 연구는 CEO의 기업가적 리더십이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지속적인 콘텐츠 혁신을 이끌고 핵심 자원을 활용하는데 기여한다는 점을 밝혔다. 또한, 빅히트 엔터테인먼트는 자체 위버스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음악과 엔터테인먼트 콘텐츠를 창출함으로써 꾸준히 새로운 가치를 고객에게 제공하는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필요한 학문적 공헌도와 실무적 시사점을 본 연구는 도출하였다.

자본구조와 R&D활동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중심으로 (Effects of Capital Structure and R&D Activities on Firm Performance : Evidence From the Entertainment Industry)

  • 김남곤;김지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21-34
    • /
    • 2021
  • 본 연구는 자본구조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재무학계의 주요 연구주제를 엔터테인먼트 기업에 초점을 두어 분석한다. 또한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그 중요성을 더하고 있는 엔터테인먼트기업의 R&D투자가 자본구조와 기업 성과의 관계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증 분석을 위하여 2000년부터 2018년까지 장기간의 표본 기간을 이용하고 국내 유가증권 시장 및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전체 기업 표본과 엔터테인먼트 기업 표본을 이용하여,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이 나타내는 특수성을 검증하였다. 기업의 성과로는 재무적 성과인 기업 가치와 회계적 성과인 수익성을 모두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자본구조는 재무적 성과에 약한 긍정적 영향력 또는 무관련성 모습을 나타냈다. 그러나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자본구조는 회계적 성과인 수익성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의 R&D투자는 자본구조와 기업성과 간의 관계성을 강화하거나 약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대상으로 한 분석을 진행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여 준다. 국내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을 대상으로 하여 자본구조 및 R&D투자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한 분석이 진행된 바가 없음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대한 재무적 측면에서의 이해도를 증진시키고 향후 후속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Study on the Elements of Chinese Animation IP (Intellectual Property) Development Based on the Pan-Entertainment Industry

  • Yan, JiHui;Lee, Byung Chun;Yun, Taesoo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1호
    • /
    • pp.168-179
    • /
    • 2021
  • With the introduction of China's new policies, the Chinese animation industry has gradually formed a sustainable industrial structure chain, and the output value of the animation market is also in a state of continuous growth. Since 2013, domestic animation has been developing from "lower age" to "ageing" and "adults". At the same time, with the popularization of China's pan-entertainment industry model, the multi-domain symbiosis of the Internet and mobile Internet has been realized, creating a fan economy of star IP (Intellectual Property), and promoting the linkage of various industries under the same IP. This paper mainly analyzes the development of the animation IP market in China's pan-entertainment mode in recent years, and analyzes the cross-media operation mode of the animation industry. At the same time, it studies the application of self-media in animation.

엔터테인먼트업의 고성과작업조직 : ANP 기법을 중심으로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for Entertainment Business : An Analytic Network Process Approach)

  • 권정언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1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효과적인 고성과작업조직(high performance work system)을 모색, 제시하는 데 있다. 최근에 엔터테인먼트 산업 자체는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으나, 엔터테인먼트 기업은 제조업과 달리 안정적 수익구조를 확보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엔터테인먼트 기업 및 프로젝트의 성과는 인적자원의 역량과 시너지에 의존하는 경향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이를 관리할 수 있는 체계적인 모델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는 ANP(analytic network process)를 활용하여 엔터테인먼트 기업에 경쟁우위를 제공할 수 있는 고성과작업조직을 제시하였다. 고성과작업조직의 성공적 특성을 평정한 쌍대비교 자료는 엔터테인먼트 기업에 종사하는 28명의 팀장급 리더를 대상으로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개발적 지원', '관리적 지원'에 비해 '참여기회 부여'가 가장 높은 중요도를 나타냈다. 구체적인 구성요소별 중요도는, '개방적 의사소통', '분산된 의사결정', '성과에 의한 보상'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엔터테인먼트 기업에서 고성과작업조직을 성취하는 데 실질적 시사점과 실행의 우선순위를 제언하였다.

엔씨소프트의 엔터테인먼트 확장 전략 : 탐험과 활용을 중심으로 (NC Soft's Entertainment Expansion Strategy : Focusing o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 권상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11
    • /
    • 2021
  • 엔씨소프트는 모든 고객이 게임과 콘텐츠를 통해 상호 연결되는 엔터테인먼트 혁신의 공간을 꿈꾸고 있다. 이를 위해 엔씨소프트는 게임 기반의 고유 기술 역량으로 AI 및 IT 기술을 활용해 엔터테인먼트 산업에 대한 확장 전략을 현재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엔씨소프트에 관한 사례연구를 통해 다소 도전적인 탐험적 혁신과 활용적 혁신을 동시에 추구하는 것이 왜 콘텐츠 기업 경영에 중요한지에 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진행되었다. 엔씨소프트는 꾸준히 게임 역량을 장기간 축적하여 게임기획, 프로그래밍, 그래픽 디자인 등에서 점진적 혁신을 추구, 관리하였다. 또한, 혁신적 성과를 위해 K-POP, 디지털 콘텐츠 플랫폼, 영화, 애니메이션 등에 관한 영역으로 진출하기 위해 주요 콘텐츠 기업들과 전략적 제휴를 추진하며 탐험적 학습을 추구하고 있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연구 결과는 엔터테인먼트 및 콘텐츠 산업의 경영진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해주었다. 또한, 탐험 및 활용 전략의 실행에 관한 어려움을 겪는 기업가들에게 효과적인 실행 로드맵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는 기여하였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콘텐츠 지배 전략 : 흡수역량과 경계관리 활동을 중심으로 (Kakao Entertainment's Contents Dominant Strategy : Focusing on Absorptive Capacity and Boundary Spanning)

  • 권상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3-43
    • /
    • 2021
  •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영상 및 음악 콘텐츠를 맡고 있는 카카오M과 웹툰, 웹소설을 담당하고 있는 카카오페이지가 합병을 통해 탄생된 대형 콘텐츠 기업이다. 참고로, 카카오M은 15개가 넘는 콘텐츠 및 매니지먼트 기획사와 4개의 음반 레이블을 보유하고 있으며 카카오페이지 역시 8,500개가 넘는 콘텐츠 IP를 축적했다. 본 연구는 두 기업의 합병을 통해 탄생된 카카오 엔터테인먼트 사례연구를 토대로 흡수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M&A 활동과 경계관리 활동의 폭을 규정할 수 있는 콘텐츠 가치사슬에 관한 관계를 세밀히 분석하였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사례연구를 통해 본 연구가 제안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카카오의 인수합병 활동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흡수역량을 축적하는 핵심 요인이며 동시에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는 여러 자산과 강력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와 함께 콘텐츠 비즈니스의 경쟁 강도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카카오는 지속적으로 산업 경계선을 넘나들며 경계관리 활동을 토대로 창의적인 기회를 포착할 필요가 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인수합병과 가치사슬을 통해 확보한 흡수역량과 경계관리 활동의 활성화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지배 전략에 가장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모바일 엔터테인먼트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고객가치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Customer Value Factors Affecting Trust of Mobile Entertainment)

  • 이이진;염창선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59-71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value and trust and the effect of trust on loyalty in the field of mobile entertainment. As smartphone use becomes more popular, the mobile business is growing rapidly. In particular, the mobile entertainment industry, such as mobile games and mobile video, is growing faster. This study was based on the main survey had conducted from 25th September 2019 to 7th October 2019 by 300 users who had experienced mobile entertainment applications in the past.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by using the IBM SPSS v.22.0.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utility and quality of utilitarian value, enjoyment and aesthetics of hedonic value, and status enhancing of social value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trust. Second, privacy risk of social value have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trust. Finally, trust has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loyalty. Based on th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mobile entertainment.

'MeToo' 운동의 가치 제고를 위한 제안 -뉴욕 공연계 경험을 중심으로 (A Proposal to Increase the Value of the 'MeToo' Movement - Focused on the Performing Arts Experience in New York City -)

  • 최미선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237-245
    • /
    • 2019
  • 뉴욕 공연계의 공연 주제, 공연 과정, 공연 문화는 그 영향력이 전 세계적으로 파급될 만큼 선도적이다. 그들이 담아내는 젠더에 관한 메시지는 정치, 사회, 문화 전반에 꾸준히 영향을 미친다. 헐리우드에서 시작된 'MeToo' 운동이 급속히 확대되고 공감받을 수 있었던 데는 이러한 문화적 영향력이 있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런 영향력은 오랜 기간 자신의 목소리로 키워낼 수 있는 내적 강화의 원동력이 되고 마침내 'MeToo' 운동으로 구체화 되었다. 뉴욕 공연계에 종사하면서 인식한 여성 인권의 존엄성 및 가치가 'MeToo' 운동으로 기폭제가 되어 대중적인 관심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계기로 성에 근거한 불합리함과 폭력을 제거하기 위한 제도적, 법률적 장치를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