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akao Entertainment's Contents Dominant Strategy : Focusing on Absorptive Capacity and Boundary Spanning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콘텐츠 지배 전략 : 흡수역량과 경계관리 활동을 중심으로

  • Kwon, Sang-Jib (College of Social Science (Department of Business Management), Hansung University)
  • 권상집 (한성대학교 사회과학부 기업경영트랙)
  • Received : 2021.06.17
  • Accepted : 2021.07.27
  • Published : 2021.07.31

Abstract

Kakao M and Kakao page have been merged to form contents corporation, Kakao entertainment. Kakao M has 15 contents management agencies and 4 music labels, in addition to movie and drama productions. Kakao Page currently holds IP rights for about 8,500 content stories.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 for absorptive capacity and content value chain by consideri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boundary spanning behaviors. Using the Kakao entertainment in-depth case study as the practical lens,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are suggested. Kakao's effective M&A activities are critical key factor for absorptive capacity in the entertainment industry and has a strong network with advantage assets. Also, as the contents business becomes even more competitive, Kakao need to venture beyond entertainment boundaries to seize creative opportunities. Kakao entertainment with absorptive capacity and boundary spanning behaviors through M&A and contents value chain best qualified for entertainment dominant strategy.

카카오엔터테인먼트는 영상 및 음악 콘텐츠를 맡고 있는 카카오M과 웹툰, 웹소설을 담당하고 있는 카카오페이지가 합병을 통해 탄생된 대형 콘텐츠 기업이다. 참고로, 카카오M은 15개가 넘는 콘텐츠 및 매니지먼트 기획사와 4개의 음반 레이블을 보유하고 있으며 카카오페이지 역시 8,500개가 넘는 콘텐츠 IP를 축적했다. 본 연구는 두 기업의 합병을 통해 탄생된 카카오 엔터테인먼트 사례연구를 토대로 흡수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M&A 활동과 경계관리 활동의 폭을 규정할 수 있는 콘텐츠 가치사슬에 관한 관계를 세밀히 분석하였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사례연구를 통해 본 연구가 제안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카카오의 인수합병 활동은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 흡수역량을 축적하는 핵심 요인이며 동시에 경쟁우위를 가질 수 있는 여러 자산과 강력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효과적이다. 이와 함께 콘텐츠 비즈니스의 경쟁 강도가 점점 높아짐에 따라 카카오는 지속적으로 산업 경계선을 넘나들며 경계관리 활동을 토대로 창의적인 기회를 포착할 필요가 있다.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인수합병과 가치사슬을 통해 확보한 흡수역량과 경계관리 활동의 활성화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지배 전략에 가장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본 연구는 한성대학교 학술연구비 지원과제임.

References

  1. 권상집(2021). 스마일게이트의 글로벌 역량 구축: 기업가적 지향성과 글로컬 콘텐츠 전략을 통한 기회 실현. 한국창업학회지, 16(1): 438-457. https://doi.org/10.24878/TKES.2021.16.1.438
  2. 권상집(2021).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콘텐츠 혁신: 기업가적 리더십과 플랫폼 전략을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1): 1-12.
  3. 이인혜, 권상집(2017). tvN의 콘텐츠 혁신: 폐기 학습 및 흡수역량을 통한 탐험과 활용.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논문지, 11(8): 355-368.
  4. 권정언, 우형록(2016). 완충조직의 경계관리와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 기업경영연구, 23(3): 57-76.
  5. Faraj, S., & Yan, A.(2009). Boundary work in knowledge team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94(3): 604-617. https://doi.org/10.1037/a0014367
  6. 이재열, 박정수(2020). 국내기업의 혁신역량과 흡수역량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계 연구: 탐색적 접근. 경상논총, 38(2): 125-144.
  7. 리우위, 권상집(2020).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기업 텐센트의 성장 전략: 모방형 혁신과 M&A를 중심으로.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논문지, 14(3): 1-13.
  8. 이민교, 박진우(2019). 카카오의 로엔엔터테인먼트 인수 사례. Korea Business Review, 23(2): 65-93. https://doi.org/10.17287/kbr.2019.23.2.65
  9. 이민교, 박진우(2018). 카카오와 다음의 합병: 재무적 관점을 중심으로. Korea Business Review, 22(4): 49-78. https://doi.org/10.17287/kbr.2018.22.4.49
  10. Cohen, W.M., & Levinthal, D.A.(1990).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1): 128-152. https://doi.org/10.2307/2393553
  11. Zahra, S.A., & George, G.(2002). Absorptive capacity: A review, reconceptualization, and extension.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7(2): 185-203. https://doi.org/10.2307/4134351
  12. Wales, W.J., Parida, V., & Patel, P.C.(2013). Too much of a good thing? Absorptive capacity, firm performance, and the moderating role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34(5): 622-633. https://doi.org/10.1002/smj.2026
  13. Lichtenthaler, U.(2009). Absorptive capacity, environmental turbulence, and the complementary of organizational learning process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2(4): 822-846. https://doi.org/10.5465/AMJ.2009.43670902
  14. Li, C.R., Chu, C.P., & Lin, C.J.(2010). The contingent value of exploratory and exploitative learning for new product development performance. Industrial Marketing Management, 39(7): 1186-1197. https://doi.org/10.1016/j.indmarman.2010.02.002
  15. Ancona, D.G., & Caldwell, D.F.(1990). Beyond boundary spanning: Managing external dependence in product development teams. Journal of High Technology Management Research, 1(2): 119-135. https://doi.org/10.1016/1047-8310(90)90001-K
  16. Ancona, D.G., & Caldwell, D.F.(1992). Bridging the boundary: External activity and performance in organizational tea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7(4): 634-665. https://doi.org/10.2307/2393475
  17. Marrone, J.A.(2010). Team boundary spanning: A multi-level review of past reseach and proposals for the future. Journal of Management, 36(4): 911-940. https://doi.org/10.1177/0149206309353945
  18. Somech, A., & Khalaili, A.(2014). Team boundary activity: It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onditions and team innovation. Group & Organization Management, 39(3): 274-299. https://doi.org/10.1177/1059601114525437
  19. Cross, R., Ernst, C., Assimakopoulous, D., & Ranta, D.(2015). Investing in boundary-spanning collaboration to drive efficiency and innovation. Organizational Dynamics, 44(3): 204-216. https://doi.org/10.1016/j.orgdyn.2015.05.006
  20. Cross, R., Ernst, C., & Pasmore, B.(2013). A bridge too far?: How boundary spanning networks drive organizational change and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Dynamics, 42(2): 81-91. https://doi.org/10.1016/j.orgdyn.2013.03.001
  21. 권상집(2020). 엔터테인먼트 산업에서의 협상 교훈: 넥슨 인수 실패 사례 분석.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4(7): 43-54.
  22. 권상집(2019). 대한민국 기업의 고용창출 증진을 위한 전략 및 정책적 함의: 기업, 정부, 대학, 구직자를 위한 제언. Korea Business Review, 23(2): 117-148. https://doi.org/10.17287/kbr.2019.23.2.117
  23. Eisenhardt, K.M., & Graebner, M.E.(2007). Theory building from cas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0(1): 25-32. https://doi.org/10.5465/AMJ.2007.24160888
  24. Yin, R.K.(2014). Case study research design and methods (5th ed.). Thousand Oaks, CA: Sage.
  25. Bartunek, J.M., Rynes, S.L., & Ireland, R.D.(2006). What makes management research interesting and why does it matt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9(1): 9-15. https://doi.org/10.5465/AMJ.2006.20785494
  26. Gilbert, C.G.(2005). Unbundling the structure of inertia: Resource versus routine rigid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8(5): 741-763. https://doi.org/10.5465/AMJ.2005.18803920
  27. 권상집(2016). 한류 증진을 위한 CGV의 성장 전략: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6): 576-588. https://doi.org/10.5392/JKCA.2016.16.06.576
  28. 이인혜, 권상집(2021). K-POP 패러다임을 넘어: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한국형 문화 혁신에 의한 가치 창출. Korea Business Review, 25(1): 57-77. https://doi.org/10.17287/kbr.2021.25.1.57
  29. 정헌수, 이홍배(2015). 조직자원, 흡수역량과 혁신역량이 기술 사업화 역량에 미치는 영향: 여유자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영교육연구, 30(5): 439-467.
  30. 김병근, 옥주영(2017). 한국 중소기업의 협력역량, 흡수역량과 협력성과. 연세경영연구, 54(3): 51-76.
  31. 오혜, 이상민(2015). 한국기업 해외자회사 내 주재원의 국제경계관리행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국제경영연구, 26(4): 61-91.
  32. 고유미, 정명호, 김지영(2013). 팀 네트워크 특성과 경계관리 활동이 지식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팀 신뢰의 매개역할. 지식경영연구, 14(5): 101-120. https://doi.org/10.15813/KMR.2013.14.5.006
  33. 권상집(2016). 한류 확산을 위한 CJ E&M의 디지털 및 글로컬 콘텐츠 전략.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12): 78-90. https://doi.org/10.5392/JKCA.2016.16.12.078
  34. 이성상, 한유진(2020). 문화산업에서 기업가정신의 실천: CJ ENM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산업연구, 20(3): 137-144.
  35. 김희태, 권상집(2020). 우리나라 핵심 산업의 지속 성장을 위한 한.중.일 수출경쟁력 분석 및 전략제언. 한국혁신학회지, 15(5): 143-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