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terobacteriaceae

검색결과 213건 처리시간 0.032초

경북지역의 닭으로부터 CTX-M-14 생성 장내세균 분리동정 (CTX-M-14 Producing Enterobacteriaceae Isolated from Chickens at Gyeongsang Provinces)

  • 성지연;권택영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8권2호
    • /
    • pp.118-123
    • /
    • 2016
  • 지난 반세기 동안 세균 감염증 치료 또는 성장촉진을 목적으로 가금류에게 광범위하게 항균제를 사용해 왔다. 그러나 항균제 내성의 증가는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항균제들에 대한 내성을 유도하여 치료를 위한 항균제 선택에 제약을 주어 치료에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도 지역에서 사육된 닭으로부터 분리된 장내세균을 대상으로 ${\beta}-lactam$, quinolone, 및 aminoglycoside 계열 항균제에 대한 내성유전자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여 내성유전자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총 43균주의 장내세균이 40마리의 닭의 맹장으로부터 분리되었으며 디스크확산법을 이용하여 항균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중합효소연쇄반응과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플라스미드 매개 항균제 내성 유전자를 조사하였다. 총 43균주 중 2균주가 $bla_{CTX-M-14}$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었으며 qnrS 및 aac(6')-Ib-cr 유전자도 각각 2균주와 5균주에서 확인되었다. 총 43균주를 대상으로 항균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cefepime, ceftazidime, 및 cefaclor를 제외한 모든 항균제에 대해 0.0%부터 23.3%까지의 낮은 감수성률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닭으로부터 분리된 대장균에 플라스미드 매개 항균제 내성유전자가 확산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항균제 내성 유전자의 확산을 막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항균제 내성유전자의 조사와 감시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의 임상검사 측면 (Clinical Laboratory Aspect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 박창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18-27
    • /
    • 2020
  •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과 카바페넴분해효소 생성 장내세균과(carbapenemase-producing Enterobacteriaceae, CPE)의 정확한 구분과 CPE의 빠른 탐지는 임상 감염의 치료 및 관리에 중요하다. 선별방법은 주로 선택적 배지에서의 직장 면봉 표본 배양 후 카바페넴분해 효소의 활성도, 신속한 카바페넴의 불활성화 방법, 측방유동면역분석(lateral flow immunoassay, LFI), 메트릭스보조레이저 탈착/이온화이온사이클론 공명 질량분석법(matrix assisted laser desorption/ionis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MS)을 통해 표현형을 측정하는 분자기반 방법들이다. CRE, 특히 CPE의 적절한 시기에 정확한 탐지는 감염의 임상 치료 및 예방에 필수적이다. 다양한 표현형 검출방법 및 유전자-기반 검출방법이 카바페넴의 신속한 검출을 위해 이용 가능하며, 이들은 임상 미생물학 실험실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신속한 처리 시간으로 현장에서 치료를 위한 검사 방법을 사용하는 CRE에 대한 능동적인 감시활동에서 카바페넴분해효소를 생성하는 CRE의 탐지는 중요한 가치를 갖는다. 따라서 카바페넴분해효소의 확산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전세계의 많은 검사실에서 신뢰할 수 있고 신속하고 고효율적이며, 간편하고 저비용의 검사법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환자의 적용에서도 최적의 효과를 가지려면 CRE에 대한 신속한 검사를 통해 항균제의 관리 개입이나 다양한 형태의 임상 의사의 치료에 결정적인 지원을 재현성있게 나타나야 할 것이다. 최적의 검사법을 위해서는 보완되는 검사법을 결합하여 다양한 내성 박테리아 종을 감별하고 다양한 종류의 카바페넴분해효소의 유전적 다양성을 발굴하여 최상의 감염관리 전략을 포괄하는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Detection of mcr-1 Plasmids in Enterobacteriaceae Isolates From Human Specimens: Comparison With Those in Escherichia coli Isolates From Livestock in Korea

  • Yoon, Eun-Jeong;Hong, Jun Sung;Yang, Ji Woo;Lee, Kwang Jun;Lee, Hyukmin;Jeong, Seok Hoon
    •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 /
    • 제38권6호
    • /
    • pp.555-562
    • /
    • 2018
  • Background: The emerging mobile colistin resistance gene, mcr-1, is an ongoing worldwide concern and an evaluation of clinical isolates harboring this gene is required in Korea. We investigated mcr-1-possessing Enterobacteriaceae among Enterobacteriaceae strains isolated in Korea, and compared the genetic details of the plasmids with those in Escherichia coli isolates from livestock. Methods: Among 9,396 Enterobacteriaceae clinical isolates collected between 2010 and 2015, 1,347 (14.3%) strains were resistant to colistin and those were screened for mcr-1 by PCR. Colistin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s (MICs) were determined by microdilution, and conjugal transfer of the mcr-1-harboring plasmids was assessed by direct mating. Whole genomes of three mcr-1-positive Enterobacteriaceae clinical isolates and 11 livestock-origin mcr-1-positive E. coli isolates were sequenced. Results: Two E. coli and one Enterobacter aerogenes clinical isolates carried carried IncI2 plasmids harboring mcr-1, which conferred colistin resistance (E. coli MIC, 4 mg/L; E. aerogenes MIC, 32 mg/L). The strains possessed the complete conjugal machinery except for E. aerogenes harboring a truncated prepilin peptidase. The E. coli plasmid transferred more efficiently to E. coli than to Klebsiella pneumoniae or Enterobacter cloacae recipients. Among the three bacterial hosts, the colistin MIC was the highest for E. coli owing to the higher mcr-1-plasmid copy number and mcr-1 expression levels. Ten mcr-1-positive chicken-origin E. coli strains also possessed mcr-1-harboring IncI2 plasmids closely related to that in the clinical E. aerogenes isolate, and the remaining one porcine-origin E. coli possessed an mcr-1-harboring IncX4 plasmid. Conclusions: mcr-1-harboring IncI2 plasmids were identified in clinical Enterobacteriaceae isolates. These plasmid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ose in chicken-origin E. coli strains in Korea, supporting the concept of mcr-1 dissemination between humans and livestock.

천수만 해역 세균 군집의 수리학적 분석 (Numerical Analysis of Bacterial Community in Cheonsu bay)

  • 정현미;김명운;이건형;김상종
    • 미생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65-271
    • /
    • 1989
  • 서해안의 대표적 내만인 천수만 해역에서 4계절간 분리한 세균들을 대상으로 수리학적 분류를 설시하였다. 총 48가지의 형태학적, 생리적, 생화학적 실험 결과 분리된 계절에 따라 온도에 대한 서로 다른 적응 양상을 보여 주었으며, 전체적으로 다양한 환경변화에 높은 생존 능력을 보여주였다. 각 세균을 동정한 결과 Enterobacteriaceae, Aeromonas Pseudomonas와 Vibrio 등이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계절별로는 봄 가을에 Aeromonas가, 여름 및 겨울에는 각각 Pseudom monas 와 Enterobacteriaceae가 제l우점종임이 발견되었다 Cluster analysis 결과 젠체 세규 군집은 75%의 유사도 수1 에서 총 29개의 phenetic group으로 나뉘어졌으며 각 group별로 계절적 구분이 뚜렷하였다. 전체적으로 계절에 놔른 서로 다른 생리적 특성과 종 구성이 전반적인 생태계에의 다양성과 안정성을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al Time Reverse Transcriptase-PCR to Detect Viable Enterobacteriaceae in Milk

  • Choi, Suk-Ho;Lee, Seung-Ba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51-857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real time reverse transcriptase-PCR (RT-PCR) method for the detection of viable Enterobacteriaceae in milk using primers based on the genes of ribosomal proteins S11 and S13 and to determine effects of heating and subsequent treatments on the threshold cycle (Ct) of the real time RT-PCR. Total RNA was isolated from 17 strains of bacteria including 11 strains of Enterobacteriaceae suspended in milk using a modified Tri reagent method. SYBR Green Master Mix was added to the RNA and the mixture was subjected to the real time RT-PCR. The Cts of eleven type strains of the Enterobacteriaceae in milk ($10^7$ cells) in the real time RT-PCR ranged from 21.5 to 24.6. However, the Cts of Pseudomonas fluorescens, Acinetobacter calcoaceticus, and three gram-positive bacteria were more than 40. The real time RT-PCR detected as low as $10^3$ cells in agarose gel electrophoresis. The Cts increased from 22.0 to 34.2 when milk samples contaminated with Escherichia coli ($10^7$ cells/mL) were heated at $65^{\circ}C$ for 30 min. In addition, subsequent incubation at $37^{\circ}C$ for 6 and 24 h increased the Cts further up to 36.2 and 37.2, respectively. Addition of RNase A to the bacterial suspension obtained from the heated milk and subsequent incubation at $37^{\circ}C$ for 1 h increased the Cts to more than 40.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pretreatment of bacterial cells heated in milk with RNase A before RNA extraction might enhance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between viable and dead bacteria using real time RT-PCR.

반응표면분석법을 통한 Enterobacteriaceae sp. PAMC 25617의 protease 생산배지 최적화 (Optimization of Medium for Protease Production by Enterobacteriaceae sp. PAMC 25617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현도;윤철원;최종일;한세종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3권4호
    • /
    • pp.524-52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저온활성 protease의 생산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극지 미생물인 Enterobacteriaceae sp. PAMC 25617의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배지의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One-factor-at-a-time 방법을 이용하여 yeast extract, TritonX-100이 protease의 생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인 것을 확인하였다. 물리적인 환경 요인으로 pH를 추가하여 반응표면분석 방법을 이용한 최대 protease 생산 농도를 갖는 각 인자들의 농도를 확인한 결과 5 g/L peptone, 3 g/L malt extract, 10 g/L $C_6H_{12}O_6$, 6.690 g/L yeast extract, 0.018 g/L TritonX-100의 농도에 pH 6.777의 조건에서 미생물을 배양하였을 경우, 최대 10.049 U/L의 protease가 생산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실제 배양 결과 8.03 U/L의 protease가 얻어졌으며, 최적화 이전의 생산농도와 비교하여 150% 이상의 증가를 이루었다. 결과적으로 배지최적화를 통한 protease 생산량의 증가에 반응표면분석법의 적용이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배지 최적화를 이용한 극지 미생물 유래 cold-adapted protease 생산량의 증가가 여러 산업 분야에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of Camellia sinensis (L.) O. Kuntze and Profile of Antimicrobial Agents Resistance for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 Yum, Jong Hwa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8-292
    • /
    • 2019
  •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of Camellia sinensis (L.) O. Kuntze, for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were compared to commonly used conventional antimicrobial agents. CRE was not only resistant to imipenem, meropenem or ertapenem, but also to various antimicrobial agents, such as amikacin (> $128{\mu}g/mL$). The hot water extracts of Camellia sinensis (L.) O. Kuntze had the lowest MIC ($0.06{\sim}0.5{\mu}L/mL$) of the carbapenem-resistant E. coli, K. pneumoniae, and Enterobacter spp. tested, and it was possible more potent than various conventional antimicrobial agents. Synergistic combinations of the extract with used commonly antimicrobial agents might even improve its antimicrobial chemotherapy property.

식품(食品)의 미생물학적(微生物學的) 조사연구(調査硏究) - 시판(市販) 쥐치포의 미생물(微生物) 분포(分布) - (Microbiological Studies of Foods - Microbial Load and Microflora of Dried File Fish Fillet -)

  • 유진영;정동효;김준평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
    • /
    • 1985
  • 시판(市販)되고 있는 쥐치포의 미생물(微生物) 오염도(汚染度)를 조사(調査)하고 流通中(유통중) 衛生管理(위생관리)에 필요(必要)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고자 3회(回)에 걸쳐 수집한 후 오염지표균(汚染指標菌) 및 유해세균(有害細菌)의 존재(存在)를 검사(檢査)하고 microflora를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호기성(好氣性) 중온균(中溫菌), 일반대장균군(一般大腸菌群), 분별성 대장균군(大腸菌群), Enterobacteriaceae 및 분변성 Streptococci의 오염도(汚染度)가 각각(各各) $3.5{\times}10^3{\sim}1.1{\times}10^8CFU/g$, $2.3{\sim}4.6{\times}10^5MPN/g$, $2.3{\sim}1.1{\times}10^5MPN/g$, $3.0{\times}10{\sim}4.4{\times}10^5CFU/g$$1.6{\times}10^2{\sim}7.6{\times}10^6CFU/g$이었다. microflora에 있어서는 호기성(好氣性) 중온균(中溫菌)의 경우 Staphylococcus hominis, Staphylococcus hemolyticus, Micrococcus varians, M. luteus 및 Streptococcus cremoris가, Enterobacteriaceae의 경우 E. coli와 Proteus rettgeri, 분변성 Streptococci는 Sc. faecium과 S. avium이 구성 미생물(微生物)이었다.

  • PDF

중규모 종합병원 대상 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속균종(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획득위험 예측모형의 외적타당도 평가 (External Validation of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Acquisition Risk Prediction Model in a Medium Sized Hospital)

  • 서수민;정인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621-630
    • /
    • 2020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external validity of a carbapenem-resistant Enterobacteriaceae (CRE) acquisition risk prediction model (the CREP-model) in a medium-sized hospital. Methods: This retrospective cohort study included 613 patients (CRE group: 69, no-CRE group: 544)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s of a 453-beds secondary referral general hospital from March 1, 2017 to September 30, 2019 in South Korea. The performance of the CREP-model was analyzed with calibration, discrimination, and clinical usefulnes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ose higher in age had lower presence of multidrug resistant organisms (MDROs), cephalosporin use ≥ 15 days,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valuation II (APACHE II) score ≥ 21 points, and lower CRE acquisition rates than those of CREP-model development subjects. The calibration-in-the-large was 0.12 (95% CI: - 0.16~0.39), while the calibration slope was 0.87 (95% CI: 0.63~1.12), and the concordance statistic was .71 (95% CI: .63~.78). At the predicted risk of .10,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correct classification rates were 43.5%, 84.2%, and 79.6%, respectively. The net true positive according to the CREP-model were 3 per 100 subjects. After adjusting the predictors' cutting points, the concordance statistic increased to .84 (95% CI: .79~.89), and the sensitivity and net true positive was improved to 75.4%. and 6 per 100 subject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CREP-model's discrimination and clinical usefulness are low in a medium sized general hospital but are improved after adjusting for the predictors. Therefore, we suggest that institutions should only use the CREP-model after assessing the distribution of the predictors and adjusting their cutting points.

냉장 닭고기의 저장성 연장에 관한 연구 1. Potassium Sorbate와 Ascorbic Acid 처리가 닭고기의 미생물 및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Extending the Shelf-life of Refrigerated Chicken 1. Effects of Potassium Sorbate and/or Ascorbic Acid Dip on Microbial and Sensory Quality of Refrigerated Chicken)

  • 유익종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5-122
    • /
    • 1990
  • 닭고기를 $4^{\circ}C$에서 냉장 보관할 경우 7.5% Potassium sorbate와 1% ascorbic acid에의 침지 처리가 닭고기의 표면 미생물 및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ascorbic acid 처리육의 경우 저장 8일째 이취가 발생하였으며 12일째에는 부패가 일어났으므로 미생물적으로 대조구에 비해 큰 차이가 없었다. 7.5% potassium sorbate의 처리는 저장중 중온성균 및 저온성균의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Enterobacteriaceae의 성장억제에 특히 커다란 효과가 인정되었다. 대장균군은 저장 전기간을 통해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며 21일 저장 후에도 부패가 일어나지 않았다. 7.5% potassium sorbate와 1% ascorbic acid의 혼합처리는 중온성균과 저온성균의 성장 억제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Enterobacteriaceae와 대장균군의 성장 억제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21일간의 전 저장기간을 통하여 부패가 일어나지 않았으며 potassium sorbate 단독처리에 비해ascorbic acid의 부가효과가 인정되었다. 결과적으로 닭고기를 $4^{\circ}C$에서 저장할 경우 ascorbic acid 단독처리에 의해서는 미생물 및 관능적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potassium sorbate 단독처리 혹은 potassium sorbate와 ascorbic acid 혼합처리에 의해서는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였고 관능적으로도 21일 동안 부패 현상이 발생하지 많아 그 효과가 크게 인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