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hanced ART1

검색결과 68건 처리시간 0.02초

Pixel-Wise Polynomial Estimation Model for Low-Light Image Enhancement

  • Muhammad Tahir Rasheed;Daming Sh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7권9호
    • /
    • pp.2483-2504
    • /
    • 2023
  • Most existing low-light enhancement algorithms either use a large number of training parameters or lack generalization to real-world scenarios. This paper presents a novel lightweight and robust pixel-wise polynomial approximation-based deep network for low-light image enhancement. For mapping the low-light image to the enhanced image, pixel-wise higher-order polynomials are employed. A deep convolution network is used to estimate the coefficients of these higher-order polynomials. The proposed network uses multiple branches to estimate pixel values based on different receptive fields. With a smaller receptive field, the first branch enhanced local features, the second and third branches focused on medium-level features, and the last branch enhanced global features. The low-light image is downsampled by the factor of 2b-1 (b is the branch number) and fed as input to each branch. After combining the outputs of each branch, the final enhanced image is obtained.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our proposed network on six publicly available no-reference test datasets shows that it outperforms state-of-the-art methods on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asures.

다해상도 영상과 개선된 RBF 네트워크를 이용한 계층적 영문 명함 인식 (Hierarchical Recognition of English Calling Card by Using Multiresolution Images and Enhanced RBF Network)

  • 김광백;김영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0B권4호
    • /
    • pp.443-450
    • /
    • 2003
  • 본 논문은 영문 명함의 다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계층적 영살 처리를 통해 문자를 추출하고 개선된 신경망 기법을 이용하여 문자를 인식하는 새로운 계층적 명함 인식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계층적 인식 알고리즘은 명함 인식 과정을 구성하는 각 처리 단계별로 처리 시간을 단축함과 동시에 성능 향상을 위해 입력된 명함 영상을 해상도가 서로 다른 영상들로 분리하여 적용한다. 우선 1/3배 축소 영상에 가로 스미어링 기법을 적용하여 명함 영상 내에서 문자들을 포함하는 문자열 영역을 추출하고, 문자열 영역으로부터 개별 문자를 추출하기 위하여 1/2배 축소 영상에 새로 스미어링 및 윤곽선 추적 마스킹을 적용한다. 마지막으로 추출된 문자를 인식하기 위해서 문자의 형태학적 특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원 영상을 사용하며, 다양한 형태를 가진 명함상의 문자를 인식하기 위해 ART1 기반의 개선된 RBF 네트워크를 제안하고 인식 과정에 적용하였다 제안된 인식 알고리즘을 실제 영문 명함 영상에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기존의 방법과 비교하여 문자 추출 및 인식 성능이 크게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자연미의 인식을 통한 의상디자인 연구 -난(蘭) 모티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stume Design through Perception of the Natural Beauty -Concentrating on the Orchid Motif-)

  • 박현주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73-183
    • /
    • 2002
  • The orchid has a very elegant color and various forms in the nature or the ground for human life and the mother of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ress some creative formative art by using the orchid as motive, and thereby, suggest the possibility of an artistic modern costume design by reviewing the texture of the materi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rough this study that the orchid with diverse forms and colors can be used as design motive in almost infinitely diverse ways, and that all the artificial forms or structures contain the elements of natural beauty. Second, the luxurious and rich sense of orchid‘s color can be maximized by using the complementary contrast effect of the dyeing technique and the color gradation effect through harmony among similar colors. Third, a high value-added costume can be created to meet modern men’s aesthetic desire by using such embroidery techniques as crochet, weaving, dyeing, beads embroidery and art flower. Fourth, different effects of texture can be rendered by using different materials of various textures and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creative expression for costume as formative art can be enhanced by expanding the expressions of the materials.

  • PDF

국내 패션 디자이너의 공연의상 디자인 연구 (A Study on Korean Fashion Designers' Stage Costumes)

  • 유진영;김지연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5-132
    • /
    • 2023
  • The globalization of Korean culture has spurred a steady increase in the participation of domestic fashion designers in global performance art. This study analyzes the formal elements of stage costume designs by fashion designers, and further evaluates the impact of these designers' aesthetic philosophies on overall performance. This analysis seek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new directionality in performance art, with an enhanced competitiveness derived from diversity and creativity. The scope of this research spans 15 performances and eight fashion designers' works in the post-2010s era. These performances are characterized by their break from traditional artistic norms, illustrating the modernization of the performing arts and reflecting the designers' aesthetic philosophies. This modernization incorporates inspirations drawn from a diverse selection of movements, such as fusion, culture clash, kitsch, and minimal avant-garde. As a result, in combination with a pure reflection of the designers' aesthetics, these designs heighten overall performance, suggest a new direction for traditional performance art, tap into a popular sensibility to expand communication to a wider audience, and push the boundaries of tradition through artistic innovation.

인도의 전통자수 MIRROR WORK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dia's Traditional Embroidery, Mirror Work)

  • 한연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9-11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India's traditional embroidery method, Mirror Work, and to evaluate the examples of contemporary costumes as well as the applications of art to clothing that have been influenced by this technique, in order to expand its usage for creation of a new fashion image. Research in the literature and application of works related to Mirror Work have demonstrated: First of all, as a traditional embroidery method that represents the folk art of India, Mirror Work displays unique methods used in different regions and the way that various methods and materials were combined by the use of mirrors, beads, and $appliqu{\acute{e}}$. Secondly, it was found that the presentation of Mirror Work in the $pr{\hat{e}}t$-a-porte collection is based on a traditional embroidery method using both developed materials and adapted methods to express traditional reproducibility, geometric simplicity, a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complex decorations. Thirdly, new plasticity for art to wear clothing can be created through various methods aside from embroidery, for example by a technique of wrapping crochet laces and tapes around the mirror for decorative purposes. Based on these results it can be inferred that,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ple forms for decorations, Mirror Work shares multiple forms of personal aesthetic goals through the mirror's unique quality for expression and enhanced images of artistic decorative art. Also, the introduction of traditional materials and methods for today's folk art and traditional costumes can be the subject of unique aesthetic characteristics based on different perspectives of the recreation of tradition. Finally, it can further create a new plasticity within the globalization phenomena.

  • PDF

Enhanced Block-Based Adaptive Loop Filter with Multiple Symmetric Structures for Video Coding

  • Lee, Ha-Hyun;Lim, Sung-Chang;Choi, Hae-Chul;Jeong, Se-Yoon;Kim, Jong-Ho;Choi, Jin-Soo
    • ETRI Journal
    • /
    • 제32권4호
    • /
    • pp.626-629
    • /
    • 2010
  • In this letter, we present an enhanced block-based adaptive loop filter (E-BALF) with multiple filter symmetric structures. The E-BALF adapts various filter symmetric structures in a rate-distortion optimization sense, reflecting the statistical properties of each image in a video sequenc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achieves a reduction in the Bj${\phi}$ntegaard delta (BD)-bitrate by an average of 9.60% compared with Joint Model 11.0 of H.264/AVC. Compared to the state-of-the-art BALF, a reduction of up to 1.13% in BD-bitrate is achieved.

유산균 발효 다시마(Saccharina japonica) 분말이 첨가된 조미간장의 품질 특성 (Characteristics of Seasoning Soy Sauce with Added Saccharina japonica Powder Fermented by Lactic Acid Bacteria)

  • 이인선;송호수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6호
    • /
    • pp.613-622
    • /
    • 2018
  • 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oy sauce with added Saccharina japonica powder (FSP). Soy sauce was prepared with acid-hydrolyzed soy sauce, brewed soy sauce, honey, ginger, garlic, dried red pepper, ${\gamma}$-aminobutyric acid (GABA)-enriched sea tangle fermented in lactic acid, and 1% or 3% S. japonica powder by soy sauce volume. The color, pH, microbiology, amino nitrogen, free amino acids, antioxidant activity, and sensory qualities of the soy sauce were evaluat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r antioxidant activity. However, the addition of FSP to the soy sauce enhanced the delicate flavor. Furthermore, soy sauce containing FSP had higher levels of GABA (50 mg/100 mL), a biofunctional ingredi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seasoning soy sauce with enhanced functionality seems possible.

잡영 가지 제거 알고리즘과 개선된 퍼지 ART를 이용한 여권 코드 인식 (Recognition of Passport Image Using Removing Noise Branches and Enhanced Fuzzy ART)

  • 이상수;장도원;김광백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377-382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출입국자 관리의 효율성과 체계적인 출입국 관리를 위하여 여권 코드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여권 이미지는 기울어진 상태로 스캔 되어 획득되어질 수도 있으므로 기울기 보정은 문자 분할 및 인식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권 영상을 스미어링한 후, 추출된 문자열 중에서 가장 긴 문자열을 선택하고 이 문자열의 좌측과 우측 부분의 두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수평선과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여권 영상에 대한 각도 보정을 수행한다. 여권 코드 추출은 소벨 연산자와 수평 스미어링, 8방향 윤관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여권 코드의 문자열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여권 코드 문자열 영역에 대해 반복 이진화 방법을 적용하여 코드의 문자열 영역을 이진화 한다, 이진화된 문자열 영역에 대해 여권 코드의 인식율을 높이기 위하여 잡영 가지 제거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별 문자의 잡영을 제거한 후에 개별 코드를 추출하며, CDM 마스크를 적용하여 추출된 개별코드를 복원한다. 추출된 개별코드는 개선된 퍼지 ART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인식에 적용한다. 실제 여권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CDM 마스크를 이용하여 추출된 개별 코드를 개선된 퍼지 ART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인식한 방법보다 잡영 제거 알고리즘과 CDM 마스크를 적용하여 개선된 퍼지 ART 알고리즘으로 개별 코드를 인식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기존의 퍼지 AR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개별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개선된 퍼지 ART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개별 코드를 인식하는 경우가 서로 다른 패턴들이 같은 클러스터로 분류되지 않아 인식 성능이 개선되었다.생산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통계 수요에 즉각 대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통계는 전 국민에 대한 패널자료이기 때문에 통계적 활용의 범위가 방대하다. 특히 개인, 가구, 사업체 등 사회 활동의 주체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적할 수 있는 자료를 생산함으로써 다양한 인과적 통계분석을 할 수 있다. 행정자료를 활용한 인구센서스의 이러한 특징은 국가의 교육정책, 노동정책, 복지정책 등 다양한 정책을 정확한 자료를 근거로 수립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Gaasemyr, 1999). 이와 더불어 행정자료 기반의 인구센서스는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덴마크나 핀란드에서는 조사로 자료를 생산하던 때의 1/20 정도 비용으로 행정자료로 인구센서스의 모든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최근 모든 행정자료들이 정보통신기술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바뀌고, 인터넷을 근간으로 한 컴퓨터네트워크가 발달함에 따라 각 부처별로 행정을 위해 축적한 자료를 정보통신기술로 연계${cdot}$통합하면 막대한 조사비용을 들이지 않더라도 인구센서스자료를 적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근간이 마련되었다. 이렇듯 행정자료 기반의 인구센서스가 많은 장점을 가졌지만, 그렇다고 모든 국가가 당장 행정자료로 인구센서스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행정자료로 인구센서스통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 행정부서별로 사용하는 행정자료들을 연계${cdot}$통합할 수 있도록 국가사회전반에 걸쳐 행정 체제가 갖추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모든 국민 개개인에 관한 기본정보, 개인들이 거주하며 생활하는 단위인 개별 주거단위에 관한 정보가 행정부에 등록되어

  • PDF

개선된 퍼지 ART 기반 RBF 네트워크와 PCA 알고리즘을 이용한 여권 인식 및 얼굴 인증 (A Passport Recognition and face Verification Using Enhanced fuzzy ART Based RBF Network and PCA Algorithm)

  • 김광백
    • 지능정보연구
    • /
    • 제12권1호
    • /
    • pp.17-31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출입국자 관리의 효율성과 체계적인 출입국 관리를 위하여 여권 코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위조 여권을 판별할 수 있는 여권 인식 및 얼굴 인증 방법을 제안한다. 여권 이미지가 기울어진 상태로 스캔되어 획득되어질 경우에는 개별 코드 인식과 얼굴 인증에 많은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므로 기울기 보정은 문자 분할 및 인식, 얼굴 인증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권 영상을 스미어링한 후, 추출된 문자열 중에서 가장 긴 문자열을 선택하고 이 문자열의 좌측과 우측 부분의 두께 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수평선과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여권 영상에 대한 각도 보정을 수행한다. 여권 코드 추출은 소벨 연산자와 수평 스미어링, 8 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여권 코드의 문자열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여권 코드 문자열 영역에 대해 반복 이진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코드의 문자열 영역을 이진화한다. 이진화된 문자열 영역에 대해 CDM 마스크를 적용하여 문자열의 코드들을 복원하고 8 방향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별 코드를 추출한다. 추출된 개별 코드 인식은 개선된 RBF 네트워크를 제안하여 적용한다. 개선된 퍼지 ART 기반 RBF 네트워크는 퍼지 논리 접속 연산자를 이용하여 경계 변수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퍼지 ART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RBF 네트워크의 중간층으로 적용한다. 얼굴 인증을 위해서는 얼굴 인증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PCA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PCA 알고리즘은 고차원의 벡터를 저 차원의 벡터로 감량하여 전체 입력 영상들의 직교적인 공분산 행렬을 계산한 후, 그것의 고유 값에 따라 각 영상의 고유 벡터를 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PCA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얼굴의 고유 벡터를 구한 후, 특징 벡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여권 영상에서 획득되어진 얼굴 영상의 특징 벡터와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얼굴 영상의 특징 벡터와의 거리 값을 계산하여 사진 위조 여부를 판별한다. 제안된 여권 인식 및 얼굴 인증 방법의 성능을 평가를 위하여 원본 여권에서 얼굴 부분을 위조한 여권과 기울어진 여권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이 여권의 코드 인식 및 얼굴 인증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미술 아카이브의 미술기록관리 방안 연구 (A Study on Management of Records of Art Archives)

  • 정혜린;김익한
    • 기록학연구
    • /
    • 제20호
    • /
    • pp.151-212
    • /
    • 2009
  • 세계화의 과정이 미술관의 활동에 반영되면서 미술관은 새로운 가치를 생산하고 맥락을 재현하는 장소로 재정의 되었다. 급속히 변하는 사회 환경과 상호작용하며 성장하는 유기적인 존재로서의 미술관은 주체적으로 변화를 맞이하고, 변화의 속도와 방향 내용을 결정해야 한다. 대중은 미술작품이라는 물리적 대상의 관람을 통해 작품의 진본성, 아우라와 대면해 왔다. 그러나 새롭게 디지털 객체의 등장에 따라 관람의 주도권은 미술작품에서 대중의 손으로 넘어갔다. 이제 대중은 작품을 보기위해 미술관에 가는 것이 아니라 작품을 화면 앞으로 작품을 끌어오는 역발상의 패러다임에 적응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더 이상 작품만을 보는 것에 만족하지 않고, 작품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요구하면서 이를 지식으로 재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환경으로의 진입은 미술관에도 또 다른 방식의 공공성 실현을 요구하고 있다. 미술관의 공공성이란 우리 미술의 정체성을 지켜나가고 미술사에 대한 올바른 역사적 인식을 확립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실현되어야할 공통의 목표이다. 이 모든 것을 실현하고 또 지켜나가기 위해서는 우리 미술사 전반에 걸쳐 생산되었지만 지금까지 작품의 아우라에 가려 소홀히 관리되었던 미술기록의 가치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술기록의 가치가 고양되고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되는 지금 시점에서 미술기록에 대한 정의와 범주를 설정을 통하여 유형 및 특성을 도출하고, 미술아카이브의 조직과 조직의 수행 기능에 따른 기록 관리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기록 관리 전반 체제의 기조가 '보존'보다 '접근'의 패러다임에 있음을 강조하여 디지털화된 미술기록의 다양한 활용방안에 대하여 구상하였다. 그 중에서 미술작품의 디지털 객체를 작품 실물의 제1의 재현물로서 인정하며, 실질적으로는 디지털 원본의 개념으로 제안함으로서 이를 미술기록의 핵심기록으로 설정하였다. 물리적 지적 통제 하에 관리된 미술기록은 디지털 환경에서 핵심기록인 미술작품의 디지털 원본을 중심으로 유기적으로 재구성됨으로서 이용자들의 요구에 맞춘 다양한 서비스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미술기록의 체계적인 관리의 시작은 기록자체의 사회적, 역사적 가치를 고양하고 넓게는 미술문화의 정체성 확립과 미술문화를 진정으로 향유할 수 있는 단초가 될 것이다.